Rothman의 지역복지 실천 모델의 3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제 국내 및 해외에서 예를 찾아 주제와 실천과정에 대해 기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Rothman의 지역복지 실천 모델의 3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제 국내 및 해외에서 예를 찾아 주제와 실천과정에 대해 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Rothman의 지역복지 실천 모델

2. Rothman의 지역복지 실천 모델의 3유형
1) 지역사회개발모델
2) 사회계획 및 정책모델
3) 사회행동모델

3. Rothman 3유형 중 사회계획 및 정책모델(social planning/policy)의 실제 국내 및 해외 예
1) 주제 - 하비타트 GPA
2) 실천과정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
(21) 공공서비스를 민영화
4. 시사점
위와 같이 행위의 유형을 분석하는 작업은 지역사회 개발사업에 매우 유용하다고 보여진다. 왜냐하면 지역단체들의 전술은 현재보다 더 다양하게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하는데, 이를 하비타트 GPA의 다양한 행위유형에서 본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덧붙이고 싶은 것은 이 행위의 유형이 거의 모두 “협력”, “협조”, “대화”와 같은 관계를 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협력과 “경쟁”, “대립”, “갈등”은 현실에서 동전의 양면처럼 존재하고 나타난다. 이런 측면을 감안해서 하비타트 GPA가 가지는 분명한 한계성을 인식한고 지역사회개발계획에 적용해야만 할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Rothman의 지역복지 실천 모델의 3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제 국내 및 해외에서 예를 찾아 주제와 실천과정에 대해 기술해 보았다.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를 거점으로 하여 지역주민의 니즈에 합당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왔다. 그것은 주민의 복리향상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민의 복리향상을 위한 접근법은 기관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으나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다. 하나는 전문사회복지사가 서비스 제공의 주체가 되어 대면적인 관계에서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지역주민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주민이 주체적으로 지역사회문제를 예방, 해결해 나가는 방법이다. 주민조직화는 후자에 기초한 접근방법이다. 따라서 주민복리 향상을 위한 접근 책으로 다음의 세 가지 요소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것들은 사회적 자본, 사회복지관, 그리고 주민조직화 등이다. 주민조직화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은 주민복지향상을 위한 중요한 사회자원이며, 사회복지관은 그것들을 이루도록 하는 매개역할을 하게 된다. 이들 관계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 즉 지역사회와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사회복지관의 역할, 사회복지관에서의 지역사회조직화 등 이다.
참고문헌
박문수,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하비타트 Global Plan of Action에 대한 분석, 한국도시연구소, 1996
이연, 지역사회복지에 있어서 사회자본의 함의, 복지국가를 향한 과제, 한국사회복지연구소, 2005
김범수,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현학사, 2003
박태영, 지역사회복지론, 현학사, 2003
오정수 외,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04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27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4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