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동 결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동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5. 실험 결과
A.줄의진동
b. 길이변화(주파수와 장력 고정)에 따른 줄의진동

6.결과 분석
A.줄의진동
B. 음파(관의 공명)

7. 토의 및 건의사항
A.줄의진동
B. 음파(관의 공명)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반영하였다. 실제 실험할 때 주파수 1정도의 차이에서는 진동의 결과에 별 차이를 느낄 수가 없었다. 정확한 배진동을 측정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질량 선밀도를 구하는 식에서 배의 수 값을 틀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의 수 값 뿐만이 아니라 진동수 역시 오차가 생기게 된다. 정확한 배진동에서 배의 수를 세고 그 때의 진동수 값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배의 수 값 측정에 잘못이 있다면 진동수 값도 오차가 생기게 된다.
4. 줄의 양 끝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라고 매뉴얼에 나와 있어서 높이를 재어서 맞추었지만 그것이 완전하게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조금 기울어져 수평이 되지 않았을 경우 줄을 진동시켜 줄 때 힘이 고르게 전달되지 못해 정확한 배진동이 일어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줄이 도르래의 홈에 맞게 놓여있지 않게 되면 줄이 위아래로 진동하지 않고, 좌우로도 진동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생각하지 못한 오차가 발생하게 될지도 모른다. 뿐만 아니라 줄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지만 그러하지 못했다. 줄자로 측정하긴 했지만 눈금을 읽을 때 도르래의 정확한 부분을 읽어내기 힘들었다. 그리고 눈짐작을 측정한 길이에는 오차가 포함될 수밖에 없다.
B. 음파(관의 공명)
1. 스피커 관을 조금 열어 놓아야 한다.
스피커 관을 꽉 닫아놓은 채로 실험을 하게 되면 정상파가 생기지 않는다. 정상파가 생기기 위해서는 관이 한 쪽 끝이 열려 있거나 양쪽 끝이 모두 열려 있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가 한 실험은 한쪽 끝만 열려있는 경우로 L= nλ/4의 식을 따른다.
2. 사람의 눈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실험이다.
지난 실험과 마찬가지로 사람의 눈과 귀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공명이 일어나는지 일어나지 않는 지를 판단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우선 귀로 소리를 들으며 파형이 극대가 되는 것을 아는 것은 무리였으므로 눈으로 그래프를 보면서 파형이 최대가 되는 점을 찾아야 하는데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극대가 되는 점에서 피스톤이 약간만 빗나가게 더 빠지면 다시 피스톤을 넣어가며 그 점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았다. 또한 생각보다 지나친 소음으로 인해 침착하게 실험을 진행하기도 힘들었다.
3. 실험기구를 다루는 데 있어서 미숙했다.
여러 선이 뒤엉켜 있는 상황에서 실험기구를 다루는 것이 여간 힘든 것이 아니었다.
처음에 리드선들을 서로 바꾸어 꽂는 등 실험 기구를 다루는 데 실수가 많았다. 실험이 늦어짐에 따라 마음도 급했고, 따라서 공명이 일어나는 정확한 지점을 알아내는 것도 어려운 일이었다.
4.핀 마이크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는 데 무리가 있다.
아무리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막대가 꼿꼿하다고 해도 그것을 정확히 똑바로 집어넣는 데에는 무리가 따랐다. 또한 막대 끝이 손에서 멀어질수록 막대 자체의 무게와 마이크의 무게에(아마 막대 자체의 무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막대가 휘어지면서 수평으로 움직이지 못했다.
8. 참고문헌
대학물리학 Young and Freedman. University Physics. 12th ed.

키워드

파동 결과,   결과,   음파,   관의 공명,   파동,   ,   줄의진동,   실험

추천자료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4.30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