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기본정보
-프로그램 기본내용
-프로그램 무대장치
-프로그램 기타장치
-시청자
-강점 및 약점
2) 프로그램 비교 및 평가(공통점 및 차이점)
① 프로그램 기본 정보
② 프로그램 소재 및 시청자
③프로그램 구성방식(Narrative)
④프로그램 장치
- 편집 및 촬영
- 전문의 패널
⑤프로그램 차별화
⑥사회적 이데올로기 및 총 평가
-프로그램 기본정보
-프로그램 기본내용
-프로그램 무대장치
-프로그램 기타장치
-시청자
-강점 및 약점
2) 프로그램 비교 및 평가(공통점 및 차이점)
① 프로그램 기본 정보
② 프로그램 소재 및 시청자
③프로그램 구성방식(Narrative)
④프로그램 장치
- 편집 및 촬영
- 전문의 패널
⑤프로그램 차별화
⑥사회적 이데올로기 및 총 평가
본문내용
의 캐릭터를 갖고 있다. 일반적인 지식과 정보만을 제공하는 전문의가 아니라 사적인 이야기도 서슴지 않게 말하며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들의 복장 또한 편안한 캐주얼 옷차림이다. 하얀색 가운과 제복을 입은 지상파 전문의와 달리 자신만의 개성을 살린 옷차림으로 시청자와 마주한다. 이러한 요소에서 시청자들은 그들에게 조금 더 친근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의외의 모습에 호기심과 호감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황금알의 전문의 패널은 기존의 인포테인먼트 보다 많은 10명으로 구성돼 있다. 비타민 2명~ 3명, 위기탈출 넘버원 2명이라는 점으로 볼 때, 다양하고 많은 전문의 패널이 그들의 강점으로 보인다.
- 그래픽, 자막
(파워포인트 자료에 이미지와 함께 설명)
⑤프로그램 차별화
비타민 - 연예인 출연자의 ‘위험한 랭킹’
위기탈출 넘버원 - 쉽게 배우는 사건 사고 ‘예방 대처법’
황금알 - 친근하고 재밌는 ‘전문의 패널’
⑥사회적 이데올로기 및 총 평가
이번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새롭게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지상파 vs. 종편, 케이블]의 구성방식이었다. 현재 방송되고 있는 KBS의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만을 분석했지만 SBS의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 막을 내린 ‘스펀지’ 등 지상파의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은 모두 비슷한 구성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개수도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듯하다. 얼마 전엔 장수 프로그램인 ‘스펀지’가 소재 고갈로 폐지되어 안타까움을 주었다.
반면, 종편과 케이블 방송에서는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성격 또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뷰티 전문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인 ‘겟 잇 뷰티’, JTBC의 ‘닥터의 승부’ 등 전문적인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으며, 황금알과 같이 새로운 인포테인먼트로 시청자를 사로잡고 있다.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제공한다는 점은 지상파, 종편, 케이블 모두 같다. 그리고 정보의 질 또한 차이가 거의 없다. 하지만 그러한 정보를 어떻게 전달하고 어떻게 표현하느냐의 차이는 현저하다. 이제 2013년이면 디지털 방송이 시작된다. 디지털 방송과 함께 향후 방송 산업은 질 좋은 콘텐츠와 표현 모두 갖춘 프로그램이 더 많은 시청자를 사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지상파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은 자신만의 경쟁력을 갖추고 방송 산업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황금알의 전문의 패널은 기존의 인포테인먼트 보다 많은 10명으로 구성돼 있다. 비타민 2명~ 3명, 위기탈출 넘버원 2명이라는 점으로 볼 때, 다양하고 많은 전문의 패널이 그들의 강점으로 보인다.
- 그래픽, 자막
(파워포인트 자료에 이미지와 함께 설명)
⑤프로그램 차별화
비타민 - 연예인 출연자의 ‘위험한 랭킹’
위기탈출 넘버원 - 쉽게 배우는 사건 사고 ‘예방 대처법’
황금알 - 친근하고 재밌는 ‘전문의 패널’
⑥사회적 이데올로기 및 총 평가
이번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새롭게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지상파 vs. 종편, 케이블]의 구성방식이었다. 현재 방송되고 있는 KBS의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만을 분석했지만 SBS의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 막을 내린 ‘스펀지’ 등 지상파의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은 모두 비슷한 구성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개수도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듯하다. 얼마 전엔 장수 프로그램인 ‘스펀지’가 소재 고갈로 폐지되어 안타까움을 주었다.
반면, 종편과 케이블 방송에서는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성격 또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뷰티 전문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인 ‘겟 잇 뷰티’, JTBC의 ‘닥터의 승부’ 등 전문적인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으며, 황금알과 같이 새로운 인포테인먼트로 시청자를 사로잡고 있다.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제공한다는 점은 지상파, 종편, 케이블 모두 같다. 그리고 정보의 질 또한 차이가 거의 없다. 하지만 그러한 정보를 어떻게 전달하고 어떻게 표현하느냐의 차이는 현저하다. 이제 2013년이면 디지털 방송이 시작된다. 디지털 방송과 함께 향후 방송 산업은 질 좋은 콘텐츠와 표현 모두 갖춘 프로그램이 더 많은 시청자를 사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지상파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은 자신만의 경쟁력을 갖추고 방송 산업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미취학 아동 대상 TV프로그램간의 비교 연구
우리나라 지상파 TV프로그램에 대한 의견
대중문화 TV프로그램 『XTM 러브서바이벌 S』비평문
TV프로그램 중간광고 도입의 당위성 및 시행의 바람직한 방향
[가학성][선정성][폭력성][TV프로그램]가학성, 선정성, 폭력성 TV프로그램의 유형과 가학성, ...
[미디어비평] 국내 최초 리얼 버라이어티 쇼 무한도전 TV프로그램 인기비결 및 프로그램분석
[TV보도][TV탐사보도프로그램][TV탐사보도프로그램 사례]TV보도의 특징, TV보도의 객관성, TV...
티비음악프로그램(TV음악프로그램)의 특징, 티비음악프로그램(TV음악프로그램) 윤도현의 러브...
TV음악프로그램(티비음악프로그램)의 순위폐지, TV음악프로그램(티비음악프로그램)의 MC, TV...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