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1)주관적 자료
(1)개인정보
(2)기본 욕구 사정
(3)현재 건강력 사정
(4)과거 건강력 사정
1)객관적 자료
(1)신체검진
(2)검사소견
(3)의학적 치료
2.Problem list
3.간호진단
4.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1)주관적 자료
(1)개인정보
(2)기본 욕구 사정
(3)현재 건강력 사정
(4)과거 건강력 사정
1)객관적 자료
(1)신체검진
(2)검사소견
(3)의학적 치료
2.Problem list
3.간호진단
4.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l ECG hyper
방사선 검사
Chest X-ray
임상적 의의
결핵균이 폐 전반적으로 침범하여 침윤된 곳이 많음.
(3)의학적 치료요법
내과적 치료
a.식이 요법 : NPO
b.약물 요법
구분
약물명
용량
투여방법
주 작용
핵심 부작용
이뇨제
Furosemide (20mg)
1ample
IVS
이뇨작용
항 결핵약
isoniazid(500mg)
3T #1
PO(L-tube)
1차 결핵약
항 결핵약
rifamicin(150mg)
3C #1
PO(L-tube)
1차 결핵약
항 결핵약
Pyrazinamide(50nmg)
3T #1
PO(L-tube)
1차 결핵약
pyridoxine HCl(50mg)
2T #1
PO(L-tube)
구내염
항바이러스제
raltegravir posassium
4T #2
PO(L-tube)
HIV
항바이러스제
Zidovudine
2T #2
PO(L-tube)
HIV
진해,거담제
Bromhexine(8mg)
3T #3
PO(L-tube)
객담제거
기관지확장제
Atrovent
흡입액
4EA #4
Nebulizer
기관지확장제
특수 처치
Intubation
Ventulation
C-line
A-line
2.문제목록 (Problem list)
Tb(+), HIV(+), VDRL(+), Stomatitis(+) , VRE(+) ,
3.간호진단
호흡기 분비물 제거 능력 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4.간호 과정 적용
자료수집
주관적
intubation 대상자
객관적
-객담의 양이 많고 스스로 객담을 뱉어내지 못한다.
-호흡음에서 천명음,악설음이 들린다.
-V/S- T:37.2 , P:134 , R:28 , BP:100/50
-ABGA- pCO2:85 , pO2:63, SaO2: 90%
간호진단
호흡기 분비물 제거 능력 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목표
단기목표
주기적 suction으로 5일이내 SaO2를 95%이상으로 올린다.
장기목표
지속적인 기도관리를 통해 2주 이내에 환자의 기도 내 분비물이 1/2로 감소한다.
간호계획
①호흡음을 청진한다.
②주기적으로 suction을 시행한다.
③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FiO2 올리는 것을 주치의에게 건의한다.
간호수행
①김혜O 간호사가 청진기를 이용하여 호흡음을 청진하고 EMR에 기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Lung sound: Crackle (2011.7.29. pm 3)
②김혜O 간호사가 suction 시행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2011.7.29. am8, pm10, pm1)
③김혜O 간호사가 진해,거담제를 L-tube로 투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romhexine)8mg/PO 2011.7.29. am7
김혜O 간호사가 조기O 의사의 지시를 받고 FiO2를 0.4에서 0.5로 올리는 것을 관찰하였다.
(2011. 7. 29 am9)
김혜O 간호사가 대상자의 호흡증진을 위해 침상머리를 30도 가량 올려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2011. 7. 29 am 11)
이론적
근거
-suction 원활한 가스교환을 증진시켜준다.
-거담제는 객담을 줄여준다.
-FiO2를 증가시키면 PaO2가 증가하고 SaO2도 증가한다.
-반좌위,좌위 호흡을 용이하게 해준다.
평가
-8월2일 대상자의 SaO2가 96%로 증가하였다.
-8월4일 대상자의 분비물이 1/4 정도 줄어들었다.
*결론 :주기적 suction과 FiO2 증가로 SaO2가 95% 이상이 되어 단기목표를 달성하였다. 1주 후 분비물이 1/4로 감소한 것을 보아 이 간호중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 되며 주기적인 관찰 및 suction을 시행 해야겠다.
자료수집
주관적
intubation 대상자
객관적
-Meatal이 deep drowsy 하다.
-부동환자로 피부압박감이 있다.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다.
-등과 엉덩이에 grade1 정도의 발적이 있다.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이내 피부를 손상시키게 하는 요인이나 압박감이 줄어든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2주 이내 대상자의 등과 엉덩이에 발적이 사라진다.
간호계획
①Air matterr를 사용하여 엉덩이에 압박감을 감소시킨다.
②duty당 2회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③back care 시 등 마사지를 시행한다.
back care 시 환의와 시트의 주름을 펴준다.
back care 시 대변이나 소변을 보았을 경우 바로 기저귀 및 패드를 교환해준다.
back care 시 압박감이 예상되는 부위에 베개나 모포를 데어준다.
back care 시 체위를 변경해 주어 욕창을 예방한다.
간호수행
①이수O, 김미O, 허연O, 김혜O 간호사와 함께 back care를 실시하였다.
(2011.7.29. am 10:30, pm 1:30)
②back care시 엉덩이에 air mattres를 대주었다.
(2011.7.29. am 10:30)
back care 시 체위를 변경해주었다.
(2011.7.29. am 10:30 Lt. lateral)
(2011.7.29. pm 1:30 Rt. lateral)
체위 변경 시 측위를 취하는 반대편에 모포로 등과 엉덩이를 지지해 주었다.
(2011.7.29. am 10:30, pm 1:30)
back care시 주름 진 환의와 시트를 펴주었다.
(2011.7.29. am 10:30, pm 1:30)
이론적
근거
-주기적인 체위 변경은 욕창을 예방한다.
-air mattress나 모포, 베개는 체중으로 인한 피부의 압박감을 감소시켜 준다.
-등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욕창을 예방한다.
평가
-8월1일 대상자의 엉덩이와 등의 압박감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8/월4일 대상자의 엉덩이와 등의 발적 범위가 줄어든 양상을 보였다.
*결론 :적절한 간호중재로 단기목표를 달성하였고, 장기목표의 달성도 기대된다.
Ⅲ. 결론
-참고문헌
*황옥남, 전시자 외 공저(2011),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age 567~570,592
*황옥남, 김진경, 최동희 공저(2010), 성인간호학 지침서Ⅰ, 현문사, page 14~28
*황혜연, 양선희 회 공저(2007), 기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7~279
방사선 검사
Chest X-ray
임상적 의의
결핵균이 폐 전반적으로 침범하여 침윤된 곳이 많음.
(3)의학적 치료요법
내과적 치료
a.식이 요법 : NPO
b.약물 요법
구분
약물명
용량
투여방법
주 작용
핵심 부작용
이뇨제
Furosemide (20mg)
1ample
IVS
이뇨작용
항 결핵약
isoniazid(500mg)
3T #1
PO(L-tube)
1차 결핵약
항 결핵약
rifamicin(150mg)
3C #1
PO(L-tube)
1차 결핵약
항 결핵약
Pyrazinamide(50nmg)
3T #1
PO(L-tube)
1차 결핵약
pyridoxine HCl(50mg)
2T #1
PO(L-tube)
구내염
항바이러스제
raltegravir posassium
4T #2
PO(L-tube)
HIV
항바이러스제
Zidovudine
2T #2
PO(L-tube)
HIV
진해,거담제
Bromhexine(8mg)
3T #3
PO(L-tube)
객담제거
기관지확장제
Atrovent
흡입액
4EA #4
Nebulizer
기관지확장제
특수 처치
Intubation
Ventulation
C-line
A-line
2.문제목록 (Problem list)
Tb(+), HIV(+), VDRL(+), Stomatitis(+) , VRE(+) ,
3.간호진단
호흡기 분비물 제거 능력 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4.간호 과정 적용
자료수집
주관적
intubation 대상자
객관적
-객담의 양이 많고 스스로 객담을 뱉어내지 못한다.
-호흡음에서 천명음,악설음이 들린다.
-V/S- T:37.2 , P:134 , R:28 , BP:100/50
-ABGA- pCO2:85 , pO2:63, SaO2: 90%
간호진단
호흡기 분비물 제거 능력 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목표
단기목표
주기적 suction으로 5일이내 SaO2를 95%이상으로 올린다.
장기목표
지속적인 기도관리를 통해 2주 이내에 환자의 기도 내 분비물이 1/2로 감소한다.
간호계획
①호흡음을 청진한다.
②주기적으로 suction을 시행한다.
③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FiO2 올리는 것을 주치의에게 건의한다.
간호수행
①김혜O 간호사가 청진기를 이용하여 호흡음을 청진하고 EMR에 기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Lung sound: Crackle (2011.7.29. pm 3)
②김혜O 간호사가 suction 시행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2011.7.29. am8, pm10, pm1)
③김혜O 간호사가 진해,거담제를 L-tube로 투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romhexine)8mg/PO 2011.7.29. am7
김혜O 간호사가 조기O 의사의 지시를 받고 FiO2를 0.4에서 0.5로 올리는 것을 관찰하였다.
(2011. 7. 29 am9)
김혜O 간호사가 대상자의 호흡증진을 위해 침상머리를 30도 가량 올려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2011. 7. 29 am 11)
이론적
근거
-suction 원활한 가스교환을 증진시켜준다.
-거담제는 객담을 줄여준다.
-FiO2를 증가시키면 PaO2가 증가하고 SaO2도 증가한다.
-반좌위,좌위 호흡을 용이하게 해준다.
평가
-8월2일 대상자의 SaO2가 96%로 증가하였다.
-8월4일 대상자의 분비물이 1/4 정도 줄어들었다.
*결론 :주기적 suction과 FiO2 증가로 SaO2가 95% 이상이 되어 단기목표를 달성하였다. 1주 후 분비물이 1/4로 감소한 것을 보아 이 간호중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 되며 주기적인 관찰 및 suction을 시행 해야겠다.
자료수집
주관적
intubation 대상자
객관적
-Meatal이 deep drowsy 하다.
-부동환자로 피부압박감이 있다.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다.
-등과 엉덩이에 grade1 정도의 발적이 있다.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이내 피부를 손상시키게 하는 요인이나 압박감이 줄어든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2주 이내 대상자의 등과 엉덩이에 발적이 사라진다.
간호계획
①Air matterr를 사용하여 엉덩이에 압박감을 감소시킨다.
②duty당 2회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③back care 시 등 마사지를 시행한다.
back care 시 환의와 시트의 주름을 펴준다.
back care 시 대변이나 소변을 보았을 경우 바로 기저귀 및 패드를 교환해준다.
back care 시 압박감이 예상되는 부위에 베개나 모포를 데어준다.
back care 시 체위를 변경해 주어 욕창을 예방한다.
간호수행
①이수O, 김미O, 허연O, 김혜O 간호사와 함께 back care를 실시하였다.
(2011.7.29. am 10:30, pm 1:30)
②back care시 엉덩이에 air mattres를 대주었다.
(2011.7.29. am 10:30)
back care 시 체위를 변경해주었다.
(2011.7.29. am 10:30 Lt. lateral)
(2011.7.29. pm 1:30 Rt. lateral)
체위 변경 시 측위를 취하는 반대편에 모포로 등과 엉덩이를 지지해 주었다.
(2011.7.29. am 10:30, pm 1:30)
back care시 주름 진 환의와 시트를 펴주었다.
(2011.7.29. am 10:30, pm 1:30)
이론적
근거
-주기적인 체위 변경은 욕창을 예방한다.
-air mattress나 모포, 베개는 체중으로 인한 피부의 압박감을 감소시켜 준다.
-등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욕창을 예방한다.
평가
-8월1일 대상자의 엉덩이와 등의 압박감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8/월4일 대상자의 엉덩이와 등의 발적 범위가 줄어든 양상을 보였다.
*결론 :적절한 간호중재로 단기목표를 달성하였고, 장기목표의 달성도 기대된다.
Ⅲ. 결론
-참고문헌
*황옥남, 전시자 외 공저(2011),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age 567~570,592
*황옥남, 김진경, 최동희 공저(2010), 성인간호학 지침서Ⅰ, 현문사, page 14~28
*황혜연, 양선희 회 공저(2007), 기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7~279
키워드
추천자료
lung cancer
폐암 lung cancer
폐암 Lung cancer
Identification of unknown isolate from a chamber pot of toilet
ICH케이스(두개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Lung cancer Case Study[1]
[아동간호] 폐렴(Pneumonia) & 천식(Asthma)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분만실케이스 조기진통(조기산통/Preterm Labor) 문헌고찰+케이스 CASE STUDY
폐렴 간호 case,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폐렴 사례관리, 폐렴 간호진단, 아동간호학 케...
성인간호 케이스, 폐성심, cor pulmonale, ICU 케이스, 중환자실케이스, 가스교환장애, 간호...
폐렴, 폐렴정의, 폐렴분류, 폐렴병태생리, 폐렴빈도, 폐렴위험요인, 폐렴증상, 폐렴치료, 폐...
RCC(Renal cell carcinoma) 신세포암 케이스 스터디 - RCC CASE STUDY, RCC 케이스, 신세포암...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폐렴 case
아동신생아폐렴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