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공본풀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공본풀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 삼공본풀이가 제주도의 무가라는 점도 있지만 그래도 삼공본풀이와 같은 유명한 무가의 내용도 알지 못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그리스신화나 이집트신화와 같은 먼 서역의 신화는 알고 있었으면서, 우리나라, 내 조국의 신화와 세계관 등에 대해서는 거의 모르고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부끄러울 따름이다. 우리나라에도 그에 뒤지지 않을 만큼 멋진 신화와 전설이 많은데 말이다.
무속에 대해서도 강신무 정도밖에 알고 있지 못했고, 그 효과는 어느 정도 인정하고 얕잡아보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확실히 믿음을 가진 것은 아니었으나, 이번에 무속과 무당에 대해서도 조사해보면서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것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신에 따라 무구가 달라짐은 알았지만 한 무당이 여러 신을 부를 수 있다는 것은 몰랐으며, 본래 세습무와 강신무의 역할이 따로였으며, 그 둘은 전혀 다른 특성을 가졌음도 알게 되었다. 또 법사에 대해서도 처음 알게 되었다. 무당이란 과연 옛날에 어떻게 그렇게나 신성시되었는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어렵고 전문적이었으며 말 그대로 일생을 바쳐야만 한다는 점을 절실히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무속이 탄압받아왔으며 또 옛 질서와 특성이 무너져버림은 너무나도 안타까운 일로 역사를 한탄하게 만들기도 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와 6·25가 우리 전통이 많이 억눌리고 지역색이 혼재되어버린 것에 많은 영향을 주어서 더더욱 그 역사가 안타깝고 아프다.
3. 결론
삼공본풀이는 그 다른 무수한 작품들과의 동질성이 가장 큰 연구과제이다. 많은 작품들에 영향을 줄 만큼 오래되었고 작품성있는 훌륭한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다른 큰굿의 다른 거리들도 비슷할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무가는 판소리나 민요와 마찬가지로 가창 또한 매우 중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무가는 특히 더 명맥을 잇기가 어려운 장르이다. 그러니 이를 전승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신화와 전설들은 특유의 인본주의라고나 할까, 굉장히 인간적인 것이 특징이다. 신적인 존재들은 본래 인간이었던 존재들이 많고 현세에서의 복을 바라고 사람들을 지켜주는 존재가 많다. 그러한 인간적인 매력을 살려낼 수 있도록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하게 다가설 수 있도록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도 함께 들었다.
출처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이응백ㆍ김원경ㆍ김선풍 교수 감수, 한국사전연구사
韓國의 神話 (張籌根, 成文閣, 1961)
제주도무속자료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朝鮮巫俗の硏究 (赤松智城·秋葉隆, 大阪屋號書店, 1937)
제주도 무속을 통해서 본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 (이수자, 집문당, 2004
여인발복 설화의 연구 (김대숙,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네이버 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3056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http://folkency.nfm.go.kr/minsok/index.jsp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01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