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쥐팥쥐전의 보편적 의미와 권선징악의 관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콩쥐팥쥐전의 보편적 의미와 권선징악의 관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쓰기를 해보면서 팥쥐가 젓갈이 되어 배씨에게 전해졌을 때 어머니의 마음이 어떠했을까 생각을 해보니
차마 마음이 편치는 않았다.
누군가는 복수를 하는 것이 마땅하고 팥쥐가 벌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한다. 소설에서는 팥쥐가 콩쥐를 죽였을 때 콩쥐는 다시 환생하고 팥쥐는 환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것은 콩쥐가 팥쥐의 시체를 젓갈로 담갔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콩쥐가 온갖 시련을 겪고 인과응보대로 한다면 팥쥐는 벌을 받아야 하지만 그렇게 되면 또 배씨와 같은 제3의 피해자가 나타나게 되고 자신의 딸을 죽인 콩쥐는 또한 죄인이 되는 것이 마땅하게 되므로 사실 복수의 스토리가 논리적으로 명백한 ‘권선징악’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것이 복수가 드러내는 가장 큰 단점이 될 수 있는데,
어느 어미라도 자신의 딸이 아무리 나쁜 짓을 하였다 해도 딸이 죽임을 당하고 젓갈로 담가진 모습을 보고 가만히 있을 어머니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감사와 같은 권력자의 힘을 빌어 콩쥐가 소극적인 복수를 하게 만들고 그 사실을 알게 된 감사의 힘으로 대신 팥쥐를 죽음으로 몰고 가게 되는 것은 아닌 지 깨닫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데렐라형설화>가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이유는 어머니를 중심으로 자매와의 갈등이 드러나고, 그 속에서도 결코 희망을 잃지 않고 극복하며 살아온 주인공과 끝내는 권력자와의 결혼에 성공하는 모습 이 이 설화가 가진 매력이라 생각된다.
※참고 문헌※
김광순 외,국문학개론,새문사,2003
장덕순,콩쥐 팥쥐와 신데렐라,『국문학통론』,신구문화사,1963
이능우,고소설연구,선명문화사,1973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5.02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