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대중을 설득하는 파시즘.
2.본론
(1)파시즘 안의 마력적 언어.
(2)일상에 침투한 파시즘.
3.결론
-파시즘 자각하기.
-대중을 설득하는 파시즘.
2.본론
(1)파시즘 안의 마력적 언어.
(2)일상에 침투한 파시즘.
3.결론
-파시즘 자각하기.
본문내용
장소 모두 내가 참여했던 곳이다. 나는 그 곳에 무엇 때문에 있었을까. 물론 나름의 이유가 있었지만, 뚜렷한 주관을 가지고 참여한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당시 모든 매체에서는 이들 이야기뿐이었고, 또 그에 전 국민들은 열렬한 반응을 보였다. 이것은 단순한 우리나라의 국민성 때문일까, 혹은 그 이면의 무언가가 숨겨져 있는 것일까.
3.결론
권력은 무력적 억압을 통해서만 발현되지 않는다. 오히려 더 두려운 권력은, 하나하나의 개인을 대중으로 만들어 그들의 기억을 조정하고 조작하는 것이다. 이에 대중은 저항 할 수도 없고, 저항 할 필요성을 느끼지도 못한다. 한 회사에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가장 호감 가는 신입사원은 어떤 사람인가? 라는 질문에 상사에게 잘 복종하는 사람이라는 대답이 압도적이었다고 한다. ‘복종.’ 하나의 인간위에 또 다른 인간이 군림한다는 것이 정당한 것인가. 자각하지 못하지만, 이슈가 되는 사회문제의 근저에는 파시즘이 깔려있다. 이렇듯 일상의 문제를 깨뜨리고 싶다면, 먼저 그 밑의 파시즘을 발견하는 것이 먼저이다.
참고문헌)
-파시즘, 케빈 패스모어, 강유원 옮김
-파시즘의 대중심리, 빌헬름 라이히, 황선길 옮김
-파시즘 언어, 김종영
3.결론
권력은 무력적 억압을 통해서만 발현되지 않는다. 오히려 더 두려운 권력은, 하나하나의 개인을 대중으로 만들어 그들의 기억을 조정하고 조작하는 것이다. 이에 대중은 저항 할 수도 없고, 저항 할 필요성을 느끼지도 못한다. 한 회사에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가장 호감 가는 신입사원은 어떤 사람인가? 라는 질문에 상사에게 잘 복종하는 사람이라는 대답이 압도적이었다고 한다. ‘복종.’ 하나의 인간위에 또 다른 인간이 군림한다는 것이 정당한 것인가. 자각하지 못하지만, 이슈가 되는 사회문제의 근저에는 파시즘이 깔려있다. 이렇듯 일상의 문제를 깨뜨리고 싶다면, 먼저 그 밑의 파시즘을 발견하는 것이 먼저이다.
참고문헌)
-파시즘, 케빈 패스모어, 강유원 옮김
-파시즘의 대중심리, 빌헬름 라이히, 황선길 옮김
-파시즘 언어, 김종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