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이의 시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진이의 시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① 황진이(黃眞伊)의 삶.
② 시조(時調)의 개념과 구조적 특징.
③ 황진이의 시조.
⑴ 시조의 배경
⑵ 시조의 내용 및 특징 분석.
④ 현대적 가치 고찰.
⑴ 형식 측면에서의 가치.
⑵ 새로운 여성상의 가치.
⑤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기초한 것입니다.
현재 3장 6구형의 시조 형식이 형성된 시기를 구체적으로 밝히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왜냐하면 우리 시가에 있어 언문일치를 본 것이 훈민정음 반포 이후의 일이기 때문입니다. 허나 학자들의 꾸준한 연구와 논의로 시조의 형성시기를 대체로 고려조로 두고 있습니다.
시조는 시조만이 드러낼 수 있는 형식과 내용적 특성이 있는데, 3장으로 구성되어(대체로 구句는 차이가 있으나 장을 3장으로 일치) 초장(初章)·중장(中章)·종장(終章)으로 나뉩니다. 이어서 3·4자를 기본자수로 하고 3장을 이룸에 있어서 각 장이 모두 4음보로 동일하게 통사구조와 율격을 지니지만 장별 성격은 달리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종장의 초구는 3자 고정이라는 엄격한 율격이 적용됩니다. 이는 시조 형식이 지니는 특성점입니다.
시조의 구에 대한 개념 규정은 여러 가지이지만 ‘3장 6구설’과 ‘3장 12구설’이 가장 지배적이고, 시조형식의 3장 12구체가 지니는 자수는 초·중·종장 각 15자 내외로 잡아서 한 수가 소요하는 자수는 45자 내외가 되는 셈입니다.
또한 시조의 종류는 평시조, 엇시조와 사설시조로 분류됩니다.
③황진이의 시조(6수).
황진이가 지은 시조 작품은 6수로는 <청산리 벽계수야>·<동짓달 기나긴 밤을>·<내언제 신이없어>·<산은 옛산이로되>·<어져 내일이여>· <청산은 내뜻이요> 등이 전해집니다.
<청산리 벽계수야>의 배경.
청산리(靑山裏) 벽계수(碧溪水)ㅣ야 수이 감을 자랑마라.일도창해(一到滄海)면 도라오기 어려오니,명월(明月)이 만공산(滿空山)니 수여 간들 엇더리.
조선 종실〔宗室〕에 벽계수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자기는 다른 사람들과는 달리 황진이를 만나더라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늘 큰소리를 쳤다. 이 말을 들은 황진이가 사람을 시켜 달 밝은 가을 밤. 그를 개성의 명소인 만월대로 오게 하여 낭랑한 목소리로 이 시조를 읊어 유혹하니 이 노래를 들은 벽계수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 이에 도취되어 타고 온 나귀에서 떨어져 세상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었다고 전한다.
『벽계수는 이미 만월대 상춘정 난간에 서서 송도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어느덧 석양이 비껴 지나가고 중추의 밝은 달빛이 휘영청 비치기 시작했다. 벽계수는 초석만이 남아 있는 고려 궁지를 달빛 아래 바라보며 마음이 무거워짐을 느꼈다.
한편 진이는 계단 아래 나귀를 잡고 있는 소동(小童)에게 물어 벽계수임을 확인했다. 그리하여 그녀는 돌층계를 조심스럽게 올라 궁지의 한 주춧돌에 가 앉았다. 그리고는 노래하기 시작했다.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벽계수는 여창(女唱)의 청아한 목소로도 목소리려니와, ‘벽계수’라는 말에 귀가 번쩍 트였다. 초장을 듣고 난 벽계수는 자기도 모르게 상춘정을 내려가고 있었다.
일도 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밝은 달, 맑은 가을바람 속에 옥을 굴리는 듯 중장이 이어진다. 벽계수는 귀신에 흘린 듯 종장이 나오기를 기다린다.
명월리 만공산하니 쉬어 간들 어떠리.
그야말로 구슬을 바수느 듯 입신의 경지에 닿은 기막힌 창이었다. 종장의 여운이 교교한 만월의 달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05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34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