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고향, 동승 - 영화 마음의 고향, 희곡 동승 : 스토리정리 & 인상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음의 고향, 동승 - 영화 마음의 고향, 희곡 동승 : 스토리정리 & 인상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마음의 고향, 동승
-영화 마음의 고향, 희곡 동승 : 스토리정리 & 인상비교-


1. 배경 설명 - 동리가 내다 보이는 심산 고찰
2. 인물 정보 제공
3. 아씨 등장하는 장면 - 아씨를 통해 어머니를 떠올리는 동승
4. 동승이 털목도리 / 털 부채에 집착하는 장면
5. 미망인이 동승에게 수양아들로 갈 것을 제시하는 장면
6. 미망인이 주지에게 허락을 구하는 장면
7. 토끼 / 산비둘기 들키는 장면 - 극 전체의 위기 부분
8. 들킨 이후 갈등 장면 - 미망인의 수양아들로 갈 수 없게 된 동승
9. 동승이 절을 떠나는 장면 - 고찰에서의 삶을 버리고 속세로 내려간 동승

본문내용

건의 인과관계가 뚜렷하며 개연성을 확실히 드러내는 반면, 영화는 시각적 정보와 우연성에 의존한 면이 아쉬운 것 같다. 또한, 이 영화는 희곡의 영향이 영화 안에서 드러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 장소에서 두 인물이 대사로만 정보를 풀어내는 장면(제사 준비하면서 초부와 스님이 도념에 대해 이야기 하는 장면)이 몇 번 보이면서 영화로서는 약간 어색한 느낌을 준다.
영화는 단지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도념이 꿈을 꾼 것, 인물의 표정연기, 염주 속 연꽃 그림이 희곡과는 다른 영화만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희곡에 비해 비교적 늦게 인물 정보가 제시되지만 인물 등장 이후 자연스럽게 제시되기 때문에 어색한 느낌이 없다. 또한 영화는 장소와 시간의 제약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대사만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희곡에 비해 자연스럽고 안정적인 진행을 보여준다. 희곡 ‘동승’은 하루 안에 모든 사건을 풀어놓아야하므로 도념과 미망인의 교류와 같은 것들은 극 밖의 일(과거)로 대사로 간단히 제시된다. 영화 ‘마음의 고향’은 제사 지내기 5일전부터 제시 끝나고 며칠 뒤의 시간을 담고 있으므로 희곡에 비해 많은 내용을 영화 안에 담을 수 있게 되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5.07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4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