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리아누스 황제와 하드리안 장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드리아누스 황제와 하드리안 장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아누스는 네르바와 트라야누스의 정책을 고수하여 이탈리아의 빈민가정의 자여들을 양육하고 교육하기 위해 국가 기금을 사용하고 그 기금의 분배를 집행하도록 아동 복지 감독관을 임명했다. 아울러 제국의 여러 자치제들에 있는 중등학교 교육과 은퇴교사들의 연금을 위해 기금을 제공했다.
Ⅲ. 하드리안 장벽 (Hadrian's Wall)
서기122년, 46세가 된 하드리아누스는 브리타니아로 건너갔다.
1. 하드리안 장벽이 세워지게 된 배경의 원인:
1) 브리간테스족의 반란.
* 117년 브리타니아의 브리간테스족이 봉기하여 제 9사단이 궤멸하는 일이 일어났으나
브리타니아의 2개 군단이 반격에 나서 진압.
* 로마는 당시에 3개 군단을 상주하고 있었다.
- 웨일스지방의 키디프와 가까운 이스카(오늘날의 칼리온)에는 제2군단.
- 잉글랜드 서부의 데바(오늘날의 체스트)에는 20군단.
- 잉글랜드 동부의 에부라쿰(오늘날의 요크)에 제6군단이 주둔.
이러한 문제로 장벽건설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입장이 되었다.
로마는 패권국가였으므로 그 패권 아래 있는 자들도 보호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반란을 일으킨 브리간테스족 전체가 로마를 거부한 것은 아니다. 특히 남부지역의 브리간테스족은 상당히 로마화 되어 있었고 117년에 반란이 일어났을 당시 그들은 로마 병사만 죽인 것이 아니라, 로마쪽에 동조한 브리간테스들도 죽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하드리아누스가 생각한 브리타니아 방위체계 제 구축은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어떻게 하면 ‘산적’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성과가 바로 하드리아누스 성벽(Hadrian's Wall)이다
2. 하드리안 장벽의 특징.
1) 성벽의 위치
타인강 하구에서 뉴캐슬을 지나 솔웨이 만까지 80로마마일(약117Km)을 석벽과 망루와 요새로 채워버린 브리타니아 속주의 방어설비다.
2) 성벽의 단면도.
‘북’은 로마제국의 영토밖에고 ‘남’은 제국의 영토 안을 가르킨다.
①참호- 너비9.1미터, 깊이9미터의 V자형 참호, 성벽위를 관통하는 감시통로에서 참호의 밑바닥까지 보이도록 되어 있다. 목적은, 야만족 기마병을 막는 것, 무리를 지어 몰려드는 집단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
②석벽- 북쪽을 향한 부분의 높이는 6미터 내지 10미터, 남쪽은 4~6미터, 지형적 특징으 로 높이가 일정하지 않다. 석벽전체의 두끼는 3미터 안팎이다.
③도로- 석벽을 다라 뻗어있는 길로서, 말이나 수레도 쉽게 지나다닐 수 있는 완전포장 도로인 로마식 가도로 2차선이다.
④보루 - 높이 3미터, 너비6미터, 성벽을 따라 길게 이어진 제방이다. 보루는 두 개가
나란히 만들어져 있고 그 사이에 5의 참호가 있다.
⑤참호- 너비와 깊이가 모두 6미터의 안팎.
성벽을 돌파한 기마병이 있더라도 ④와⑤로 저지할 수 있고, 떼지어 습격해오는 야만족도 이중으로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리아누스 장벽은 1부터5까지 전체를 가리킨다.
그리고 성벽 요소마다 성채와 요새와 망루가 새워지고, 그곳에는 전략상의 이유와 지형을 고려하여 수비대가 배치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13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5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