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케이스 (asthma)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식 케이스 (asthm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헌고찰>>
1.천식
* 정상해부 및 생리
☐ 원인☐
☐ 천식의 분류 ☐
☐ 병태 생리 ☐
☐ 합병증 ☐
☐ 임상증상 ☐
☐ 진단적 검사 ☐
☐ 치료법 ☐

1. 간호사정
<일반적 사정>
이름: 천 OO
나이: 65세
성별: M
2. 진단검사
3. 약물
4. Problem list
5.간호과정
【 우선순위 1 】
【 우선순위 2 】

☐ 참고문헌 ☐

본문내용

, 구역, GOT, GPT 상승
(Trimebutine maleate)
효> 위장관 기능 조절제, 소화관 운동의 내성 조절인자인 위장관내의 내부 경통에 주로 작 용하여 위장관 운동을 정상화 시킴
용> 3~6T #3ac
부> 피로감, 열작감, 환기, 오심, 구토, 설사, 변비, 소화장애
금> 임산부
(Mephirol)
효> 점액의 S-S bond를 전달하여 점액의 점도 감소, 호흡기계 급, 만성 질환시 점액, 점액 층 분비물의 용해 배출, 수술시 호흡기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
용> 1회 1캅셀, 1일 3회
주> 과민증
부> 위부 불쾌감, 복부팽만감, 발진, 홍반
(Ipratropium Br)
효> 4급 암모늄 anticholinergic bronchodilator,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 천식 등 기도 폐색성 장애에 인한 호흡곤란에 사용
용> respule : 성인 0.4~2.0㎖를 1일 4회, 3~4세 0.4~2.0㎖를 1일 3회
aerosol : 1일 1~2번 1일 3~4회 흡입(Max. 160mcg/d)
주> 산동작용이 있으므로 눈을 향해 분사하지 않도록 함
부> 두통, 구역, 심계항진, 발진, 구갈
금> atropine 과민증 환자, 녹내장, 전립선 비대증 환자
(Ofloxacin)
효> Quinolone계 항균제. 세균의 DNA 합성을 저해하여 살균작용. G(+), (-)균에 대해 광 범위 항균력 . Nalidixic acid 내성의 장내 세균과 Ampicillin 내성의 임균, GM 내성 의 녹농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
용> inj : 1일 2회 200㎎씩 투여
ear drop : 1회 6~10적씩 1일 2회 점이. 점이 후 약 10분간의 이욕
PO : 300~600㎎ #2~3
eye drop : 1일 3회, 1회 1적 점안
eye oint : 1일 3회 도포
부> 발진, 오심, 구토, 식욕부진, 구내염, 불면
금> 정제는 소아, 임신 수유부에게 투여하지 말 것
a(Moxifloxacin)
효> quinolone계 항균제 호흡기 감염, 급성 부비동염,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폐렴 피부 및 연조직 감염
용> 1일 1회 식사와 무관하게 투여
부>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두통, 초조, 발진, 칸디다증, 무력감
금> 16~18세 미만 청소년기 투여금기
(Budesonide)
효> Corticosteroid
용> turbuhalor : 성인 1일 400~1600mcg #02월 04일, 경증 400~800mcg, 중증 800~1600mcg
5~7세 소아 1일 200~800mcg #2~4
Aerosol : 성인 200~400mcg씩 1~2회
중증 1회 4번씩 1일 2회 분무
소아(12세 이하) : 1회 1번 200mcg씩 1일 2회
중증 1회 2번 400mcgtlr 1일 2회 분무
respule : 유지용량 성인 1회 1~2개 1일 2회, 소아 1회 ½~1개 1일 2회
흡입투여 시작시, 심한 천식기간 치료시 : 성인 1회 2~4개 1일 2회, 소아 1회 1~2개 1 일 2회
주> 구강과 인두에서 칸디다증에 감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매 흡입 후 물로 입안을 세척
부> 기관지 협착(β₂agonist를 병용 흡입함으로써 예방가능)
금> 임산부, 과민한 환자, 폐결핵, 진균 바이러스 감염 환자, 중증도의 기관지확장증 환자
4. Problem list
① asthma진단받음.
② dyspnea, coughing, sputum 심함.
③ wheezing(숨을 헐떡거림)
④ SaO2 94% 측정됨.
⑤ general weakness
⑥ 전해질 불균형
5.간호과정
【 우선순위 1 】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dyspnea양상 있으며 wheezing청진 됨.
* sputum 및 coughing, sweating 있음.
* 10년 전부터 asthma로 Tx.
♥주관적 자료
*“숨쉬기가 너무 힘이 들어...“
간호진단
# 기관지 점막의 부종 및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계획
♥목적설정
* dyspnea양상이 줄어든다.
* 객담 배출이 용이하며 체액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방지한다.
*
♥간호중재
① 흡입제를 사용하여 기관지를 확장하고, 산소요법을 한다.
②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적절한 체위를 유지하며 흡기를 습화 시킨다.
③ 활력징후를 check하고 이상이 있으면 바로 조치를 취한다.
④ 주위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한다..
간호수행
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교육하고 숨쉬기 편하고 객담 배출 용이한 좌위를 취하도록 하였다
② 가습기를 틀어주어 객담을 묽게해주었다.
③ 산소호흡기를 자꾸 벗고 있어서 적용하는 이유와 필요성을 설명해었다.
④ 보호자가 없을때 환자에게 물을 떠다 드렸다.
간호평가
입원 당시dyspnea양상 심했으나 현재 많이 호전 되어 SaO2 97%정도로 유지되었다.
【 우선순위 2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흡입기 사용 후 전혀 헹구지 않음.
♥주관적 자료
* "흡입기 사용하는데 입이 아파..“
간호진단
흡입기 사용교육 및 처치 후 관리 부족과 관련된 구강점막변화
간호계획
♥목적설정
* 대상자는 정확한 흡입기 사용법에 대해 알고 처방에 따라 시행한다.
* 대상자는 흡입기 사용 후 입을 헹군다.
♥간호중재
① 대상자에게 흡입기 사용법을 교육하고 처방에 따라 흡입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②대상자에게 흡입기 사용 후에는 반드시 입을 헹궈야 한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간호수행
① 흡입기의 적절한 사용법을 설명합.
② 흡입기 사용후 입을 행궈야한다는 사실을 설명함.
③ 보호자와 환자에게 구강감염에대해 설명함.
④ 환자가 입을 행구는것을 확인하고 격려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흡입기를 처방에 따라 잘 시행 하였다.
참고문헌
-임상간호의 핵심 / 도서출판 한우리 / 강병철 / 2003년
-성인간호학 上Ⅱ / 수문사 / 서문자 외 / 1999년
-진단검사와 간호 / 수문사 / 송경애 외 / 1998년
-표준화된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분류 / 정문각 / 최순희 외 / 2003년
-성인간호학상권 / 현문사/ 전시자 외 / 2000년
-호흡기계 문제를 가진 대상자 간호 / 현문사 / 손덕옥 / 2001년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 현문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5.14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5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