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문헌고찰
1)정의
2)원인
3)증상 및 징후
4)병태생리
5)치료
6)간호
2.간호과정
1)간호사정
2)간호과정
Ⅲ결론
참고문헌
Ⅱ본론
1.문헌고찰
1)정의
2)원인
3)증상 및 징후
4)병태생리
5)치료
6)간호
2.간호과정
1)간호사정
2)간호과정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pH
7.35-7.45
7.501
pCO2
35-45 mmHg
33.7
pO2
83-108 mmHg
136
ABEe(Base excess)
-2±2 mmol/ℓ
HCO3(bicarbonate)
22-26 mmol/ℓ
26.1
TCO2(CO2 content)
23-27 mmol/ℓ
24.4
SO2(O2 saturation)
95-100%
99.2
*종합의의 및 분석 :대체적으로 정상범위에 속한다.
항 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단백
면역
화학
검사
lgG
694-1618 ㎎/㎗
lgA
68-378 ㎎/㎗
lgM
60-263 ㎎/㎗
lgD
<14 ㎎/㎗
C3
88-201 ㎎/㎗
C4
16-47 ㎎/㎗
면역
혈청
검사
CRP(C-reactive protein)
<0.8 ㎎/㎗
RF(rheumatoid factor)
<20 IU/㎖
특수
화학
검사
T3
80-200 ng/㎗
T4
4.5-12.5 ug/㎗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
0.3-5.0 uIU/㎖
CK-MB
<3.8 ng/㎖
C-peptide
1-3.5 ng/㎗
AFP(alpha-fetoprotein)
<12.5 ng/㎖
CEA(carcioembryonic antigen)
<5.0 ng/㎖
CA19-9
<36 U/㎖
CA125
<35 U/㎖
Ca 15-3
<231.3 U/㎖
SCC(squamous Cell Carcinoma)(T4-4)
<2.0 ng/㎖
NSE(Neuron Specific Enolase)
<18.4 ng/㎖
5) 기타 혈액 검사
*종합의의 및 분석 :검사를 실행하지 않음
6. 방사선 검사
항 목
검 사 일
결 과
임상적 의의
7. 기타검사
항 목
검 사 일
결 과
임상적 의의
2)간호과정
◎상기환자1998년 spontaneous pneumothorax(Lt)로 bullectomy & mechanical pleurodesis by VATS시행
◎2007년 abd pain으로 local에서 GERD소견 있다고 했으나 minimal charge였으며 ppz 복용 후 증상효과 없었음
◎2007년 5~6월에 하나병원에서 척수 공동증, 다발부 압박골절로 척수공동 경학하 안락술과 경피적 척추체 성형술 시행 후 잡고 설수는 있으나 잘 걸을 수 없었다 하며 보호자 간병 힘들어 요양 병원 입원하여 지내던 중 2~3DA전부터 sputum양이 늘었으며 금일부터 dyspnea 있고 까라지는 양상 보여 본원 ER을 통해 adm함.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피부가 빨갛고 근육 위축 가능성을 보임
부동으로 인한 피부 손상 위험성
다리 근육의 위축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마사지를 시행한다.
마사지를 시행해줌으로써 근위축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근위축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
피부에 욕창이 생기지 않게 한다.
체위를 바꾸어준다.
체위를 바꾸어 줌으로써 욕창이 생기지 않는다.
욕창이 나타나지 않았다.
Back care를 시행한다.
Back care를 함으로써 욕창이 생기지 않는다.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환자 몸에 땀을 닦아준다.
욕창이 생길 환경을 없애준다.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환자의 몸에 빨간 부위 등이 있나 자주 관찰한다.
환자의 몸을 사정하여 상태를 파악한다.
환자의 몸에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객담배출곤란에 관한 비효과적인 기도 청결
기도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호흡 상태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호흡 깊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
호흡상태가 좋아짐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숨을 쉴 때 가래가 있어 그르렁 거린다.
suction을 하여 기도 청결을 유지한다.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함으로 인해 호흡을 쉽게 할 수 있다.
기도 청결이 유지되었다.
ABGA를 사정한다.
동맥혈가스분석을 보고 환자의 상태를 사정 할 수 있다.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WBC와 Basophils가 올라가 있는 상태이다.
의료적 처치로 인한 감염위험성
시술로 인한 감염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매시간 V/S를 체크한다.
V/S를 체크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간호 시행 시 무균술을 시행한다.
감염이 일어날 확률을 줄여준다.
감염이 일어나지 않았다.
tracheostomy 삽입부위를 관찰한다.
삽입부위를 사정하여 감염상태를 확인한다.
tracheostomy 삽입부위가 깨끗해 졌다.
Ⅲ.결론
폐렴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간호내용을 배울 수 있었다. 예전에는 폐렴에 대해 아무 것도 아니라는 생각을 했지만 환자와 간호하는 것 또 문헌고찰을 하면서 내가 폐렴에 대해 잘 몰랐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고 있던 걸 깨달았습니다.
김모씨에게 시행했던 IPC사용, 체위변경, Back care, 땀 닦아주기, 피부사정 등으로 피부의 욕창과 위축을 예방하였고 기도를 청결히 유지하기 위해 호흡을 사정, suction을 시행하였으며 ABGA를 사정하였다. 또한 WBC가 올라가있는 상태에서 시술에 따른 감염을 없애기 위하여 간호수행시 무균술을 사용하였으며 tracheostomy 삽입부위도 관찰하였고 매시간 V/S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많이 좋아졌고 빠른 시일안에 병동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다.
이렇게 이론이 아니라 직접 실습 나가서 환자들을 대해서 그런지 더욱더 잘 들어온 것 같다고 생각된다. 또한 폐렴환자들이 아파하는 것을 보고 어떤 식의 간호를 해줘야 할 것인지 생각해보았다.
이처럼 나뿐만아니라 폐렴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폐렴에 대해 알고 예방법을 제대로 있으면 한다.
참고문헌
최태섭 1997.9.5 누구나 할수있는 민간의료백과 일월서각
김춘원 2004.8.15 병리학개론 신광출판사
이향련외 2008.1.25 성인간호1 여섯째판(수정판) 수문사
백동호 2003.5.10 병리학 제5판 고문사
대한중환자의학회 2006.9.5 중환자의학 군자출판사
Gakken 2008.8.5 간호사를 위한 질병이야기 개정3판 도서출판의학서원
전시자외 2009.1.20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병리학
결 과
임상적 의의
pH
7.35-7.45
7.501
pCO2
35-45 mmHg
33.7
pO2
83-108 mmHg
136
ABEe(Base excess)
-2±2 mmol/ℓ
HCO3(bicarbonate)
22-26 mmol/ℓ
26.1
TCO2(CO2 content)
23-27 mmol/ℓ
24.4
SO2(O2 saturation)
95-100%
99.2
*종합의의 및 분석 :대체적으로 정상범위에 속한다.
항 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단백
면역
화학
검사
lgG
694-1618 ㎎/㎗
lgA
68-378 ㎎/㎗
lgM
60-263 ㎎/㎗
lgD
<14 ㎎/㎗
C3
88-201 ㎎/㎗
C4
16-47 ㎎/㎗
면역
혈청
검사
CRP(C-reactive protein)
<0.8 ㎎/㎗
RF(rheumatoid factor)
<20 IU/㎖
특수
화학
검사
T3
80-200 ng/㎗
T4
4.5-12.5 ug/㎗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
0.3-5.0 uIU/㎖
CK-MB
<3.8 ng/㎖
C-peptide
1-3.5 ng/㎗
AFP(alpha-fetoprotein)
<12.5 ng/㎖
CEA(carcioembryonic antigen)
<5.0 ng/㎖
CA19-9
<36 U/㎖
CA125
<35 U/㎖
Ca 15-3
<231.3 U/㎖
SCC(squamous Cell Carcinoma)(T4-4)
<2.0 ng/㎖
NSE(Neuron Specific Enolase)
<18.4 ng/㎖
5) 기타 혈액 검사
*종합의의 및 분석 :검사를 실행하지 않음
6. 방사선 검사
항 목
검 사 일
결 과
임상적 의의
7. 기타검사
항 목
검 사 일
결 과
임상적 의의
2)간호과정
◎상기환자1998년 spontaneous pneumothorax(Lt)로 bullectomy & mechanical pleurodesis by VATS시행
◎2007년 abd pain으로 local에서 GERD소견 있다고 했으나 minimal charge였으며 ppz 복용 후 증상효과 없었음
◎2007년 5~6월에 하나병원에서 척수 공동증, 다발부 압박골절로 척수공동 경학하 안락술과 경피적 척추체 성형술 시행 후 잡고 설수는 있으나 잘 걸을 수 없었다 하며 보호자 간병 힘들어 요양 병원 입원하여 지내던 중 2~3DA전부터 sputum양이 늘었으며 금일부터 dyspnea 있고 까라지는 양상 보여 본원 ER을 통해 adm함.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피부가 빨갛고 근육 위축 가능성을 보임
부동으로 인한 피부 손상 위험성
다리 근육의 위축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마사지를 시행한다.
마사지를 시행해줌으로써 근위축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근위축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
피부에 욕창이 생기지 않게 한다.
체위를 바꾸어준다.
체위를 바꾸어 줌으로써 욕창이 생기지 않는다.
욕창이 나타나지 않았다.
Back care를 시행한다.
Back care를 함으로써 욕창이 생기지 않는다.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환자 몸에 땀을 닦아준다.
욕창이 생길 환경을 없애준다.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환자의 몸에 빨간 부위 등이 있나 자주 관찰한다.
환자의 몸을 사정하여 상태를 파악한다.
환자의 몸에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객담배출곤란에 관한 비효과적인 기도 청결
기도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호흡 상태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호흡 깊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
호흡상태가 좋아짐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숨을 쉴 때 가래가 있어 그르렁 거린다.
suction을 하여 기도 청결을 유지한다.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함으로 인해 호흡을 쉽게 할 수 있다.
기도 청결이 유지되었다.
ABGA를 사정한다.
동맥혈가스분석을 보고 환자의 상태를 사정 할 수 있다.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WBC와 Basophils가 올라가 있는 상태이다.
의료적 처치로 인한 감염위험성
시술로 인한 감염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매시간 V/S를 체크한다.
V/S를 체크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간호 시행 시 무균술을 시행한다.
감염이 일어날 확률을 줄여준다.
감염이 일어나지 않았다.
tracheostomy 삽입부위를 관찰한다.
삽입부위를 사정하여 감염상태를 확인한다.
tracheostomy 삽입부위가 깨끗해 졌다.
Ⅲ.결론
폐렴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간호내용을 배울 수 있었다. 예전에는 폐렴에 대해 아무 것도 아니라는 생각을 했지만 환자와 간호하는 것 또 문헌고찰을 하면서 내가 폐렴에 대해 잘 몰랐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고 있던 걸 깨달았습니다.
김모씨에게 시행했던 IPC사용, 체위변경, Back care, 땀 닦아주기, 피부사정 등으로 피부의 욕창과 위축을 예방하였고 기도를 청결히 유지하기 위해 호흡을 사정, suction을 시행하였으며 ABGA를 사정하였다. 또한 WBC가 올라가있는 상태에서 시술에 따른 감염을 없애기 위하여 간호수행시 무균술을 사용하였으며 tracheostomy 삽입부위도 관찰하였고 매시간 V/S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많이 좋아졌고 빠른 시일안에 병동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다.
이렇게 이론이 아니라 직접 실습 나가서 환자들을 대해서 그런지 더욱더 잘 들어온 것 같다고 생각된다. 또한 폐렴환자들이 아파하는 것을 보고 어떤 식의 간호를 해줘야 할 것인지 생각해보았다.
이처럼 나뿐만아니라 폐렴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폐렴에 대해 알고 예방법을 제대로 있으면 한다.
참고문헌
최태섭 1997.9.5 누구나 할수있는 민간의료백과 일월서각
김춘원 2004.8.15 병리학개론 신광출판사
이향련외 2008.1.25 성인간호1 여섯째판(수정판) 수문사
백동호 2003.5.10 병리학 제5판 고문사
대한중환자의학회 2006.9.5 중환자의학 군자출판사
Gakken 2008.8.5 간호사를 위한 질병이야기 개정3판 도서출판의학서원
전시자외 2009.1.20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병리학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Case study - 폐렴
아동 간호학 vase study 폐렴, 탈장
Pneumonia Case Study(소아과 폐렴 사례보고서)
중환자실 폐렴, 협심증 case
[아동간호학] 폐렴case study
아동 폐렴 Case Study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pneumonia) 간호과정
Case study-폐렴
Case 폐렴(bacteria pneumonia)
[Case] Bronchopneumonia (폐렴)
소아과case study-pnuemonia(폐렴)-20쪽
[아동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성인간호 폐렴(pneumonia)
Aspiration Pneumonia(흡인성폐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