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퇴비화의 의미
Ⅲ. 퇴비화의 공정
1. 폐기물 선별
2. 마쇄, 펄프화와 균질화
3. 생물학적 분해
4. 양생과 건조
5. 마무리
Ⅳ.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특징
1. 수분
2. 이물질
3. 부패
Ⅴ.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목적
Ⅵ.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필요성
Ⅶ.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문제점
Ⅷ.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처리 방안
참고문헌
Ⅱ. 퇴비화의 의미
Ⅲ. 퇴비화의 공정
1. 폐기물 선별
2. 마쇄, 펄프화와 균질화
3. 생물학적 분해
4. 양생과 건조
5. 마무리
Ⅳ.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특징
1. 수분
2. 이물질
3. 부패
Ⅴ.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목적
Ⅵ.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필요성
Ⅶ.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문제점
Ⅷ.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처리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저렴하다.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수단으로서 퇴비화는 처리비용 절감은 물론 퇴비 제조 후에도 유기질 비료로서 상품가치가 부여되므로 환경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Ⅶ.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문제점
①톱밥과 같은 팽화제 부족(요즘에 톱밥의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가 어려졌다.)
②염분문제
③주방 음식물 찌꺼기가 들어있는 퇴비화기에서 높은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침출수가 발생되며, 이런 침출수를 쉽게 관리하고 회수할 수 있는 기계장치는 없음
BOD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오수 속의 유기물을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요구량) 좋은 건조 조건에서도 음식물 쓰레기는 반드시 침출수가 발생(소금기가 있을 경우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 조해성)
※③번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계는 미국을 위시해 지구촌 어느 나라에도 없다.
Ⅷ.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처리 방안
음식물찌꺼기는 수분함량이 높아서 쓰레기 압축 시 압축에 의한 부피 감소 효과를 거둘 수 없고 소각처리 시는 발열량이 낮아 비경제적이다. 또한 대부분이 생분해성이기 때문에 아주 빠른 속도로 분해하여 악취가 발생하므로 보관, 운반 및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현재 음식물찌꺼기의 처리방법은 매립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으나 냄새 및 침출수 발생 등의 2차 공해요인이 되기도 하며 무엇보다도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의 효과적인 처리방안을 강구해야 할 시점에 놓인 것이다.
그 중 가능한 대안으로써 혐기성소화와 퇴비화를 들 수 있다. 음식물 찌꺼기의 고형물함량은 20~25% 정도라서 고체상 혐기성소화(Solid State Anaerobic Digestion) 공정을 거쳐야 처리가 가능하다. 유럽에서는 쓰레기의 고형소화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고도의 기술과 시설투자 및 운영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음식물찌꺼기의 적정 처리 대안으로써 음식물찌꺼기의 재활용과 발생원에서의 원천적인 감량화가 대두되었고, 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음식물찌꺼기의 퇴비화 방안이 구체화되기에 이르렀다. 음식물찌꺼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패속도가 빨라서 악취 및 해충번식으로 인한 심미적 불쾌감 때문에 발생현지에서의 퇴비화 처리가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발생원에서 퇴비화 처리가 곤란할 경우에는 공동수거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음식물찌꺼기의 발생현황과 특성을 규명하여 이를 통한 수거체계 확립이 가장 기본적으로 정립되어야 할 과제라 여겨진다.
참고문헌
김민호·손무정·이재효·최병순 공역(1999), 흙과 퇴비와 유기물, 동화기술
농축산 폐기물의 퇴비화, 동화기술, 한국유기성폐기물자원화협의회
변화, 한국유기성폐기물자원화협의회 학회지 제 3권 제 1호
지재성 외(1995), 쓰레기 퇴비화시설의 설계, 운영지침 및 모델개발, 한국자원재생공사
장기운·이인복·임재신(1995),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퇴비의 부숙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의 전병관·허당(1997),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에 관한 기초연구, 유기성폐기물자원화학회지
한국 환경정책 평가 연구원(2002),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별 기술 및 경제성 분석
Ⅶ.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문제점
①톱밥과 같은 팽화제 부족(요즘에 톱밥의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가 어려졌다.)
②염분문제
③주방 음식물 찌꺼기가 들어있는 퇴비화기에서 높은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침출수가 발생되며, 이런 침출수를 쉽게 관리하고 회수할 수 있는 기계장치는 없음
BOD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오수 속의 유기물을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요구량) 좋은 건조 조건에서도 음식물 쓰레기는 반드시 침출수가 발생(소금기가 있을 경우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 조해성)
※③번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계는 미국을 위시해 지구촌 어느 나라에도 없다.
Ⅷ.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처리 방안
음식물찌꺼기는 수분함량이 높아서 쓰레기 압축 시 압축에 의한 부피 감소 효과를 거둘 수 없고 소각처리 시는 발열량이 낮아 비경제적이다. 또한 대부분이 생분해성이기 때문에 아주 빠른 속도로 분해하여 악취가 발생하므로 보관, 운반 및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현재 음식물찌꺼기의 처리방법은 매립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으나 냄새 및 침출수 발생 등의 2차 공해요인이 되기도 하며 무엇보다도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의 효과적인 처리방안을 강구해야 할 시점에 놓인 것이다.
그 중 가능한 대안으로써 혐기성소화와 퇴비화를 들 수 있다. 음식물 찌꺼기의 고형물함량은 20~25% 정도라서 고체상 혐기성소화(Solid State Anaerobic Digestion) 공정을 거쳐야 처리가 가능하다. 유럽에서는 쓰레기의 고형소화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고도의 기술과 시설투자 및 운영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음식물찌꺼기의 적정 처리 대안으로써 음식물찌꺼기의 재활용과 발생원에서의 원천적인 감량화가 대두되었고, 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음식물찌꺼기의 퇴비화 방안이 구체화되기에 이르렀다. 음식물찌꺼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패속도가 빨라서 악취 및 해충번식으로 인한 심미적 불쾌감 때문에 발생현지에서의 퇴비화 처리가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발생원에서 퇴비화 처리가 곤란할 경우에는 공동수거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음식물찌꺼기의 발생현황과 특성을 규명하여 이를 통한 수거체계 확립이 가장 기본적으로 정립되어야 할 과제라 여겨진다.
참고문헌
김민호·손무정·이재효·최병순 공역(1999), 흙과 퇴비와 유기물, 동화기술
농축산 폐기물의 퇴비화, 동화기술, 한국유기성폐기물자원화협의회
변화, 한국유기성폐기물자원화협의회 학회지 제 3권 제 1호
지재성 외(1995), 쓰레기 퇴비화시설의 설계, 운영지침 및 모델개발, 한국자원재생공사
장기운·이인복·임재신(1995),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퇴비의 부숙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의 전병관·허당(1997),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에 관한 기초연구, 유기성폐기물자원화학회지
한국 환경정책 평가 연구원(2002),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별 기술 및 경제성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