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펀드오브헤지펀드,펀드오브헤지펀드국제현황,펀드오브헤지펀드국내현황,사모펀드,헤지펀드특성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헤지펀드,펀드오브헤지펀드,펀드오브헤지펀드국제현황,펀드오브헤지펀드국내현황,사모펀드,헤지펀드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헤지펀드의 정의

2. 펀드오브헤지펀드의 출현

3. 펀드오브헤지펀드의 현황
(1) 펀드오브헤지펀드의 국내 현황
(2) 펀드오브헤지펀드의 국제 현황

4. 제도적 여건 및 가능성

I. 국내 사모펀드 제도 검토
(1) 사모펀드의 도입 과정
(2) 규율체계
1) 헤지펀드 특성 관련 자본시장통합법(이하 ‘자통법’) 상의 규정 검토
2) 헤지펀드 관련 규율 대상 검토
① 사모펀드 설립
② 사모펀드 운용자 규제
③ 사모펀드의 사용자 규제
④ 사모펀드의 투자자 규제

II. 헤지펀드의 국내 허용 방안
1. 서술
2. 헤지형 사모펀드의 설립, 운용자, 판매자 및 투자자 규율
(1) 헤지형 사모펀드 설립
(2) 헤지형 사모펀드 운용업자
(3) 헤지형 사모펀드 판매업자
(4) 투자자

5. 펀드오브헤지펀드의 수익률과 위험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자를 선택하여 투자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높은 위험분산효과를 제공하고 하나의 헤지 펀드에 모든 자산을 투자하는 경우보다 수익의 변동을 줄여준다.
특히 펀드 오브 헤지 펀드는 특정 한 가지 전략에 기반해 한명의 펀드 매니저 기술에 의존하기 보다는 투자자에게 다양한 투자 전략에 기반해 다양한 운용 인력을 제공한다. 다각적인 투자 전략을 보유한 펀드 오브 헤지펀드는 포트폴리오 내에 수많은 헤지 펀드를 담고 있어 다양한 운용 매니저들에 의해 그리고 다양한 시장 환경으로 인해 그 위험 부담을 분산시킨다. 즉, 이러한 분산 투자는 급작스런 변동 요인에 대한 노출위험도를 분산시키면서 전통적인 투자방식과는 사뭇 다른 방식으로 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모든 투자가 그러하듯, 자신에게 맞는 헤지펀드 선택을 위한 리서치에는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것은 투자자들에게 부담을 주기에 충분하다. 또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그에 필요한 리소스나 노하우를 갖추지 못하다. 그런 점에서 펀드오브헤지펀드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팀을 이루어 강도 높은 리서치를 통해 헤지펀드가 안전한 투자방식인가에 관한 잠재성을 규명하는 노력을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 이들은 지속적인 포트폴리오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리소스를 갖추고 있다 .
또 다른 펀드 오브 헤지 펀드의 결정적인 이익 중 하나는 진입가격(Price of Entry) 입니다. 헤지펀드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액수는 일반적으로 약 1백만 달러이기 때문에, 소규모의 투자자들에게는 현실적으로 큰 부담입니다. 이에 반해 펀드 오브헤지 펀드는 공동투자의 기회를 창출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투자보다 훨씬 낮은 금액으로 투자를 가능하게 합니다. 게다가 헤지펀드에 비해 환매가 쉽기 때문에 유동성면에서도 개인 투자자들에게 큰 이점으로 다가온다.
마지막으로 구매자의 성과 측면에서도 기존의 뮤추얼 펀드와 상관관계가 낮아 투자자의 리스크를 경감시키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습니다. 흔히 헤지펀드가 투기성이 강한 것으로 아는데 헤지펀드의 80% 이상은 연 8~12%의 수익을 추구하는 보수적인 펀드이다. 이러한 헤지펀드 중에서 수익률이 높고 안정정인 상품들로만 골라 분산투자함으로써 위험은 낮추고 이익은 최대한으로 낼 수 있다. 특히 공매도를 이용 서브프라임 사태에서도 수익을 낸 세계 최대의 펀드오브헤지펀드 운용사인 만 인베스트먼트는 대표적인 케이스이다.
반면 펀드 오브 헤지 펀드의 운용자는 보통 총 운용자산의 1%로 정해져 있는 운용보수, 투자성과의 10%인 성과보수 이외에 보수반환(retrocession), 킥백(kickback) 및 유지보수(trailing fee) 등과 같은 하위펀드의 운용자와 펀드 오브 펀드의 운용자가 다름에 따라 발생하는 이중 서비스 수수료가 부과된다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비싼 펀드오브헤지펀드는 투자 운용 매니저들이 투자된 헤지 펀드에 대해 엄청난 양의 정성적 정량적 조사와 분석 그리고 실사를 함으로써 안정적 운용이 가능하며, 안정에 대한 대가로 좀 더 비싼 투자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펀드 오브 헤지펀드는 아직 규제가 확립되지 않은 헤지펀드 시장에서 숙련된 팀을 활용해 심도 깊은 그리고 일반 투자자들이나 연기금신탁(운용)사들이 파악하기 어려운 정성적, 정량적 방법의 조사를 통해 한층 안정된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헤지 펀드에 바로 투자하는 것 보다는 펀드 오브 헤지 펀드 투자를 통해 수익률이 약간 감소하는 대신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고 안정적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펀드오브헤지펀드의 또 다른 단점으로는 펀드 오브 헤지펀드 운용자들이 하위 펀드 운용자를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헤지펀드 매니저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방법으로 투자하고 자산을 관리하기 때문에 이것을 미리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장 상황에 상관없이 수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분석하기가 어렵다. 물론 헤지펀드의 잘 공개되지 않는 속성을 보완하고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헤지펀드 매니저들은 보통 본인의 자산을 펀드에 투자하기도 한다. 하지만 결국은 모든 투자가 종료되어야만 그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후행성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펀드오브헤지펀드는 소액 투자자들에게도 헤지펀드의 높은 수익률을 누릴 수 있게 해주는 동시에, 개별 헤지펀드 투자의 위험 상쇄효과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지닌 금융상품이라 이야기 할 수 있다. 동북아 금융허브 국가의 꿈, 그 꿈을 이루는데 이제 갓 도입단계인 헤지펀드는 큰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이고 그 과정에서 펀드오브헤지펀드는 헤지펀드 투자의 구심점 역할을 해내며 발전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참고자료
(조사과정에서 참조한 출처를 모두 기록, 본문에 직접적으로 언급한 자료의 출처는 본문에 직접기록해 놓았음)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뉴스토마토 (http://www.newstomato.co.kr)
대한금융신문 (http://www.kbanker.co.kr)
한국증권연구원 (http://www.ksri.org)
매일경제 (http://mk.co.kr)
한국경제 (http://hankyung.com)
우리투자증권 (http://wooriwm.com)
뉴스핌 (http://www.newspim.com)
삼성경제연구소(http://www.seri.org)
PricewaterhouseCoopers (http://www.pwc.com)
Hedge fund Research (http://www.hedgefundresearch.com)
International Financial Services (http://ifsl.org.uk)
Standard and Poors (http://www.standardandpoors.com)
미국 연방 준비제도 이사회 (http://www.federalreserve.gov)
Credit Suisse/Tremont Hedge Index (http://hedgeindex.com)
구글 (http://www.google.com)
금융위원회(http://www.fsc.go.kr)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05.14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5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