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3. 장기이식 절차 및 제도
(1)장기이식에 관한법률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발표됨에 따라 2000년 2월 9일부터 뇌사가 합법화되었고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 에서 이식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게 됨.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볍률이 발효되기 이전의 경우 장기이식 부분에서의 사회복지사의 활동은 구체적인
법적 뒷받침 없이 진행되어왔으나, 법률이 제정되고 발효되면서부터는 직무수행의 법적 근거가 마련 됨.
①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발표됨에 따라 2000년 2월 9일부터 뇌사가 합법화
② 이전의 경우 장기이식 부분에서의 사회복지사의 활동은 구체적인 법적 뒷받침 없이 진행
(2)장기이식의료기관및뇌사판정기관지정
-“장기 등의 기증 등에 관한 등록 및 상담을 위한 사회복지사가 있어야 한다”라고 규정
4.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방법
- 의료 사회복지사의 역할 -
(1) 기증자와 이식대상자간의 순수성 평가
① 사회심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기증자로 적합한지를 사정한다.
② 기증자가 적출수술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사정한다.
③ 기증자와 이식자 대상자의 관계확인과 순수성을 평가를 한다.
(2) 이식수술 전, 이식대상자와 기증자, 가족 에 대한 사회심리적지지
사회복지사는 이식수술 전, 이식대상자와 가족, 기증자들이 겪게 되는 사회심리적 문제를 파악하여
적응할 수 있도록 경제적 자원연계 등의 도움을 줄 수 있음.
(3) 기증자와 이식환자에 대한 사후관리
이식수술 후, 새로운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이식환자 모임이나 다양한 집단 프로그램 등을 통해 도와줌
(4) 이식대상자와 기증자의 대변자 역할
이식대상자와 기증자의 사회심리적인 면을 파악하고 그들의 욕구를 대변할 수 있음.
-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 방법 -
이식전단계: 사정과평가상담→응급승인→이식대상자선정승인신청서류
(1) 사정과 평가상담
- 장기이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식에 필요한 안정된 사회 심리적 환경, 경제적 환경을
구성하는 등의 지원을 함.
의뢰과정: 담당 주치의가 사회복지사에게 의뢰→ 보호자와 환자 상담→ 사정과 평가→ 사회복지사의 소견→
평가내용을 기록한 사본 보관 → 원본을 회신
(2) 응급승인
- 응급으로 수술해야 할 경우, 관련서류를 갖추어 팩스로 신청하면 응급으로 승인이 가능
(3) 이식대상자 선정승인신청 서류
- 이식대상자 선정승인 신청서와 이식대상자 선정사유서는 신청인이 직접 작성하는 것을 원칙
서류에는 이식대상자 선정승인 신청서, 이식대상자 선정사유서, 신분확인 서류, 관계확인 서류, 보호자
동의서 등이 필요함.
(2)이식후단계
① 입원 중 개입
- 병실을 방문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심리적 지지면담을 진행
- 보호자와 면담하면서 병실생활에서 불편사항은 없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적절하게 개입계획을 수립
② 퇴원 후
- 규칙적인 약 복용과 관리가 중요함을 안내
- 외래치료를 할 때, 사회사업실을 방문하도록 하고 문제상황을 확인하면 적절하게 개입계획을 수립
- 이식인 자조모임을 소개하고 참여할 것을 권유
(1)장기이식에 관한법률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발표됨에 따라 2000년 2월 9일부터 뇌사가 합법화되었고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 에서 이식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게 됨.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볍률이 발효되기 이전의 경우 장기이식 부분에서의 사회복지사의 활동은 구체적인
법적 뒷받침 없이 진행되어왔으나, 법률이 제정되고 발효되면서부터는 직무수행의 법적 근거가 마련 됨.
①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발표됨에 따라 2000년 2월 9일부터 뇌사가 합법화
② 이전의 경우 장기이식 부분에서의 사회복지사의 활동은 구체적인 법적 뒷받침 없이 진행
(2)장기이식의료기관및뇌사판정기관지정
-“장기 등의 기증 등에 관한 등록 및 상담을 위한 사회복지사가 있어야 한다”라고 규정
4.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방법
- 의료 사회복지사의 역할 -
(1) 기증자와 이식대상자간의 순수성 평가
① 사회심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기증자로 적합한지를 사정한다.
② 기증자가 적출수술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사정한다.
③ 기증자와 이식자 대상자의 관계확인과 순수성을 평가를 한다.
(2) 이식수술 전, 이식대상자와 기증자, 가족 에 대한 사회심리적지지
사회복지사는 이식수술 전, 이식대상자와 가족, 기증자들이 겪게 되는 사회심리적 문제를 파악하여
적응할 수 있도록 경제적 자원연계 등의 도움을 줄 수 있음.
(3) 기증자와 이식환자에 대한 사후관리
이식수술 후, 새로운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이식환자 모임이나 다양한 집단 프로그램 등을 통해 도와줌
(4) 이식대상자와 기증자의 대변자 역할
이식대상자와 기증자의 사회심리적인 면을 파악하고 그들의 욕구를 대변할 수 있음.
-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 방법 -
이식전단계: 사정과평가상담→응급승인→이식대상자선정승인신청서류
(1) 사정과 평가상담
- 장기이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식에 필요한 안정된 사회 심리적 환경, 경제적 환경을
구성하는 등의 지원을 함.
의뢰과정: 담당 주치의가 사회복지사에게 의뢰→ 보호자와 환자 상담→ 사정과 평가→ 사회복지사의 소견→
평가내용을 기록한 사본 보관 → 원본을 회신
(2) 응급승인
- 응급으로 수술해야 할 경우, 관련서류를 갖추어 팩스로 신청하면 응급으로 승인이 가능
(3) 이식대상자 선정승인신청 서류
- 이식대상자 선정승인 신청서와 이식대상자 선정사유서는 신청인이 직접 작성하는 것을 원칙
서류에는 이식대상자 선정승인 신청서, 이식대상자 선정사유서, 신분확인 서류, 관계확인 서류, 보호자
동의서 등이 필요함.
(2)이식후단계
① 입원 중 개입
- 병실을 방문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심리적 지지면담을 진행
- 보호자와 면담하면서 병실생활에서 불편사항은 없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적절하게 개입계획을 수립
② 퇴원 후
- 규칙적인 약 복용과 관리가 중요함을 안내
- 외래치료를 할 때, 사회사업실을 방문하도록 하고 문제상황을 확인하면 적절하게 개입계획을 수립
- 이식인 자조모임을 소개하고 참여할 것을 권유
추천자료
간이식 환자 간호
신장 또는 간 이식 이후의 아동과 청소년의 삶의 질
조혈모세포이식의 적응증과 이식과정
신장이식에 대하여
간이식에 대하여
골수이식-이론
골수이식 환아 REPORT
골수이식을 위한 평가사항 및 절차와 준비사항 및 합병증
골수이식 (骨髓移植 / Bone Marrow Transplantation) - 대상, 골수자원, 조직 적합성 검사, ...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이식증(섭식장애) 이해하기(이식증의 진단과 분류, 이식증의 특성과...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아동기 주요 섭식장애(攝食障碍) - 이식증의 개념과 증상 ...
[성인간호학] 신장이식술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멘토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