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ERP 개요
1.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전사적 자원관리)의 개념
2. ERP 기능적 특성
Ⅱ. ERP 도입과 구축
1. ERP 도입의 의의
2. ERP 도입의 필요성과 목적
3. ERP 도입후 기대효과
Ⅲ. ERP 사례
1. Boeing
2. LG 전자
3. 한국중공업
Ⅳ. ERP 향후 전망
Ⅴ. 소견
Ⅵ. 참고문헌
1.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전사적 자원관리)의 개념
2. ERP 기능적 특성
Ⅱ. ERP 도입과 구축
1. ERP 도입의 의의
2. ERP 도입의 필요성과 목적
3. ERP 도입후 기대효과
Ⅲ. ERP 사례
1. Boeing
2. LG 전자
3. 한국중공업
Ⅳ. ERP 향후 전망
Ⅴ. 소견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스템들과의 인터페이스(BP system)를 감안하여 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기능들을 우선적으로 구축하였다. 또한 S패키지의 기본 프로세스인 FI(Financial Accounting), CO(Controlling), AA, MM(Materials, Management), PP(Production, Planning), SD(Sales & Distribution)를 우선으로 하여, S벤더 자체 소스프로그램은 가능한 한 수정하지 않고 이미 개발된 기능을 도입, 정ㄱ용하고 우선순위를 감안하여 선별적으로 적용하였다.
(3) ERP적용상의 문제점
A기업은 ERP를 도입하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관련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S패키지의 전체 및 각 모듈, 동업종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컨설팅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시스템을 적기에 구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둘째, 시스템 구현시 자기들의 요구대로 개발하는데 익숙한 현업의 경우,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는 ERP 시스템 구현 개념에 쉽게 적응하지 못했다.
셋째, S패키지의 업무 프로세스를 국내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국내세법의 적용 등 어려운 부분이 많았고 A기업의 업무로 전환 시에는 시스템 전체의 통합을 저해하는 경우도 있었다.
Ⅳ. ERP 향후 전망
제조업 분야에서 MRP로 시작하여 발전된 ERP의 전형적인 기능은 다양한 제조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금융, 유통, 서비스 등 다른 산업부문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확대되고 있다. 또한, ERP 패키지는 기업 간의 정보를 통합하거나 공유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단순한 Package 형태에서 기존의 많은 솔루션들과 통합해 나가야 한다.
먼저, 기능적 요구 사항으로는 전형적인 ERP 기능으로서 설계, 생산, 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통합은 물론 EDI, CALS, EC(Electronic Store Front), PDM, Concurrent Engineering Package(CAD + Workflow + Engineering Document Management),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DW(Business Intelligence), KMS 등 기업 내외부의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되어야 하고, 주문, 계획, 반복, 단속, 연속생산 등 다양한 형태의 혼성 생산방식을 지원하며, 소규모 공장으로부터 대규모 다국적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기업과 업종을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기술적 요구사항으로는 개방형 시스템, 관계형 또는 객체지향형 및 분산 DBMS와 4세대 언어, GUI 지원, customizing, maintenance의 용이함을 위한 객체지향 설계 및 개발 그리고 component technology의 사용, Web 기술 적용 등 최신 정보기술을 들 수 있다.
셋째, 시스템적 요구사항으로는 완전한 인터페이스와 통합 기능, 풍부한 기능성, 다국적 기업에의 대응, 설치 및 응용의 용이성 등을 들 수 있다.
확장된 ERP는 공급망 관리(SCM) 모듈의 정교화, 통합 고객관리 (CRM)과 유한생산계획(APS) 개념의 구체화 및 전략기업관리(SEM)의 통합화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향후 E-business 패러다임이 기업 환경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판단되는 현 시점에서 기업 업무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ERP 솔루션이 인터넷 기반의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 및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즉, E-business로 새로이 기업환경이 전환되는 입장에서 기업의 핵심 업무인 재무/생산관리 외에 확장 ERP로 기업들에게 많은 관심과 함께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경영의사결정 부문의 SEM, 고객 서비스 부문의 CRM, 유통/물류 부문의 SCM 부문의 솔루션들이 인터넷 기반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ERP의 발전방향을 정리하여 보면, 궁극적으로 ERP는 전략적으로 각 산업에 있어서 조직 내외의 전사적 시스템들과의 통합된 정보시스템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수렴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E-business라는 기업환경에 맞게 ERP솔루션이 인터넷 기반의 기술과 어울려서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Ⅴ. 소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시장 환경이 글로벌화 됨에 따라서 생산 및 물류 거점이 국내외 여러 곳에 산재하게 되고 글로벌화 전략을 전사적인 최적의 자원관리 및 최적의 제품공급, 자재수급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것을 실현시켜 주는 것이 ERP 솔루션이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들은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업무 프로세스의 표준화를 위해 ERP 도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비즈니스 관행이 모두 E-Business를 기초로 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업들은 ERP를 도입해서 E-Business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ERP를 도입하여 기업 내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야 E-Business 환경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기업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업들이 명심해야 할 부분은 ERP시스템을 구축할 때의 어려운 점은 기술적이 부분보다는 변화를 관리 하는 부분이 더 크다. ERP 도입으로 인해 작업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전에 일하던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일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거부감과 저항을 잘 관리하여 모든 조직구정원에서 변화를 수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ERP 시스템을 실제로 사용하는 현업의 저항과 비협조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관건이다.
이에 대해 우리 조는 ERP 구현 과정에서 성공 가능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방법은 ERP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대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요인들이 ERP 시스템구축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더욱더 세심하고 과학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Ⅵ. 참고문헌 및 논문
김영렬, “ERP 전략과 실천”, 대영사, 2003.
김영렬·한대문, “e-비즈니스시대의 ERP&CRM", 대영사, 2005.
황의중, “사례 연구를 통한 국내 ERP 성공과 실패 요인 분석”, 건국대 경영대학원, 2003.
(3) ERP적용상의 문제점
A기업은 ERP를 도입하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첫째, 관련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S패키지의 전체 및 각 모듈, 동업종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컨설팅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시스템을 적기에 구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둘째, 시스템 구현시 자기들의 요구대로 개발하는데 익숙한 현업의 경우,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는 ERP 시스템 구현 개념에 쉽게 적응하지 못했다.
셋째, S패키지의 업무 프로세스를 국내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국내세법의 적용 등 어려운 부분이 많았고 A기업의 업무로 전환 시에는 시스템 전체의 통합을 저해하는 경우도 있었다.
Ⅳ. ERP 향후 전망
제조업 분야에서 MRP로 시작하여 발전된 ERP의 전형적인 기능은 다양한 제조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금융, 유통, 서비스 등 다른 산업부문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확대되고 있다. 또한, ERP 패키지는 기업 간의 정보를 통합하거나 공유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단순한 Package 형태에서 기존의 많은 솔루션들과 통합해 나가야 한다.
먼저, 기능적 요구 사항으로는 전형적인 ERP 기능으로서 설계, 생산, 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통합은 물론 EDI, CALS, EC(Electronic Store Front), PDM, Concurrent Engineering Package(CAD + Workflow + Engineering Document Management),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DW(Business Intelligence), KMS 등 기업 내외부의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되어야 하고, 주문, 계획, 반복, 단속, 연속생산 등 다양한 형태의 혼성 생산방식을 지원하며, 소규모 공장으로부터 대규모 다국적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기업과 업종을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기술적 요구사항으로는 개방형 시스템, 관계형 또는 객체지향형 및 분산 DBMS와 4세대 언어, GUI 지원, customizing, maintenance의 용이함을 위한 객체지향 설계 및 개발 그리고 component technology의 사용, Web 기술 적용 등 최신 정보기술을 들 수 있다.
셋째, 시스템적 요구사항으로는 완전한 인터페이스와 통합 기능, 풍부한 기능성, 다국적 기업에의 대응, 설치 및 응용의 용이성 등을 들 수 있다.
확장된 ERP는 공급망 관리(SCM) 모듈의 정교화, 통합 고객관리 (CRM)과 유한생산계획(APS) 개념의 구체화 및 전략기업관리(SEM)의 통합화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향후 E-business 패러다임이 기업 환경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판단되는 현 시점에서 기업 업무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ERP 솔루션이 인터넷 기반의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 및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즉, E-business로 새로이 기업환경이 전환되는 입장에서 기업의 핵심 업무인 재무/생산관리 외에 확장 ERP로 기업들에게 많은 관심과 함께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경영의사결정 부문의 SEM, 고객 서비스 부문의 CRM, 유통/물류 부문의 SCM 부문의 솔루션들이 인터넷 기반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ERP의 발전방향을 정리하여 보면, 궁극적으로 ERP는 전략적으로 각 산업에 있어서 조직 내외의 전사적 시스템들과의 통합된 정보시스템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수렴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E-business라는 기업환경에 맞게 ERP솔루션이 인터넷 기반의 기술과 어울려서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Ⅴ. 소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시장 환경이 글로벌화 됨에 따라서 생산 및 물류 거점이 국내외 여러 곳에 산재하게 되고 글로벌화 전략을 전사적인 최적의 자원관리 및 최적의 제품공급, 자재수급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것을 실현시켜 주는 것이 ERP 솔루션이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들은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업무 프로세스의 표준화를 위해 ERP 도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비즈니스 관행이 모두 E-Business를 기초로 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업들은 ERP를 도입해서 E-Business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ERP를 도입하여 기업 내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야 E-Business 환경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기업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업들이 명심해야 할 부분은 ERP시스템을 구축할 때의 어려운 점은 기술적이 부분보다는 변화를 관리 하는 부분이 더 크다. ERP 도입으로 인해 작업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전에 일하던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일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거부감과 저항을 잘 관리하여 모든 조직구정원에서 변화를 수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ERP 시스템을 실제로 사용하는 현업의 저항과 비협조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관건이다.
이에 대해 우리 조는 ERP 구현 과정에서 성공 가능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방법은 ERP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대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요인들이 ERP 시스템구축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더욱더 세심하고 과학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Ⅵ. 참고문헌 및 논문
김영렬, “ERP 전략과 실천”, 대영사, 2003.
김영렬·한대문, “e-비즈니스시대의 ERP&CRM", 대영사, 2005.
황의중, “사례 연구를 통한 국내 ERP 성공과 실패 요인 분석”, 건국대 경영대학원, 2003.
추천자료
21세기 패러다임의 대두 ERP
[HRM] LG전자의 인사관리 (성과 및 보상체계 중심으로 접근)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인적자원관리의 특성과 과제
LG전자의 노경관계 를 통해 본 한국 노사관계의 시사점
LG전자의 인사관리 분석
전략적인적자원개발론
사례를 통한 ERP시스템 분석,ERP 성공 사례 (현대건설),ERP 실패 사례(빅뱅사),ERP 향후전망
[LG전자][LG][신인사정보시스템]LG전자의 연혁, LG전자의 경영이념, LG전자의 신인사정보시스...
관리자에게 필요한 효과적인 경영기법을 열거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 아웃소싱, 스피드경...
공급체인관리(SCM) 구축사례
ERP성공에 있어서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관리 성공사례, 실패사례 - 구글, 넷앱, 노키아, 까르푸
CRM의 기업 활용사례 및 전략적 활용
[회계정보시스템] ERP도입기업의 성공사례 (ABC마트, 풀무원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