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보고서] 효소의 활성 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물학 보고서] 효소의 활성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제목 : 효소의 활성 측정
◆ 실험 목적
◆ 서론
◆ 실험 재료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Further Study
◆ 참고 문헌 및 기타 자료

본문내용

큰 이유는 의 농도가 잘못 측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반의 실험에서는 각 조별로 의 농도를 맞출 때 서로 다른 농도의 를 섞어 조합했다.
그 때 잘못 조합하여 농도가 잘못 조절되어 오히려 적은 농도의 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잘못 만들어진 것은 아마 의 농도가 잘못 표시되서 그렇거나, 피펫으로 옮길 때 비율을 잘못조정하여 그랬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실험 도중, 느리지만 가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농도가 변화했을 수 도 있다.
◆ Further Study
* Michaelis-menten의 이론
1913년 Michaelis와 Menten은 효소반응속도에 관한 이론을 발표하였다. 그들에 의하면 기질(S)이 효소에 의해 생성물(P)로 변화되는데는 우선 효소(E)와 기질사이에 효소-기질 복합체(E-S Complex)를 생성하고 이것이 반응생성물과 유리의 효소로 해리되며 그 효소는 다시 미반응의 기질에 결합하여 같은 반응계를 반복하게 된다는 것이다.
:ES-Complex을 생성하는 반응속도정수
:ES-Complex가 해리하는 반응속도정수
:ES-Complex가 분해하여 생성물 P가 생기는 반응속도정수
반응의 평형상태에는 ES의 분해속도와 생성속도가 같으므로 다음의 관계가 성립하고
따라서 다음의 두 식이 성립한다.
식(a)에서 Km을 일반식으로 Michaelis정수라고 한다. ES Complex의 생성속도가 분해속도에 비해 현저히 큰 경우 반응속도(V)는 V=k3[ES]로 주어지며, S가 포화농도에 있는 반응의 최대초속도(Vmax)는 전효소량에 비례한다. 즉 Vmax==k3[E]로 된다. 일반적으로 어느 [S]에 있는 속도 V와 [S]→∞(포화상태)에 있어서의 최대속도 Vmax와의 관계는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식(b)와 식(c)에 의해 (d)식이 성립하고 이 식을 Michaelis-Menten식이라고 하며 다음의 그래프와 같이 나타낸다.
◆ 참고 문헌 및 기타 자료
Campbell NA, Reece JB, <생명과학 8판>, 전상학 등 옮김, 바이오 사이언스, 2008년
서울연세대학교 생물학과 (http://165.132.32.25/~biology/)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Catalase)
블로그 (http://howtowhy.blog.me/120119149829)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50522)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16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60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