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물학 실험 - 온도, pH가 효소반응에 미치는 영향
가) 실험 이론과 원칙
나) 실험 재료와 방법
다) 실험 결과
라) 고찰과 결론
마) 참고 문헌
가) 실험 이론과 원칙
나) 실험 재료와 방법
다) 실험 결과
라) 고찰과 결론
마) 참고 문헌
본문내용
photometer를 사용해서 5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다) 실험 결과
1. 실험 결과
1) 아밀라아제의 활성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
50℃
37℃
15℃
무처리 전분
포도당
Blank
OD at
520㎚
-0.0143
-0.0134
0.3422
-0.2363
0.8723
0
2) 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pH의 효과
pH 2.7
pH 5.5
pH 10.0
무처리 전분
포도당
Blank
OD at
520㎚
0.396
0.313
0.255
-0.147
1.06
0
2. 상기의 실험 결과를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하시오.
1) 온도의 효과
2) pH의 효과
라) 고찰과 결론
이번 실험의 목표는 전분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amylase)의 효소 촉매활성에 미치는 요인들 중 반응 중의 온도와 pH가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는 것이다. 먼저 온도가 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이론상으로 아밀라아제는 37℃에서 활성도가 최대이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큰 오차가 생겼다. 37℃에서의 수치 값이 50℃, 15℃보다 크게 나와야하는데 우리는 15℃>37℃>50℃ 순으로 수치 값이 나왔다. 그래도 아밀라아제가 작용하여 무처리 전분보다는 수치 값이 크게 나왔다. 하지만 포도당과 비교했을 때 다른 온도에서는 물론이고 최적온도인 37℃에서도 흡광도 차이가 너무 컸다. 실험이 제대로 되지 않은 이유는 실험온도에 정확히 맞추지 않고 실험을 했던 것과 아밀라아제에 이물질이 들어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우리는 pH가 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아밀라아제의 최적pH는 7이다. 이번 실험 역시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이론상으로는 pH 7에 가장 가까운 pH 5.5에서 포도당과의 수치 값 차이가 적게 나타나야 되는데 pH 10.0, pH 5.5, pH 2.7순으로 포도당과의 수치 값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실험이 제대로 되지 않은 이유는 시약을 넣을 때는 피펫을 각 시약마다 하나씩 사용해야하는데 실수로 다른 시약에 썼던 피펫을 또 다른 시약에 사용하였다. 그래서 실험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 같다. 다음부터는 이런 실수가 없도록 하여 정확한 실험 값이 나오도록 해야겠다.
마) 참고 문헌
아주대학교 교수, 생물학 실험, 제6판, 아주대학교출판부, 경기도 수원, 2004년 출판 40~42p
두산세계대백과
현대일반화학, 자유아카데미
http://www.postech.ac.kr/life/pe/
다) 실험 결과
1. 실험 결과
1) 아밀라아제의 활성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
50℃
37℃
15℃
무처리 전분
포도당
Blank
OD at
520㎚
-0.0143
-0.0134
0.3422
-0.2363
0.8723
0
2) 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pH의 효과
pH 2.7
pH 5.5
pH 10.0
무처리 전분
포도당
Blank
OD at
520㎚
0.396
0.313
0.255
-0.147
1.06
0
2. 상기의 실험 결과를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하시오.
1) 온도의 효과
2) pH의 효과
라) 고찰과 결론
이번 실험의 목표는 전분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amylase)의 효소 촉매활성에 미치는 요인들 중 반응 중의 온도와 pH가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는 것이다. 먼저 온도가 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이론상으로 아밀라아제는 37℃에서 활성도가 최대이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큰 오차가 생겼다. 37℃에서의 수치 값이 50℃, 15℃보다 크게 나와야하는데 우리는 15℃>37℃>50℃ 순으로 수치 값이 나왔다. 그래도 아밀라아제가 작용하여 무처리 전분보다는 수치 값이 크게 나왔다. 하지만 포도당과 비교했을 때 다른 온도에서는 물론이고 최적온도인 37℃에서도 흡광도 차이가 너무 컸다. 실험이 제대로 되지 않은 이유는 실험온도에 정확히 맞추지 않고 실험을 했던 것과 아밀라아제에 이물질이 들어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우리는 pH가 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아밀라아제의 최적pH는 7이다. 이번 실험 역시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이론상으로는 pH 7에 가장 가까운 pH 5.5에서 포도당과의 수치 값 차이가 적게 나타나야 되는데 pH 10.0, pH 5.5, pH 2.7순으로 포도당과의 수치 값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실험이 제대로 되지 않은 이유는 시약을 넣을 때는 피펫을 각 시약마다 하나씩 사용해야하는데 실수로 다른 시약에 썼던 피펫을 또 다른 시약에 사용하였다. 그래서 실험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 같다. 다음부터는 이런 실수가 없도록 하여 정확한 실험 값이 나오도록 해야겠다.
마) 참고 문헌
아주대학교 교수, 생물학 실험, 제6판, 아주대학교출판부, 경기도 수원, 2004년 출판 40~42p
두산세계대백과
현대일반화학, 자유아카데미
http://www.postech.ac.kr/life/pe/
추천자료
pH미터를 사용하여 미지의 수용액의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화공기초실험결과)
훅의 법칙 실험결과보고서
역학적 에너지 보존(강체의 공간운동장치) 실험결과 보고서
환경지구물리학 GPR탐사 실험결과보고서
회전운동과 관성모멘트측정 ㅡ 물리실험결과보고서
제 21장 이진 위상 천이 변조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에 관한 실험결과보고서
흙의 함수 비 실험결과 보고서
[생물공학] 회분식 미생물의 배양 : 대장균을 액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생장곡선을 확인, 대...
휘트스톤 브리지 [Wheatstone bridge] 실험결과보고서
16 소신호 공통 드레인 및 공통 게이트 JFET증폭기 실험결과
2장 논리회로와 간략화 실험결과 및 3장 오픈컬렉터와 3상태 버퍼
강자성 히스테리시스 (Ferromagnetic Hyteresis) (이론, 데이터, 토의 + 사진 + 동영상, 실험...
Chapter 01.길이의 측정 (실험결과 및 분석) - 버니어 캘리퍼 & 마이크로미터
일반 화학 실험Ⅰ결과보고서 - 2) 재결정과 거르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