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목적
■주의 사항
■실험 장비
■실험 순서
■결과 및 분석
■고 찰
■함수비시험(Water Content Test)의 결론
■주의 사항
■실험 장비
■실험 순서
■결과 및 분석
■고 찰
■함수비시험(Water Content Test)의 결론
본문내용
8
7.14
평 균
7.16
Ww = WW - DW, WS = DW - CW, W = WS + WWS W(%) =
▣ 함수비
-Wa : 용기와 습윤토의 중량(gf)
-Wb : 용기와 노건조토의 중량(gf)
-Wc : 용기의 중량(gf)
▣ 간극비
▣ 간극률
▣ 포화도
▣ 습윤단위중량
▣ 건조단위중량
▣ 포화단위중량
▣ 수중단위중량
▣ 상대밀도
-emax : 가장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
-emin : 가장 조밀한 상태의 간극비
-e : 자연 상태의 간극비
■고 찰
1. 남부운동장 흙의 함수량이 부족해서 임의로 100g의 물을 첨가하였다.
2. 중량을 소숫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함에 따라 완전한 실험값이 아니었다.
3. 정확한 실험 값을 얻기 위해서 건조용 캔의 뚜껑을 닫아야 하는데 실험여건상 닫지 못했다.
■함수비시험(Water Content Test)의 결론
토목구조물 시공에 있어 지반의 안정성은 토목구조물의 안정성과 직결된다. 공사현장에서는 적정한계 함수비가 존재하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는 완전 건조된 흙은 자연에서는 불가능하지만, 어느 정도는 건조한 흙으로 지반을 설계 및 시공해야 한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풀, 나무 등 식물들이 있는 흙(중정원)과 풀, 나무 등 식물들이 없는 사막상태와 유사한 흙(남부운동장)과의 함수비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수있었다. 이를 토대로 식물이 있으면 함수비가 높아지고, 식물이 없으면 함수비가 낮아진다는 사실을 유추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식물이 많은 지역과 식물이 없는 지역간의 함수비의 차이를 고려하여 지반을 설계 및 시공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14
평 균
7.16
Ww = WW - DW, WS = DW - CW, W = WS + WWS W(%) =
▣ 함수비
-Wa : 용기와 습윤토의 중량(gf)
-Wb : 용기와 노건조토의 중량(gf)
-Wc : 용기의 중량(gf)
▣ 간극비
▣ 간극률
▣ 포화도
▣ 습윤단위중량
▣ 건조단위중량
▣ 포화단위중량
▣ 수중단위중량
▣ 상대밀도
-emax : 가장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
-emin : 가장 조밀한 상태의 간극비
-e : 자연 상태의 간극비
■고 찰
1. 남부운동장 흙의 함수량이 부족해서 임의로 100g의 물을 첨가하였다.
2. 중량을 소숫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함에 따라 완전한 실험값이 아니었다.
3. 정확한 실험 값을 얻기 위해서 건조용 캔의 뚜껑을 닫아야 하는데 실험여건상 닫지 못했다.
■함수비시험(Water Content Test)의 결론
토목구조물 시공에 있어 지반의 안정성은 토목구조물의 안정성과 직결된다. 공사현장에서는 적정한계 함수비가 존재하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는 완전 건조된 흙은 자연에서는 불가능하지만, 어느 정도는 건조한 흙으로 지반을 설계 및 시공해야 한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풀, 나무 등 식물들이 있는 흙(중정원)과 풀, 나무 등 식물들이 없는 사막상태와 유사한 흙(남부운동장)과의 함수비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수있었다. 이를 토대로 식물이 있으면 함수비가 높아지고, 식물이 없으면 함수비가 낮아진다는 사실을 유추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식물이 많은 지역과 식물이 없는 지역간의 함수비의 차이를 고려하여 지반을 설계 및 시공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