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액성 한계 시험(KS F 2303)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흙의 액성 한계 시험(KS F 2303)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시험 제목

2.시험 목적과 이론

3.시험 기구

4.시험 방법

5.결과 산출방법

6.시험 결과

7.사진 자료

8.고찰

9.참고 문헌

본문내용

산술눈금에 함수비를 기록하여 이들점에 가까운 직선을 구하고 이를 유동곡선이라고 한다.
8) 유동곡선에서 낙하횟수를 25회에 해당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로 한다.
9) 액성한계를 위 시험방법으로 구할수 없을시에는 NP (non-plastic)로 한다.
5.결과 산출방법
가. 데이터 쉬트를 작성한다.
함수비(%) = (물의중량 / 흙의 중량) * 100 (%)

나. 유동곡선을 그린다.
함수비를 세로축으로, 낙하횟수를 가로축(대수)에 취하여 반대지수상에 그리면 유동곡선이 되며 대략 직선으로 나타난다.

다. 유동지수 I 와 액성한계 W를 구한다.
유동곡선에서 낙하횟수가 25회 일때의 함수비가 액성한계 W 이며 유동곡선의 기울기는 유동지수 I 가 된다.

즉 I = (w2-w1) / log (N2/N1),
6.시험 결과
액성 한계 시험
시험 번호



함수비 통(can)
A
B
C
can+습윤토 WW,g
107g
115g
121g
can+건조토 DW,g
95g
102g
107g
can CW,g
50g
51g
52g
수분 무게 Wω,g
12g
13g
14g
건조토 무게 Ws,g
45g
51g
55g
함수비 %
26.67%
25.49%
25.45%
Brass-cup 낙하수
15
18
17
선형 희귀 분석에 의한 액성한계(LL) 와 유동지수 (FI)
시험
번호
실측값
희귀 분석에 필요한 계산
타격수 N
함수비 Y , %
X =log(N)
X^2
X*Y
x*y
x^2
y^2
1
15
26.67%
1.1760
1.3829
31.3639
-0.0356
0.0020
0.64
2
18
25.49%
1.2552
1.5755
31.9950
-0.0131
0.0012
0.1444
3
17
25.45%
1.2304
1.5138
31.3136
-0.0041
0.0001
0.1764
합계
77.61
3.6616
4.4722
94.6725
-0.0528
0.0033
0.9608
Xm=1.2205 Ym=25.87
시험번호 1번 x=-0.0445 y= 0.8
시험번호 2번 x=0.0347 y=-0.38
시험번호 3번 x=0.0099 y=-0.42
a=-17.15%
b=46.81%
p=-0.9377(거의직선)
액성 한계 (LL) = a*Log(25) +b = 22.83%
유동 지수 (FI) = -17.15% (유동곡선의 기울기)
7.사진자료

8.고찰
채성진: 액성한계 실험을 하는 목적은 결국 시공을 함에 있어 안전성등 여러 가지 문제르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 있어서 그 수치를 알게되고 수치를 통해 위험성을 알게되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실험은 공사과정을 축소하여 그 가정하에 시험한것이기에 그만큼 정확한 수치와 위험성을 알수는 없지만 간접으로나마 경험하게 해줄 수 있는 시험이었다. 시험기간과 시간이 짧아 아쉬운 점이 많지만 앞으로 더많이 남은 시험등을 통해 더많이 배울수 있다는 기대를 하게되는 시험이었다.
정혜경: 액성한계실험의 목적은 흙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최소의 함수비를 구하는것이다. 우리조는 15,18.17회 타격을 하여 적당한 액성한계와 유동지수가 나왔다. 하지만 타격을할 때 1초에 2번정도로 하는 부분과 둘로나뉜 흙이 낙하하여 합류할 때 흙 입자 자체의 이동이아니라 미끄러짐이 약간의 오차로 나타났다. 하지만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왔고 3회의 실험을 해서 더 많은 값으로 결과값을 내지못해 아쉽다.
김도현: 지난 토질시험에서 흙의 액성한계 시험을 해보았다. 흙의 액성한계실험을 3번에 걸쳐 실험한 결과, 타격수가 높을수록 흙의 함수비는 낮아진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시험을 거듭할수록 건조토 무게의증가는 홈파기날과 액성한계측정기에 남아있는 흙 때문에 나타난거같다. 대채로 각 시험마다 수분량이 1g씩 밖에 차이안나도록 잘 시험하였고 흙의 간극이 최소화되어 붙는대 아주 미세한 수준의 차이가 있어 오차가 약간 있었지만 대채로 값들이 큰차이가 나지않았다. 예상했던 함수비대로 값이 나와 아주 정상적인 시험이였다고 생각한다.
김진완: 액성한계 시험을 했다. 시험을 3번을 해보았다. 3번의 값이 비슷하게 나와서 꽤나 성공적이었던 것 같다. 그렇지만 함수비의 값이 올바르게 나온 것인지 액성 한계 값이나 유동지수 값이 맞는 것인지 계산을 올바르게 한 것인지 확인 할 수 없었다. 이번 시험의 실제 함수량과 비교해보면 더욱더 좋은 시험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보았다.
9.참고문헌
1) 토질역학. Braja M.Das 저. ( 사이텍 미디어 )2) 지반공학 시험법 및 응용. 김용필 외 2명 저. ( 세진사)
  • 가격6,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7.31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79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