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개요
2.실험목적
3.사용설비및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값정리(액소성한계, 소성지수, 흙의분류)
6.결론및고찰
■ 실험관련 사진
1.개요
2.실험목적
3.사용설비및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값정리(액소성한계, 소성지수, 흙의분류)
6.결론및고찰
■ 실험관련 사진
본문내용
소성한계구함.
■ 실험목적
소성한계 는 흙의 소성상태와 반고체 상태의 경계를 나타내는 함수비를 말하고 KS F 2304에서는 『흙덩어리를 손으로 밀어 직경 3mm의 국수모양으로 만들어 부슬부슬해질 때의 함수비』라고 정의되어 있다. 시험에서는 직경 3mm가 되게 국수모양으로 만든 다음에 손바닥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살살 문지르면 체온에 의하여 물이 마르면서 함수비가 감소되고, 일정함수비(소성한계)에 도달되면 부스러진다. 이때의 함수비를 측정하면 곧 소성한계가 된다. 그러나 직경 3mm를 정확히 유지하기 어렵고 손바닥에 힘이 가해져서 시험장비가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소성한계는 소성도를 이용한 세립토의 분류와 흙의 공학적 성질 판정에 이용된다.
■ 사용 설비 및 기구
분무기
저울
건조기
시료 캔
흙시료
■ 실험방법
① 캔을 깨끗이 씻고 수분을 제거한 후 캔의 무게를 잰다
② 흙시료를 종이위에 놓고 분무기에 증류수를 가하여 고르게 혼합한 후에 덩어리가 될 때까지 잘 뭉친다.
③ 잘 뭉쳐진 흙덩어리를 종이위에 놓고, 손바닥으로 밀어 균일하게 지름 3㎜ 정도의 국수모양으로 만든다. 시료가 3㎜ 되기 전에 부스러지면 함수비가 소성한계보다 작은 상태이므로 물을 추가하여 함수비를 증가시켜 재시험한다. 흙의 반죽이 너무 유연하면 공기 건조시킨 후에 다시 잘 반죽해서 시험한다.
④ 국수모양의 흙을 손바닥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문지른다.
⑤ 부슬부슬하게 부스러지기 시작하면 부스러진 흙을 모아서 즉시 무게를 측정하여 함수비를 구한다. 이 함수비가 소성한계 ωp 이다.
■ 실험결과의 정리
● 결과값
소성한계
weight of can
21.65g
wet soil +can
22.59g
dry soil + can
22.47g
dry soil
0.82g
moisture loss
0.12g
moisture content
14.63%
여기서 나온 결과값 15%가 소성한계 PL이다.
LL과PL을 이용해 소성지수PI를 구하면
의 소성지수 값을 얻는다. 이결과값을 소성도표에 대입하여서 살펴보면
검정색으로 표시된곳이 이 시료이고 흙의 분류기호로 본다면 CL에 해당한다.
■ 결론 및 고찰
액성한계실험과 마찬가지로 실험과정상으론 전혀 어려움이 없으나 예상하기어려운 소성상태의 함수비로의 반죽은 역시 초보자에겐 어려움이 있었다. 역시 많은 시행착오와 재반죽을 여러번 실시한 끝에 3mm에서 흙이 서서히 금이가기 시작했다. 공기중에서 많이 노출을 하게되면 그만큼 물의 증발이 있기 때문에 최대한빨리 흙시료를 용기에 담아놓았고 그로인해 많은 양의 시료를 하지 못한데 있어서 후회가 남는다. 정확한 이론 없이 무조건 3mm를 맞추려고 부단히 노력했지만 미리부서지고 물을너무많이 첨가해서 더얇아져도 안부서지는 등 할건정말없는 실험이면서도 엄청힘든 실험이었다. 액성한계실험과 마찬가지로 우리조가 정확한 값을 구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로 인해 이 실험으로인해 소성도표 대입후 이 흙시료의 분류를 할수 있었고 흙의 성질을 파악할수 있었다. 비록 정확한 결과값은 아니더라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제 연구실에서의 과정을 미리 옅볼수 있었다. 여담으로 이 실험을 한번하는데 15~16만원선의 비용을 받는다고 들었다. 처음에 많은 비용을 받는다고 생각했는데 그정도의 비용으로 흙의 성질을 정확히 판단해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할수 있다면 적당한 값이라고 생각한다. 이번실험역시 전 실험과 마찬가지로 1학년때내용을 복습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고 실제로 해보니까 어려운 실험이었지만 알찬실험이었던것같다.
■ 실험관련 사진
건조시료
소성한계실험시 반죽된 시료
국수가닥모양으로 만든 시료
액성한계실험
액성한계실험
■ 실험목적
소성한계 는 흙의 소성상태와 반고체 상태의 경계를 나타내는 함수비를 말하고 KS F 2304에서는 『흙덩어리를 손으로 밀어 직경 3mm의 국수모양으로 만들어 부슬부슬해질 때의 함수비』라고 정의되어 있다. 시험에서는 직경 3mm가 되게 국수모양으로 만든 다음에 손바닥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살살 문지르면 체온에 의하여 물이 마르면서 함수비가 감소되고, 일정함수비(소성한계)에 도달되면 부스러진다. 이때의 함수비를 측정하면 곧 소성한계가 된다. 그러나 직경 3mm를 정확히 유지하기 어렵고 손바닥에 힘이 가해져서 시험장비가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소성한계는 소성도를 이용한 세립토의 분류와 흙의 공학적 성질 판정에 이용된다.
■ 사용 설비 및 기구
분무기
저울
건조기
시료 캔
흙시료
■ 실험방법
① 캔을 깨끗이 씻고 수분을 제거한 후 캔의 무게를 잰다
② 흙시료를 종이위에 놓고 분무기에 증류수를 가하여 고르게 혼합한 후에 덩어리가 될 때까지 잘 뭉친다.
③ 잘 뭉쳐진 흙덩어리를 종이위에 놓고, 손바닥으로 밀어 균일하게 지름 3㎜ 정도의 국수모양으로 만든다. 시료가 3㎜ 되기 전에 부스러지면 함수비가 소성한계보다 작은 상태이므로 물을 추가하여 함수비를 증가시켜 재시험한다. 흙의 반죽이 너무 유연하면 공기 건조시킨 후에 다시 잘 반죽해서 시험한다.
④ 국수모양의 흙을 손바닥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문지른다.
⑤ 부슬부슬하게 부스러지기 시작하면 부스러진 흙을 모아서 즉시 무게를 측정하여 함수비를 구한다. 이 함수비가 소성한계 ωp 이다.
■ 실험결과의 정리
● 결과값
소성한계
weight of can
21.65g
wet soil +can
22.59g
dry soil + can
22.47g
dry soil
0.82g
moisture loss
0.12g
moisture content
14.63%
여기서 나온 결과값 15%가 소성한계 PL이다.
LL과PL을 이용해 소성지수PI를 구하면
의 소성지수 값을 얻는다. 이결과값을 소성도표에 대입하여서 살펴보면
검정색으로 표시된곳이 이 시료이고 흙의 분류기호로 본다면 CL에 해당한다.
■ 결론 및 고찰
액성한계실험과 마찬가지로 실험과정상으론 전혀 어려움이 없으나 예상하기어려운 소성상태의 함수비로의 반죽은 역시 초보자에겐 어려움이 있었다. 역시 많은 시행착오와 재반죽을 여러번 실시한 끝에 3mm에서 흙이 서서히 금이가기 시작했다. 공기중에서 많이 노출을 하게되면 그만큼 물의 증발이 있기 때문에 최대한빨리 흙시료를 용기에 담아놓았고 그로인해 많은 양의 시료를 하지 못한데 있어서 후회가 남는다. 정확한 이론 없이 무조건 3mm를 맞추려고 부단히 노력했지만 미리부서지고 물을너무많이 첨가해서 더얇아져도 안부서지는 등 할건정말없는 실험이면서도 엄청힘든 실험이었다. 액성한계실험과 마찬가지로 우리조가 정확한 값을 구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로 인해 이 실험으로인해 소성도표 대입후 이 흙시료의 분류를 할수 있었고 흙의 성질을 파악할수 있었다. 비록 정확한 결과값은 아니더라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제 연구실에서의 과정을 미리 옅볼수 있었다. 여담으로 이 실험을 한번하는데 15~16만원선의 비용을 받는다고 들었다. 처음에 많은 비용을 받는다고 생각했는데 그정도의 비용으로 흙의 성질을 정확히 판단해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할수 있다면 적당한 값이라고 생각한다. 이번실험역시 전 실험과 마찬가지로 1학년때내용을 복습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고 실제로 해보니까 어려운 실험이었지만 알찬실험이었던것같다.
■ 실험관련 사진
건조시료
소성한계실험시 반죽된 시료
국수가닥모양으로 만든 시료
액성한계실험
액성한계실험
추천자료
HTML의 한계
노자사상의 한계등의 토의
언어의 한계성을 통해 드러난 <고도를 기다리며>의 주제
경쟁의 한계
건강가정기본법의 한계점을 생각해본 후 개정(혹은 대체 입법)의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시오.
교육의 한계성
로컬거버넌스의 한계와 이의 성공조건
시민법의 한계와 사회법의 등장 및 생존권의개념과 발달
청소년복지지원법의 한계와 과제,청소년 자립지원
지역사회복지모델의 한계
한국자본주의체제의 한계 (정신적 기반 취약한 한국자본주의, 정부 개입의 부작용)
성장의 한계(도넬라 메도즈) 서평
가능성과 한계 (지구환경과 인간의 삶을 한 눈에) [감상문, 독후감] _ 전헌호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