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비중 시험
1.개요 -2-
2.시험기구 -2-
3.시험방법 -2-
4.유의사항 -3-
5.결과처리 -3-
6.시험 결과 -4-
7.고찰 -5-
2.체가름 시험
1.개요 -6-
2.시험기구 -6-
3.시험방법 -6-
4.유의사항 -7-
5.결과처리 -7-
6.시험 결과 -8~9-
7.고찰 -10-
3.액성한계시험
1)액성한계 시험
1.개요 -11-
2.시험기구 -11-
3.시험방법 -11-
4.유의사항 -12-
5.결과처리 -12-
2)소성한계시험
1.개요 -13-
2.시험기구 -13-
3.시험방법 -13-
4.유의사항 -13-
5.결과처리 -13-
6.시험 결과 -14-
7.고찰 -15-
4.비중계 시험
1.개요 -16-
2.시험기구 -16-
3.시험방법 -16-
4.유의사항 -17-
5.결과처리 -17~18-
6.시험 결과 -19~20-
7.고찰 -21-
5.다짐 시험
1.개요 -22-
2.시험기구 -22-
3.시험방법 -22-
4.유의사항 -23-
5.결과처리 -23-
6.시험 결과 -24~25-
7.고찰 -26-
참고문헌 -26-
5.결과처리 -12-
6.시험 결과 -24~25-
7.고찰 -26-
참고문헌 -26-
1.개요 -2-
2.시험기구 -2-
3.시험방법 -2-
4.유의사항 -3-
5.결과처리 -3-
6.시험 결과 -4-
7.고찰 -5-
2.체가름 시험
1.개요 -6-
2.시험기구 -6-
3.시험방법 -6-
4.유의사항 -7-
5.결과처리 -7-
6.시험 결과 -8~9-
7.고찰 -10-
3.액성한계시험
1)액성한계 시험
1.개요 -11-
2.시험기구 -11-
3.시험방법 -11-
4.유의사항 -12-
5.결과처리 -12-
2)소성한계시험
1.개요 -13-
2.시험기구 -13-
3.시험방법 -13-
4.유의사항 -13-
5.결과처리 -13-
6.시험 결과 -14-
7.고찰 -15-
4.비중계 시험
1.개요 -16-
2.시험기구 -16-
3.시험방법 -16-
4.유의사항 -17-
5.결과처리 -17~18-
6.시험 결과 -19~20-
7.고찰 -21-
5.다짐 시험
1.개요 -22-
2.시험기구 -22-
3.시험방법 -22-
4.유의사항 -23-
5.결과처리 -23-
6.시험 결과 -24~25-
7.고찰 -26-
참고문헌 -26-
5.결과처리 -12-
6.시험 결과 -24~25-
7.고찰 -26-
참고문헌 -26-
본문내용
다음 중앙 부분에도 낙하시켜야 한다.
⑥ 다음 층에 대해서도 몰드 속에 흙을 넣어 동일한 방법으로 다진다. 마지막 층을 다질 때에는 칼러를 붙여 넣어 다지되 다진 후에는 흙의 표면이 몰드의 가장자리 위로 약간 올라와 있어야 한다.
⑦ 칼러를 떼어내고 곧은 날로 몰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깨끗이 깎는다.
⑧ 몰드 주위에 붙어 있는 흙을 깨끗이 털어낸 후 무게를 잰다.
⑨ 함수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몰드의 아래, 위 및 중간부분에서 흙을 따내고 건조로에서 말린다.
⑩ 시료추출기 또는 손으로 시험한 흙을 몰드 속에서 빼어내고 부순 다음 새로이 흙을 더 추가한다. 흙에 물을 약간 첨가하여 함수비가 전체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
⑪ 이상의 시험 조작을 시료의 함수비가 높게 되어 몰드 저판을 떼어 냈을 때 저면에서 물이 스며 나오기 시작할 때 시험을 끝낸다.
4. 유의사항
● 램머는 스톱파 까지 정확히 들어 올려 자유낙하 시킨다.
● 램머는 타격면이 균등하게 시료를 다져야 한다.
● 다짐이 끝난 후 칼라를 분리시킬 때에는 칼라를 돌리면서 조심스럽게 분리 하면 된다.
● 미리 포화곡선을 구하여 두면 함수비-건조밀도곡선을 그리기가 쉽다.
5. 결과 처리
● 건조단위중량(건조밀도),
여기서,: 몰드 속의 흙의 무게
: 몰드의 용적
:함수비
세로축은 건조단위중량, 가로축은 함수비로 잡고 각 함수비에 대한 건조단위중량을 점찍으면 다짐곡선이 얻어진다. 이 곡선으로부터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를 구한다.
● 영 공기 간극곡선 :
여기서,:흙의 비중
:물의 단위중량
:포화도
위 식에서 로 두고 함수비와 건조단위중량과의 관계곡선을 구하면 이것이 영 공기 간극곡선(포화곡선)이 된다. 90% 포화곡선 또는 80% 포화곡선을 얻기 위해서는 또는 을 대입하면 된다.
6. 시험 결과
다짐방법
다짐층수
층 당
다짐횟수
무 게
(몰드+저판)
[g]
몰드내경
[mm]
몰드높이
[mm]
몰드체적
[㎤]
A
3
25
4,080
100
126.9
996.67
측정번호
1
2
3
4
5
캔 무게 (g)
16.54
17.07
16.82
17.96
19.57
(캔+습윤 시료)무게 (g)
46.09
74.73
72.56
97.71
125.32
(캔+건조시료)무게 (g)
44.92
72
67.89
80.77
110.19
건조시료
무게 (g)
28.33
54.93
51.07
70.81
90.62
함수비 (%)
4.12
4.97
9.14
12.2
16.7
(몰드+저판+
습윤 시료)
무게 (g)
5830
5990
6150
6270
6200
습윤 시료무게
(g)
1750
1910
2070
2190
2120
습윤 단위중량
(g/cm)
1.756
1.916
2.077
2.197
2.127
건조단위중량
(g/cm)
1.686
1.825
1.903
1.958
1.822
비고: 습윤 단위중량()= , 건조단위중량=
시 험 번 호
단 위
1
2
3
4
5
건조단위중량 rd
g/㎤
1.686
1.825
1.903
1.958
1.822
함 수 비 w
%
4.12
4.97
9.14
12.2
16.7
영공기곡선 rd
g/㎤
2.381
2.334
2.127
1.997
1.832
최적함수비
w =
12.2
[%]
최대건조단위중량
=
1.958
[gf/㎤]
7. 고찰
(200511353 허기찬)
다짐시험을 목적은 현장에서 흙을 다질 때 살포할 가장 적절한 수량과 이 수량으로 흙을 다질 때 예상되는 단위중량 알기 위해 현장의 다짐에 대응하는 실내다짐시험을 한 후, 현장에서의 다짐 수량과 이 수량으로 예상되는 단위중량의 일정 비율을 알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가 구해진다. 처음에 시험을 진행할 때 함수비를 증가함에 따라 물이 윤활유 작용을 하여 다짐에 따라 부피가 점점 감소하여 건조단위중량이 크게 나오고 일정 함수비가 넘어서면 오히려 물이 흙에서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부피가 증가하여 건조단위중량은 감소하게 되는데 이 지점이 최적함수비이다. 그 함수비를 기점으로 낮은 함수비는 건조 측 높은 함수비는 습윤 측 이라고 한다. 하지만 처음에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점을 생각하지 못해 함수비를 계속 증가하다가 흙의 양이 칼라를 제거한 몰드보다 낮게 될까봐 함수비를 조금씩 증가했었는데 도중에 저 이론이 생각나서 함수비를 증가폭을 늘리게 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험결과가 나오게 되었고 다짐을 할 때 다짐높이가 간혹 일정치 못했고 다짐도 일정하게 고르게 되지않은 점에 의한 약간의 오차가 발생 했을 것 같다.
(200811593 신선혜)
다짐시험의 이론적 내용은 이해하기 쉬었지만 실험방법이 육체적으로 너무 힘들었다. 특히 다짐시험의 시험방법이 흙의 함수비를 변화시켜가며 몰드에 넣은 흙을 다지는 것인데, 흙을 다지면서 흙먼지가 정말 많이 생겼다. 그래서 실험도중 숨쉬기가 힘들었다. 그리고 이 시험은 몰드 안에 흙을 1/3정도 채운 뒤, 1층당 해머를 20회 낙하시켜 총 3회를 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총 5개의 몰드를 실험하였다. 무거운 해머로 20회를 여러 번 연속 낙하한다는 것이 보통 일은 아니었다. 조원이 2명밖에 되지 않아서 한사람이 많이 하게 되었는데 실험이 끝난 후 팔이 당기는 느낌이 느껴졌다. 이렇게 힘을 들여서 나온 다짐 결과에서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를 구하였다. 실험을 이용하여 구한 최대건조단위중량을 이용하여 상대 다짐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최적함수비를 이용하여 건조 측 다짐과 습윤 측 다짐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특징도 조사해 보았는데, 건조 측 다짐은 강도가 크고 팽창성이나 압축성이 감소한다. 반면 습윤측 다짐은 투수성이 최소인 흙이 된다. 최적함수비를 기준으로 왼편이 건조 측 다짐이고 오른편이 습윤측 다짐이된다. 흙의 함수비가 많은 흙은 다지면 부피가 많이 줄어들기 때문에 처음부터 좀 많은 양의 흙을 넣어주고 다져야 한다는 점이 중요했던 것 같다.
<참고문헌>
● 토질시험법 : 공학박사 박홍규, 신방웅 공저 -구미서관-
● 토질 시험(원리와 방법) : 이상덕 -새론-
● 토질역학(제2판) : 이영생, 권호진, 박준범, 송영우 공저-구미서관 -
● 토질시험 -지반공학 연구실-
⑥ 다음 층에 대해서도 몰드 속에 흙을 넣어 동일한 방법으로 다진다. 마지막 층을 다질 때에는 칼러를 붙여 넣어 다지되 다진 후에는 흙의 표면이 몰드의 가장자리 위로 약간 올라와 있어야 한다.
⑦ 칼러를 떼어내고 곧은 날로 몰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깨끗이 깎는다.
⑧ 몰드 주위에 붙어 있는 흙을 깨끗이 털어낸 후 무게를 잰다.
⑨ 함수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몰드의 아래, 위 및 중간부분에서 흙을 따내고 건조로에서 말린다.
⑩ 시료추출기 또는 손으로 시험한 흙을 몰드 속에서 빼어내고 부순 다음 새로이 흙을 더 추가한다. 흙에 물을 약간 첨가하여 함수비가 전체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
⑪ 이상의 시험 조작을 시료의 함수비가 높게 되어 몰드 저판을 떼어 냈을 때 저면에서 물이 스며 나오기 시작할 때 시험을 끝낸다.
4. 유의사항
● 램머는 스톱파 까지 정확히 들어 올려 자유낙하 시킨다.
● 램머는 타격면이 균등하게 시료를 다져야 한다.
● 다짐이 끝난 후 칼라를 분리시킬 때에는 칼라를 돌리면서 조심스럽게 분리 하면 된다.
● 미리 포화곡선을 구하여 두면 함수비-건조밀도곡선을 그리기가 쉽다.
5. 결과 처리
● 건조단위중량(건조밀도),
여기서,: 몰드 속의 흙의 무게
: 몰드의 용적
:함수비
세로축은 건조단위중량, 가로축은 함수비로 잡고 각 함수비에 대한 건조단위중량을 점찍으면 다짐곡선이 얻어진다. 이 곡선으로부터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를 구한다.
● 영 공기 간극곡선 :
여기서,:흙의 비중
:물의 단위중량
:포화도
위 식에서 로 두고 함수비와 건조단위중량과의 관계곡선을 구하면 이것이 영 공기 간극곡선(포화곡선)이 된다. 90% 포화곡선 또는 80% 포화곡선을 얻기 위해서는 또는 을 대입하면 된다.
6. 시험 결과
다짐방법
다짐층수
층 당
다짐횟수
무 게
(몰드+저판)
[g]
몰드내경
[mm]
몰드높이
[mm]
몰드체적
[㎤]
A
3
25
4,080
100
126.9
996.67
측정번호
1
2
3
4
5
캔 무게 (g)
16.54
17.07
16.82
17.96
19.57
(캔+습윤 시료)무게 (g)
46.09
74.73
72.56
97.71
125.32
(캔+건조시료)무게 (g)
44.92
72
67.89
80.77
110.19
건조시료
무게 (g)
28.33
54.93
51.07
70.81
90.62
함수비 (%)
4.12
4.97
9.14
12.2
16.7
(몰드+저판+
습윤 시료)
무게 (g)
5830
5990
6150
6270
6200
습윤 시료무게
(g)
1750
1910
2070
2190
2120
습윤 단위중량
(g/cm)
1.756
1.916
2.077
2.197
2.127
건조단위중량
(g/cm)
1.686
1.825
1.903
1.958
1.822
비고: 습윤 단위중량()= , 건조단위중량=
시 험 번 호
단 위
1
2
3
4
5
건조단위중량 rd
g/㎤
1.686
1.825
1.903
1.958
1.822
함 수 비 w
%
4.12
4.97
9.14
12.2
16.7
영공기곡선 rd
g/㎤
2.381
2.334
2.127
1.997
1.832
최적함수비
w =
12.2
[%]
최대건조단위중량
=
1.958
[gf/㎤]
7. 고찰
(200511353 허기찬)
다짐시험을 목적은 현장에서 흙을 다질 때 살포할 가장 적절한 수량과 이 수량으로 흙을 다질 때 예상되는 단위중량 알기 위해 현장의 다짐에 대응하는 실내다짐시험을 한 후, 현장에서의 다짐 수량과 이 수량으로 예상되는 단위중량의 일정 비율을 알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가 구해진다. 처음에 시험을 진행할 때 함수비를 증가함에 따라 물이 윤활유 작용을 하여 다짐에 따라 부피가 점점 감소하여 건조단위중량이 크게 나오고 일정 함수비가 넘어서면 오히려 물이 흙에서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부피가 증가하여 건조단위중량은 감소하게 되는데 이 지점이 최적함수비이다. 그 함수비를 기점으로 낮은 함수비는 건조 측 높은 함수비는 습윤 측 이라고 한다. 하지만 처음에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점을 생각하지 못해 함수비를 계속 증가하다가 흙의 양이 칼라를 제거한 몰드보다 낮게 될까봐 함수비를 조금씩 증가했었는데 도중에 저 이론이 생각나서 함수비를 증가폭을 늘리게 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험결과가 나오게 되었고 다짐을 할 때 다짐높이가 간혹 일정치 못했고 다짐도 일정하게 고르게 되지않은 점에 의한 약간의 오차가 발생 했을 것 같다.
(200811593 신선혜)
다짐시험의 이론적 내용은 이해하기 쉬었지만 실험방법이 육체적으로 너무 힘들었다. 특히 다짐시험의 시험방법이 흙의 함수비를 변화시켜가며 몰드에 넣은 흙을 다지는 것인데, 흙을 다지면서 흙먼지가 정말 많이 생겼다. 그래서 실험도중 숨쉬기가 힘들었다. 그리고 이 시험은 몰드 안에 흙을 1/3정도 채운 뒤, 1층당 해머를 20회 낙하시켜 총 3회를 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총 5개의 몰드를 실험하였다. 무거운 해머로 20회를 여러 번 연속 낙하한다는 것이 보통 일은 아니었다. 조원이 2명밖에 되지 않아서 한사람이 많이 하게 되었는데 실험이 끝난 후 팔이 당기는 느낌이 느껴졌다. 이렇게 힘을 들여서 나온 다짐 결과에서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를 구하였다. 실험을 이용하여 구한 최대건조단위중량을 이용하여 상대 다짐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최적함수비를 이용하여 건조 측 다짐과 습윤 측 다짐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특징도 조사해 보았는데, 건조 측 다짐은 강도가 크고 팽창성이나 압축성이 감소한다. 반면 습윤측 다짐은 투수성이 최소인 흙이 된다. 최적함수비를 기준으로 왼편이 건조 측 다짐이고 오른편이 습윤측 다짐이된다. 흙의 함수비가 많은 흙은 다지면 부피가 많이 줄어들기 때문에 처음부터 좀 많은 양의 흙을 넣어주고 다져야 한다는 점이 중요했던 것 같다.
<참고문헌>
● 토질시험법 : 공학박사 박홍규, 신방웅 공저 -구미서관-
● 토질 시험(원리와 방법) : 이상덕 -새론-
● 토질역학(제2판) : 이영생, 권호진, 박준범, 송영우 공저-구미서관 -
● 토질시험 -지반공학 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