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 시험 이론적배경
1-2 시험목적
2-1 실험기구 및 재료
2-2 유의사항
2-3 시험방법
2-4 시험결과
2-5 결과산출방법
3-1 분석 및 고찰
3-2 참고문헌
1-2 시험목적
2-1 실험기구 및 재료
2-2 유의사항
2-3 시험방법
2-4 시험결과
2-5 결과산출방법
3-1 분석 및 고찰
3-2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량 (r)
건조 시료 무게 (Ws) : 1335.5 g
☆함수비
용기No.
측정내용
1
2
3
①시료 캔 + 흙의 무게(g)
69.8
77.3
81.5
②시료 캔 무게(g)
20.5
18.5
19
③습윤토 무게 (① - ②)
49.3
58.8
62.5
④건조 후 시료 캔 무게 + 흙의 무게
56.2
61
64.3
⑤건조토의 무게(④ - ②) W
35.7
42.5
45.3
⑥흙 속의 수분 무게(③ - ⑤) W
13.6
16.3
17.2
함수비(%)
38.1
38.35
37.97
평균치(%)
38.14
W(%) = × 100
3-1. 분석 및 고찰
충적세
홍적세
점성토
점성토
사질토
습윤단위중량<>
1.2~1.8
1.6~2.0
1.6~2.0
건조단위중량<>
0.5~1.4
1.2~1.8
1.1~1.6
함수비(%)
30~150
10~30
20~40
=> 함수비 +10%의 값 = 39 %
건조단위중량 = 1.363 g/ 의 값들로 미루어 보아 홍적세 점성토로 예상할 수 있다.
습윤단위중량 = 1.837 g/
이번 실험을 위해 준비해 놓았던 시료를 우리는 충분한 양의 시료를 건조 시킨 후, 흙 파쇄용 도자기로 충분한 양의 건조된 흙을 고르게 파쇄 하였다. 그리고 파쇄한 흙에 교수님께서 정해주신 +10% 의 함수비를 계산하여 첨가할 물의 양을 계산하여 시료를 적신 후, 직경과 높이를 측정하여 체적을 구한 몰드에 시료를 다져 넣어 습윤 시료 량을 측정하고 몰드에서 털어낸 시료를 건조시켜 건조 시료 량을 측정해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험에서 구해낸 실험값들로 토립자와 토립자에 포함된 물을 함께 고려한 습윤 단위 중량을 구하고 토립자만을 고려한 건조 단위 중량을 구하였다.
◎ 결과 및 고찰
처음 준비된 시료를 막자사발과 막자를 이용해 파쇄하는 과정에서 교수님께서 실험을 설명해주실 때 당부를 하셨는데도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것이라 정확한 기준이 없었기에 흙의 입자가 많이 부서졌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내주신 자연함수비 +1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습윤상태의 시료를 용기에 넣어서 다질 때, 3층 25타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다지는 것이기에 정밀하지 못해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 같고 시료를 다진 뒤 칼라를 제거하고 돌출된 시료를 제거하고 윗면은 고르게 펼 때, 흙이 아닌 고르지 못한 조그마한 불순물들이 있어 공극을 줄이기 위해 평평하게 고르다 걸리는 것을 제거하면서 하였는데 여기서도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을 것 같다.그리고 마지막에 몰드 안의 습윤상태의 시료를 빼내어 건조시켜 건조상태의 시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비커로 물을 이용하여 몰드 안을 깨끗이 씻어낸다고 했지만 문질러서 씻으면 손에 묻어나기 때문에 그리하지 못했지만 문질러 씻지 않는 한 몰드 속의 시료를 완전히 Tray에 옮기지 못하여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하여 결과값을 함수비 +10%의 값이 38.14 %, 건조단위중량은 1.363 g/ 으로 계산되었고 습윤 단위중량은 1.837 g/ 의 값을 측정해 낼 수 있었다.
실험 내내 조원이 세 명이다 보니 시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는 면에서는 좋았지만 부수적인 시험 측정값을 기재하고 그 외 과정에서 세 사람이 조금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이번 시험은 힘든 점도 많았고 오차가 날 부분도 참 많았다. 어떤 것들이 있었냐면은 이번 실험에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이 많았는데 다시 한번 오차원인을 생각해 보면은 먼저 건조시킨 시료를 잘게 갈 때 입자가 안부서지도록 힘을 가해서 갈아야 하는데 처음에 시료를 갈 때에 너무 세게 갈아서 입자가 많이 부서졌을 것 같다. 그리고 시료가 잘게 갈려져 있었던 차라 물을 부어 반죽시킬 때에 미량이나마 공기 중으로 날라 갔을 확률도 있을 것이다. 몰드 다짐을 할 때에도 일정한 높이에서 다짐을 해야 되는데 사람의 주관으로 하는 것이다 보니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몰드에서 칼라를 분리시킨 후 스패츌러로 평평하게 고르는 과정에서도 어느 정도의 공극이 생길 수도 있었다. 또한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몰드의 제원을 측정할 때 눈금을 읽는데 에서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이번 실험도 많은 오차 요인이 있었지만 실험을 잘 마 친것 같다. 다음 실험에는 이런 오차요인을 줄 일수 있도록 더욱 주의 깊게 실험을 하겠다.
1)단위중량 시험
흙의 단위 중량을 알아보기 위험 시험으로써 흙의 단위체적당 중량으로 흙의 무게와 체적을측정하고 그 무게를 체적으로 나누어 계산을 하는것! 지반의 지지력,침하,토압,함수비를 구하는것등등에서 쓰이는 가장 기본적인 성질. 앞으로 다리 건설시 필요한 여러가지 흙의 성질을 알기위한 실험들의 기초 실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결론및 느낀점.
처음 준비된 시료를 막자사발과 막자를 이용해 파쇄하는 과정에서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것이라 정확한 기준이 없었기에 흙의 입자가 많이 부서졌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시료를 다진 뒤 칼라를 제거하고 돌출된 시료를 제거하고 윗면은 고르게 펼 때, 흙이 아닌 고르지 못한 조그마한 불순물들이 있어 공극을 줄이기 위해 평평하게 고르다 걸리는 것을 제거하면서 하였는데 여기서도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몰드 안의 습윤상태의 시료를 빼내어 건조시켜 건조상태의 시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비커로 물을 이용하여 몰드 안을 깨끗이 씻어낸다고 했지만 문질러서 씻으면 손에 묻어나기 때문에 그리하지 못했지만 문질러 씻지 않는 한 몰드 속의 시료를 완전히 제거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했습니다.
3-2. 참고문헌
▶ 토질실험법(실내 및 현장 실험법과 그 결과의 이용법), 임병조김영수 共譯,
형설출판사, 1994. p. 37~44.
▶ 토질 실험, 이상덕, 새론 출판사, p. 70~78.
▶ 황 근, “토목시공학” 1985.
▶ 토질역학 (Principle od geotechnical engineering), Braja M. Das 저, 신은철
▶토질역학. Braja M.Das 저. ( 사이텍 미디어 )
▶ 지반공학 시험법 및 응용. 김용필 외 2명 저. ( 세진사 )
건조 시료 무게 (Ws) : 1335.5 g
☆함수비
용기No.
측정내용
1
2
3
①시료 캔 + 흙의 무게(g)
69.8
77.3
81.5
②시료 캔 무게(g)
20.5
18.5
19
③습윤토 무게 (① - ②)
49.3
58.8
62.5
④건조 후 시료 캔 무게 + 흙의 무게
56.2
61
64.3
⑤건조토의 무게(④ - ②) W
35.7
42.5
45.3
⑥흙 속의 수분 무게(③ - ⑤) W
13.6
16.3
17.2
함수비(%)
38.1
38.35
37.97
평균치(%)
38.14
W(%) = × 100
3-1. 분석 및 고찰
충적세
홍적세
점성토
점성토
사질토
습윤단위중량<>
1.2~1.8
1.6~2.0
1.6~2.0
건조단위중량<>
0.5~1.4
1.2~1.8
1.1~1.6
함수비(%)
30~150
10~30
20~40
=> 함수비 +10%의 값 = 39 %
건조단위중량 = 1.363 g/ 의 값들로 미루어 보아 홍적세 점성토로 예상할 수 있다.
습윤단위중량 = 1.837 g/
이번 실험을 위해 준비해 놓았던 시료를 우리는 충분한 양의 시료를 건조 시킨 후, 흙 파쇄용 도자기로 충분한 양의 건조된 흙을 고르게 파쇄 하였다. 그리고 파쇄한 흙에 교수님께서 정해주신 +10% 의 함수비를 계산하여 첨가할 물의 양을 계산하여 시료를 적신 후, 직경과 높이를 측정하여 체적을 구한 몰드에 시료를 다져 넣어 습윤 시료 량을 측정하고 몰드에서 털어낸 시료를 건조시켜 건조 시료 량을 측정해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험에서 구해낸 실험값들로 토립자와 토립자에 포함된 물을 함께 고려한 습윤 단위 중량을 구하고 토립자만을 고려한 건조 단위 중량을 구하였다.
◎ 결과 및 고찰
처음 준비된 시료를 막자사발과 막자를 이용해 파쇄하는 과정에서 교수님께서 실험을 설명해주실 때 당부를 하셨는데도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것이라 정확한 기준이 없었기에 흙의 입자가 많이 부서졌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내주신 자연함수비 +10% 의 조건을 만족하는 습윤상태의 시료를 용기에 넣어서 다질 때, 3층 25타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다지는 것이기에 정밀하지 못해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 같고 시료를 다진 뒤 칼라를 제거하고 돌출된 시료를 제거하고 윗면은 고르게 펼 때, 흙이 아닌 고르지 못한 조그마한 불순물들이 있어 공극을 줄이기 위해 평평하게 고르다 걸리는 것을 제거하면서 하였는데 여기서도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을 것 같다.그리고 마지막에 몰드 안의 습윤상태의 시료를 빼내어 건조시켜 건조상태의 시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비커로 물을 이용하여 몰드 안을 깨끗이 씻어낸다고 했지만 문질러서 씻으면 손에 묻어나기 때문에 그리하지 못했지만 문질러 씻지 않는 한 몰드 속의 시료를 완전히 Tray에 옮기지 못하여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하여 결과값을 함수비 +10%의 값이 38.14 %, 건조단위중량은 1.363 g/ 으로 계산되었고 습윤 단위중량은 1.837 g/ 의 값을 측정해 낼 수 있었다.
실험 내내 조원이 세 명이다 보니 시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는 면에서는 좋았지만 부수적인 시험 측정값을 기재하고 그 외 과정에서 세 사람이 조금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이번 시험은 힘든 점도 많았고 오차가 날 부분도 참 많았다. 어떤 것들이 있었냐면은 이번 실험에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이 많았는데 다시 한번 오차원인을 생각해 보면은 먼저 건조시킨 시료를 잘게 갈 때 입자가 안부서지도록 힘을 가해서 갈아야 하는데 처음에 시료를 갈 때에 너무 세게 갈아서 입자가 많이 부서졌을 것 같다. 그리고 시료가 잘게 갈려져 있었던 차라 물을 부어 반죽시킬 때에 미량이나마 공기 중으로 날라 갔을 확률도 있을 것이다. 몰드 다짐을 할 때에도 일정한 높이에서 다짐을 해야 되는데 사람의 주관으로 하는 것이다 보니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몰드에서 칼라를 분리시킨 후 스패츌러로 평평하게 고르는 과정에서도 어느 정도의 공극이 생길 수도 있었다. 또한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몰드의 제원을 측정할 때 눈금을 읽는데 에서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이번 실험도 많은 오차 요인이 있었지만 실험을 잘 마 친것 같다. 다음 실험에는 이런 오차요인을 줄 일수 있도록 더욱 주의 깊게 실험을 하겠다.
1)단위중량 시험
흙의 단위 중량을 알아보기 위험 시험으로써 흙의 단위체적당 중량으로 흙의 무게와 체적을측정하고 그 무게를 체적으로 나누어 계산을 하는것! 지반의 지지력,침하,토압,함수비를 구하는것등등에서 쓰이는 가장 기본적인 성질. 앞으로 다리 건설시 필요한 여러가지 흙의 성질을 알기위한 실험들의 기초 실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결론및 느낀점.
처음 준비된 시료를 막자사발과 막자를 이용해 파쇄하는 과정에서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것이라 정확한 기준이 없었기에 흙의 입자가 많이 부서졌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시료를 다진 뒤 칼라를 제거하고 돌출된 시료를 제거하고 윗면은 고르게 펼 때, 흙이 아닌 고르지 못한 조그마한 불순물들이 있어 공극을 줄이기 위해 평평하게 고르다 걸리는 것을 제거하면서 하였는데 여기서도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몰드 안의 습윤상태의 시료를 빼내어 건조시켜 건조상태의 시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비커로 물을 이용하여 몰드 안을 깨끗이 씻어낸다고 했지만 문질러서 씻으면 손에 묻어나기 때문에 그리하지 못했지만 문질러 씻지 않는 한 몰드 속의 시료를 완전히 제거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했습니다.
3-2. 참고문헌
▶ 토질실험법(실내 및 현장 실험법과 그 결과의 이용법), 임병조김영수 共譯,
형설출판사, 1994. p. 37~44.
▶ 토질 실험, 이상덕, 새론 출판사, p. 70~78.
▶ 황 근, “토목시공학” 1985.
▶ 토질역학 (Principle od geotechnical engineering), Braja M. Das 저, 신은철
▶토질역학. Braja M.Das 저. ( 사이텍 미디어 )
▶ 지반공학 시험법 및 응용. 김용필 외 2명 저. ( 세진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