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시험 레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철근 콘크리트 실험내용

1.골재시험

*체가름시험
*잔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
*굵은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

2.배합설계

3.슬럼프시험(2회 실험의 평균값 사용)

4.공기량 시험(3회 평균값 사용)

5.압축강도 시험(100*200mm 공시체 *3)

6.쪼갬인장강도 시험(100*200mm 공시체 *2)

7.휨강도 시험(각주형 공시체*3)

본문내용

상태에서 강도시험을 행할 때까지 양생공시체 제작시 주의사항 :내부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다짐을 행할 경우에는 진동봉은 천천히 잡아빼고 잡아 뺀 다음 몰드 측면을 나무망치 등으로 가볍게 두드리고 구멍이 남지않도록 한다. 다짐봉을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캐핑은 될 수 있는 대로 얇게 하고 그 마감면의 평면도는 0.05mm 이내여야 한다.
5. 시험 방법.
①공시체의 상하 끝면 및 상하의 가압판의 압축면을 청소한다.
②공시체를 공시체 지름의 1% 이내의 오차에서 그 중심축이 가압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놓는다.
③시험기의 가압판과 공시체의 끝면은 직접 밀착시키고 그 사이에 쿠션재를 넣어서는 안 된다. 다만, 언본드 캐핑에 의한 경우는 제외한다.
④공시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똑같은 속도로 하중을 가한다.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압축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 가 되도록 한다.
⑤공시체가 급격한 변형을 시작한 후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의 조정을 중지하고 하중을 계속 가한다.
⑥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시험기가 나타내는 최대하중을 유효숫자 3자리까지 읽는다.
6. 결과 계산
-공시체의 지름, (여기서 ,는 공시체의 양끝 지름)
-압축강도
-겉보기밀도
( - 겉보기 밀도, - 공시체의 질량, - 공시체의 높이, - 공시체의 지름)
6. 쪼갬인장강도 시험 (KS F 2423)
실험 목적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1/10∼1/14 정도로 아주 작으므로 보통 철근콘크리트 설계에서는 이것을 무시한다.
-경화건조수축이나 온도변화 등에 의한 균열의 경감 및 방지를 도모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의 크기를 알 필요가 있다.
2. 시험 장치
-시험기( KS B 5533의 6에 규정하는 1급이상의 것으로 한다.)
-가합판 (압축면은 연마 가공으로 하고 평면도는 0.02mm 이내이며, 쇼어 경도는 70HS 이상으로 한다.)
3.공시체
-공시체는 KS F 2403에 따라 제작한다. 또한 공시체는 소정의 양생이 끝난 직후의 상태에서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4. 시험 방법
①공시체의 하중을 가하는 방향에서 지름을 2개소 이상에서 0.1mm까지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공시체의 지름으로 하여 KS A 3251-1에 따라 소수점 이하 1자리로 끝맺는다.
②시험기는 시험시의 최대 하중이 치량의 1/5에서 칭량까지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③공시체의 측면 및 상하의 가압판의 압축면을 총소한다.
④공시체를 시험기의 가압판 위에 편심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가압판과 공시체의 접촉선의 어디에서도 틈새가 없도록한다.
⑤상하의 가압판은 하중을 가하고 있는 동안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⑥공시체의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똑같은 속도로 하중을 가한다.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인장 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 이 되도록 조정하고, 최대 하중에 도달할 때까지 그 증가율을 유지하도록 한다.
⑦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시험기에 나타내는 최대 하중을 유효 숫자 3자리까지 읽는다.
⑧공시체가 쪼개진 면에서 길이를 2개소 이상에서 0.1mm까지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공시체의 길이로하고, KS A 3251-1에 따라 유효 숫자 4자리로 끝맺는다.
5. 결과 계산
-인장강도는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고 KS A 3251-1에 따라 유효 숫자 3자리로 끝맺는다.
( - 인장강도 , - 최대하중 - 공시체의 지름 , - 공시체의 길이 )
7.휨강도 시험 (KS F 2408)
시험 개요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작용하는 응력은 크게 압축력, 전단력, 그리고 휨모멘트력이 작용한다. 이중에서도 콘크리트에서 가장 취약한 것이 휨모멘트력에 대한 것이다. 콘크리트 설계시 압축력 은 산정하여 넣지만 인장력에 관하여는 무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취약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철근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유리섬유와 같은 보강포를 이용한 유리섬유 보강 콘크리트 등 여러 가지 휨력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방수 재나 보수/보강재의 경우에 있어서도 유리섬유와 같은 보강포 등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휨응 력에 대해 보강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이다.
시험 목적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휨모멘트를 가하여 휨, 즉 압축력과 함께 상대적으로 연약한 인장력 에 대한 내인장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콘크리트 구조체의 보수/보강 혹은 특정의 재료를 방수 재와 혼합하여 사용할 때 휨강도의 보강이 어느정도 있는지에 대한 수치적인 확인을 통해 사용 의 적정여부를 판단한다.
3.시험용 기구
-압축시험기
-휨강도용 몰드 (150×150×530mm 공시체)
-공시체
(공시체는 KS F 2403에 따라 만든다.공시체는 소정의 양생을 끝낸 직후의 상태에서 시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시험 방법
①시험기는 용량의 1/5에서 용량까지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②공시체는 콘크리트를 몰드에 채웠을 때 옆면을 상하면으로 하여 베어링나비의 중앙에 놓고 지간 3등분점에서 상부 가압장치를 접촉시킨다.(지간은 공시체 높이의 3배로 한다.)
③공시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일정하게 하중을 가한다.(최대 하중의 약 50%까지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도 좋다.)
④시험체가 파괴될 때 까지 시험기가 표시하는 최대하중을 읽는다. ⑤파괴단면의 너비는 3곳에서 0.1mm까지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유효숫자 4자리까지 구한다.⑥파괴단면의 높이는 2곳에서 0.1까지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유효숫자 4자리까지 구한다.
⑦공시체가 지간방향 중심선의 3등분점 바깥쪽에서 파괴되었을 때는 이 파괴단면과 이것에 가까운 3쪽의 바깥쪽 기점의 거리를 인장면에서 지간방향을 h2곳을 0.1mm까지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유효숫자 4자리까지 구한다.
5.시험 계산
-공시체가 인장쪽 표면 지간방향 줌심선의 3등분점 사이에서 파괴되었을 때는 휨강도를 다음 식으로 계산하여 유효숫자 3자리까지 구한다.
( - 휨강도 , - 시험기가 표시하는 최대하중 , - 파괴 단면 너비 , - 파괴 단면 높이 )
-공시체가 지간의 3등분점 바깥쪽에서 파괴되고 또한, 하중점에서 파괴단면까지의 거리가 지간의 5%이상인 경우는 그 시험결과를 무효로 한다.

키워드

골재,   배합,   슬럼프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9.1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1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