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본문내용
생긴다. 마그네슘화합물의 제조원료로 쓰이며, 가황(加黃)고무 혼화제(混和劑)·치약·제산제·단열제·연마제 등으로 사용된다.
P(인산)
152.Na₂HPO₄ (인산나트륨)
특징
보통 오르소인산나트륨 Na₃PO₄를 가리키지만 인산수소이나트륨 Na₂HPO₄를 말하는 수도 있다. 영점오,육,팔,십이수화물이 있다. 식품공업용 약품, 양조용 약품으로 쓰인다.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을 가하면 12수화물이 얻어지고, 100℃로 가열하면 일수화물, 200℃에서 무수염(융점:1340℃)이 된다. 백색 또는 무색의 고체. 100ml에 대하여 14.5g(20℃)용해하며 수용액은 강알칼리성을 가리킨다. 인산이수소나트륨이수화물은 발효공업을 위시하여 통조림, 가공치즈, 스프레드, 베이킹파우더 등의 안정제나 완충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훈제, 소시지의 결착제나 염지제, 분말 산미료, 콘 비프 등에 0.2~03%의 범위로 쓰인다. 사용기준은 없다.
153.PCl₃ (삼염화인)
색
무색의 발연성 유독한 액체
비중
1.57
끓는점
74.7℃
특징
에테르·벤젠·클로로포름·사염화탄소·이황화탄소 등에 녹으며, 물에서는 격렬하게 가수분해한다. 부식성이 강하고 유독하다. 인과 염소 반응에서 얻은 불순한 삼염화인을 증류하여 정제하면 생긴다. 각종 인화합물의 합성 원료, 염소화제로 사용된다.
154.PCl (오염화인)
색
백색,담록색의 결정성 고체
특징
대기 환경 보전법이 정한 대기 오염 물질의 일종. 피부에 닿으면 급성 피부염을 일으키고, 오염화인 연무체는 상부 기도에 강한 자극을 일으킨다. 허용 농도는 1㎎/㎥이다. 다량의 물과 반응하여 정인산과 염산을 만든다. 대기 환경보전법이 정한 대기 오염 물질의 하나로, 의약 제조 등에 사용한다.
155.PH₃ (포스핀)
색
무색 기체
특징
인의 수소 화합물. 악취가 나는 기체. 또 PH₃을 모체로 하여 그 수소원자를 탄화수소기로 치환한 유기 화합물도 포스핀이라 총칭된다. P(CH)₃ 등의 포스핀을 배위자로 하는 금속 착물은 유기 합성의 촉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1, 제2, 제3 포스핀의 각 염기는 대응하는 요오드화 수소산 염에 수산화 알칼리의 작용으로 얻어지지만, 모두 해당하는 아민류보다도 약한 염기성을 나타내며 매우 산화되기 쉽다. 각종 포스핀의 유도체는 유기인 화합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Cu(구리)
156.Cu(OH) (수산화구리(I))
비중
3.37
특징
수산화제1구리라고도 한다. 물속에 방치하거나 끓이면 산화구리(I)가 된다. 1가의 구리염 용액에 수산화알칼리를 가하면 노란색 침전물로서 생긴다. X선회절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산화구리(I)의 겔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157.Cu(OH)₂ (수산화구리(II))
색
푸른색의 가루 또는 결정
특징
수산화제2구리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수산화구리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키는 일이 많다. 찬물에는 녹지 않으며, 뜨거운 물에는 탈수되어 검은색의 산화구리(II)가 된다. 암모니아수·사이안화알칼리 등에는 착이온이 되어 녹는다.
2가의 구리염 용액에 수산화알칼리를 반응시키면 생긴다. 암모니아수와 작용하여 생긴 진한 푸른색 용액은 슈바이처 시약이라 하여, 큐프라(cupra)의 제조 등에 사용된다. 수산화알칼리에는 콜로이드용액이 되어 녹고, 진한 용액과는 착이온을 만들어 녹는다. 또 산 ·알코올 등에도 녹는다.
158.[Cu(NH₃)₄](OH)₂ (구리암모니아용액)
특징
이 용액이 셀룰로스를 용해한다는 사실을 M. E. 슈바이처가 발견하였기 때문에 슈바이처 시약(試藥)이라고도 한다. 구리염 수용액에 진한 암모니아수를 계속 가하면, 처음에는 수산화구리의 청백색 침전이 생기지만, 암모니아가 지나치게 되면 짙은 푸른색의 구리암모니아용액으로 변한다.
구리이온은 주로 [Cu(NH)₄]₂+와 같이 테트라암민구리이온으로 되어 있다. 이 용액이 셀룰로스나 피브로인 등을 용해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셀룰로스를 녹인 구리암모니아용액을 산(酸)으로 중화시키거나 많은 물로 희석하면 셀룰로스를 재생할 수 있다. 용액을 공기 중에 방치하면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셀룰로스가 쉽게 산화하므로 공기를 차단하거나 슈크로스·아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제를 가해서 보존한다.
황산구리 용액에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염기성 황산구리 CuSO₄·3Cu(OH)₂를 침전시키고,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수산화구리 Cu(OH)₂로 만들거나, 또는 황산구리 수용액에 염화암모늄과 수산화나트륨을 반응시켜 수산화구리로 만든 다음, 진한 암모니아수에 녹여서 만든다. 또 구리조각을 넣은 진한 암모니아수 속에 공기를 통과시켜도 얻을 수 있다.
구리암모니아법에 의한 인견사(人絹絲)의 제조에 쓰인다. 또한 셀룰로스섬유·견(絹) 등의 섬유는 이 용액에 녹지만 양모(羊毛)는 녹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섬유 감별에 이용한다.
159.CuCO₃ (탄산구리)
특징
탄산나트륨과 복염(複鹽)으로 얻는 청록색 물질. 물감으로 쓴다.
160.Cu(NO₃)₂ (질산구리)
분자량
187.56g/gmol
특징
구리의 질산염. 2가의 구리인 질산구리(Ⅱ)만이 알려져 있다. 20.5℃ 이하에서는 구수화물이, 20.5∼24.5℃에서는 육수화물, 24.5℃ 이상에서는 삼수화물이 얻어진다.
육수화물·삼수화물은 모두 조해성(潮解性)이 있는 청색 결정이다. 물·에탄올에 잘 녹는다. 삼수화물에 진한 질산과 오산화이질소를 가하면 백색 또는 녹백색을 띤 무수물이 얻어진다. 산화구리 또는 탄산구리를 묽은 질산에 인 용액에서 결정시키면 수화물이 얻어진다. 수화물은 청색이며 가열하면 질산을 잃고 염기성으로 된다.
161.Cu₂Cl₂·(H₂O)₂ (염화구리 이수화물)
특징
수용액이 진할 때는 갈색, 묽은 때는 녹색, 점차 묽어질수록 청색이 된다. 수용액에서는 이수화물 결정이 얻어진다. 탄산구리(Ⅱ)를 염산에 용해시킨 용액에서도 이수화물이 얻어진다. 이수화물은 녹색의 결정으로 비중 2.39g/㎤이며 습한 공기 속에서 조해(潮解)한다. 유독하다. 에탄올·아세톤·피리딘 등에도 용해된다. 가열하면 110℃에서 탈수분해된다.
아닐린염료의 산화제, 가축의 전염병 소독제 등에 사용된다.
P(인산)
152.Na₂HPO₄ (인산나트륨)
특징
보통 오르소인산나트륨 Na₃PO₄를 가리키지만 인산수소이나트륨 Na₂HPO₄를 말하는 수도 있다. 영점오,육,팔,십이수화물이 있다. 식품공업용 약품, 양조용 약품으로 쓰인다.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을 가하면 12수화물이 얻어지고, 100℃로 가열하면 일수화물, 200℃에서 무수염(융점:1340℃)이 된다. 백색 또는 무색의 고체. 100ml에 대하여 14.5g(20℃)용해하며 수용액은 강알칼리성을 가리킨다. 인산이수소나트륨이수화물은 발효공업을 위시하여 통조림, 가공치즈, 스프레드, 베이킹파우더 등의 안정제나 완충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훈제, 소시지의 결착제나 염지제, 분말 산미료, 콘 비프 등에 0.2~03%의 범위로 쓰인다. 사용기준은 없다.
153.PCl₃ (삼염화인)
색
무색의 발연성 유독한 액체
비중
1.57
끓는점
74.7℃
특징
에테르·벤젠·클로로포름·사염화탄소·이황화탄소 등에 녹으며, 물에서는 격렬하게 가수분해한다. 부식성이 강하고 유독하다. 인과 염소 반응에서 얻은 불순한 삼염화인을 증류하여 정제하면 생긴다. 각종 인화합물의 합성 원료, 염소화제로 사용된다.
154.PCl (오염화인)
색
백색,담록색의 결정성 고체
특징
대기 환경 보전법이 정한 대기 오염 물질의 일종. 피부에 닿으면 급성 피부염을 일으키고, 오염화인 연무체는 상부 기도에 강한 자극을 일으킨다. 허용 농도는 1㎎/㎥이다. 다량의 물과 반응하여 정인산과 염산을 만든다. 대기 환경보전법이 정한 대기 오염 물질의 하나로, 의약 제조 등에 사용한다.
155.PH₃ (포스핀)
색
무색 기체
특징
인의 수소 화합물. 악취가 나는 기체. 또 PH₃을 모체로 하여 그 수소원자를 탄화수소기로 치환한 유기 화합물도 포스핀이라 총칭된다. P(CH)₃ 등의 포스핀을 배위자로 하는 금속 착물은 유기 합성의 촉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1, 제2, 제3 포스핀의 각 염기는 대응하는 요오드화 수소산 염에 수산화 알칼리의 작용으로 얻어지지만, 모두 해당하는 아민류보다도 약한 염기성을 나타내며 매우 산화되기 쉽다. 각종 포스핀의 유도체는 유기인 화합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Cu(구리)
156.Cu(OH) (수산화구리(I))
비중
3.37
특징
수산화제1구리라고도 한다. 물속에 방치하거나 끓이면 산화구리(I)가 된다. 1가의 구리염 용액에 수산화알칼리를 가하면 노란색 침전물로서 생긴다. X선회절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산화구리(I)의 겔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157.Cu(OH)₂ (수산화구리(II))
색
푸른색의 가루 또는 결정
특징
수산화제2구리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수산화구리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키는 일이 많다. 찬물에는 녹지 않으며, 뜨거운 물에는 탈수되어 검은색의 산화구리(II)가 된다. 암모니아수·사이안화알칼리 등에는 착이온이 되어 녹는다.
2가의 구리염 용액에 수산화알칼리를 반응시키면 생긴다. 암모니아수와 작용하여 생긴 진한 푸른색 용액은 슈바이처 시약이라 하여, 큐프라(cupra)의 제조 등에 사용된다. 수산화알칼리에는 콜로이드용액이 되어 녹고, 진한 용액과는 착이온을 만들어 녹는다. 또 산 ·알코올 등에도 녹는다.
158.[Cu(NH₃)₄](OH)₂ (구리암모니아용액)
특징
이 용액이 셀룰로스를 용해한다는 사실을 M. E. 슈바이처가 발견하였기 때문에 슈바이처 시약(試藥)이라고도 한다. 구리염 수용액에 진한 암모니아수를 계속 가하면, 처음에는 수산화구리의 청백색 침전이 생기지만, 암모니아가 지나치게 되면 짙은 푸른색의 구리암모니아용액으로 변한다.
구리이온은 주로 [Cu(NH)₄]₂+와 같이 테트라암민구리이온으로 되어 있다. 이 용액이 셀룰로스나 피브로인 등을 용해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셀룰로스를 녹인 구리암모니아용액을 산(酸)으로 중화시키거나 많은 물로 희석하면 셀룰로스를 재생할 수 있다. 용액을 공기 중에 방치하면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셀룰로스가 쉽게 산화하므로 공기를 차단하거나 슈크로스·아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제를 가해서 보존한다.
황산구리 용액에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염기성 황산구리 CuSO₄·3Cu(OH)₂를 침전시키고,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수산화구리 Cu(OH)₂로 만들거나, 또는 황산구리 수용액에 염화암모늄과 수산화나트륨을 반응시켜 수산화구리로 만든 다음, 진한 암모니아수에 녹여서 만든다. 또 구리조각을 넣은 진한 암모니아수 속에 공기를 통과시켜도 얻을 수 있다.
구리암모니아법에 의한 인견사(人絹絲)의 제조에 쓰인다. 또한 셀룰로스섬유·견(絹) 등의 섬유는 이 용액에 녹지만 양모(羊毛)는 녹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섬유 감별에 이용한다.
159.CuCO₃ (탄산구리)
특징
탄산나트륨과 복염(複鹽)으로 얻는 청록색 물질. 물감으로 쓴다.
160.Cu(NO₃)₂ (질산구리)
분자량
187.56g/gmol
특징
구리의 질산염. 2가의 구리인 질산구리(Ⅱ)만이 알려져 있다. 20.5℃ 이하에서는 구수화물이, 20.5∼24.5℃에서는 육수화물, 24.5℃ 이상에서는 삼수화물이 얻어진다.
육수화물·삼수화물은 모두 조해성(潮解性)이 있는 청색 결정이다. 물·에탄올에 잘 녹는다. 삼수화물에 진한 질산과 오산화이질소를 가하면 백색 또는 녹백색을 띤 무수물이 얻어진다. 산화구리 또는 탄산구리를 묽은 질산에 인 용액에서 결정시키면 수화물이 얻어진다. 수화물은 청색이며 가열하면 질산을 잃고 염기성으로 된다.
161.Cu₂Cl₂·(H₂O)₂ (염화구리 이수화물)
특징
수용액이 진할 때는 갈색, 묽은 때는 녹색, 점차 묽어질수록 청색이 된다. 수용액에서는 이수화물 결정이 얻어진다. 탄산구리(Ⅱ)를 염산에 용해시킨 용액에서도 이수화물이 얻어진다. 이수화물은 녹색의 결정으로 비중 2.39g/㎤이며 습한 공기 속에서 조해(潮解)한다. 유독하다. 에탄올·아세톤·피리딘 등에도 용해된다. 가열하면 110℃에서 탈수분해된다.
아닐린염료의 산화제, 가축의 전염병 소독제 등에 사용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소나무][소나무의 개념][소나무의 특성][소나무의 종류][소나무의 세대교대][소나무에 관련...
[인간발달][인간발달단계][인간발달단계에 따른 발달특성][다우닝][인간발달단계이론]인간발...
[섬유공학과] (예비) 고분자 겔의 팽윤특성 - 고분자 겔과 수화겔의 특성을 알아보고, 실생활...
[사회복지행정론] 서비스의 질 관리와 위험관리 - 서비스의 개념과 특성 및 서비스 질의 정의...
[부모교육] 영재아 가족에 대한 이해와 수용능력_ 영재아의 특성, 영재아 가족의 상호작용 특...
[자연과학의 이해] 효소의 특성과 작용, 반응 (효소의 특성, 구조, 분류, 작용, 고정화, 센서...
[청소년육성제도론 青少年育成制度論] 청소년의 본질 (청소년의 개념, 청소년의 발...
[건설시공학] ≪콘크리트파일의 종류와 특성≫ 콘크리트파일의 개념과 종류 및 특성 - 현장타설...
[영유아보육학 공통] 2004년 전면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의 주요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
【부동산 마케팅】 : 부동산 마케팅믹스의 방법 ; 부동산 마케팅의 특성과 기법분석 {부동산 ...
귀하가 가장 사랑하고 존경하는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특성 중에서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특...
[자원봉사] 자원봉사활동의 10대 특성 중 자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특성 한 가지를 ...
[놀이지도] 유아기 사회발달 특성을 적고 발달특성을 고려한 놀이지도 방법에 예시를 들어 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