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주제 : 탄산나트륨을 이용한 염산의 적정-
1. Title : warder법을 이용해 탄산으로 염산을 적정함으로써 산염기 적정과 연속적정에 대해 이해한다.
2. Date :
3. Principle
4. Reagent & Apparatus
5. Procedure
6. Result
9. Discussion
10. Reference
1. Title : warder법을 이용해 탄산으로 염산을 적정함으로써 산염기 적정과 연속적정에 대해 이해한다.
2. Date :
3. Principle
4. Reagent & Apparatus
5. Procedure
6. Result
9. Discussion
10. Reference
본문내용
순도 99.9%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사용한 염산은 공기중에서 반응하기도 하고, 강산이기 때문에, 일차 표준물질로 만들 수 없다. 대신, 중화적정 등으로 표준화하여 분석에 사용될 용액의 정밀농도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을 쓰면 적정을 추가적으로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기 때문에, 정밀한 값이 요구 될 때에는 잘 쓰지 않는다.
3) 탄산나트륨과 염산을 섞은 후,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 적정하면 (다시 말해, 실험과정에서 염산과 수산화나트륨을 서로 바꾸면) 실험에 오차가 크다. 왜 그럴까?
탄산나트륨과 염산이 먼저 여러 가지 반응식으로 반응하기 때문이다. 이 때 어느 비율로 반응하는지를 현재 우리가 모르는 상태라는 가정아래 실험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구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10. Reference
- 손 무정 외 12명, 2007, 최신일반화학실험, 동화기술, pp199-209
- 일반화학실험교재연구회, 2004,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pp.54-57
- Raymond chang, 2008, General Chemistry The Essential Concepts, 자유아카데미, p522 pp525-526
- Daniel C. Harris, 2007,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자유아카데미, pp149-151 pp264-267
- 케미컬네트웍. (n. d.). http://chem-net.co.kr/, 2012년
- Dr Karl Harrison. (n. d.). http://www.3dchem.com/table.asp, 2012년
3) 탄산나트륨과 염산을 섞은 후,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 적정하면 (다시 말해, 실험과정에서 염산과 수산화나트륨을 서로 바꾸면) 실험에 오차가 크다. 왜 그럴까?
탄산나트륨과 염산이 먼저 여러 가지 반응식으로 반응하기 때문이다. 이 때 어느 비율로 반응하는지를 현재 우리가 모르는 상태라는 가정아래 실험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구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10. Reference
- 손 무정 외 12명, 2007, 최신일반화학실험, 동화기술, pp199-209
- 일반화학실험교재연구회, 2004,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pp.54-57
- Raymond chang, 2008, General Chemistry The Essential Concepts, 자유아카데미, p522 pp525-526
- Daniel C. Harris, 2007,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자유아카데미, pp149-151 pp264-267
- 케미컬네트웍. (n. d.). http://chem-net.co.kr/, 2012년
- Dr Karl Harrison. (n. d.). http://www.3dchem.com/table.asp, 2012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