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각예술의 읽기 이론을 위하여
-푸생의 〈아르카디아 목자들〉을 중심으로-
▶ 방법론 문제
▶ 시간의 도상 구조
▶ 재현적 모델들
▶ 읽기 과정: 직시와 재현
▶ 읽기 과정: 가시성의 통사론과 그 자기 재현성
▶ 〈아르카디아 목자들〉 읽기
▶ 푸생〈Nicolas Poussin〉(1594~1665.11.19)
▶ 토의 과제
-푸생의 〈아르카디아 목자들〉을 중심으로-
▶ 방법론 문제
▶ 시간의 도상 구조
▶ 재현적 모델들
▶ 읽기 과정: 직시와 재현
▶ 읽기 과정: 가시성의 통사론과 그 자기 재현성
▶ 〈아르카디아 목자들〉 읽기
▶ 푸생〈Nicolas Poussin〉(1594~1665.11.19)
▶ 토의 과제
본문내용
을 중화시킨다.
르네상스 이래로 나타나는 회화적 재현 모델에서 거울 이미지라는 패러다임 Paradigm, 사고의 틀을 뜻함
을 강조한다면,
이 패러다임에서 회화는 세계로 열려진 창문처럼 세계를 복사하는 거울로서-회화의 이론적
, 기술적 구조 속에서-기능한다. 회화의 실제 지시 대상은 캔버스 위에 부재하는 것으로, 다
시말해 회화의 지각적 실재로 과학적으로 정초된 회화의 이미지, 반영, 그림자로서 나타난다
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이것들은 재현 체계의 모순 공리들이다. 즉 1) 재현 화면은 그것
을 통해 관객 즉 인간이 캔버스 위에 재현된 장면을 마치 세계의 실제 장면을 보듯이 관조
하는 투명한 유리창이다. 2) 그러나 동시에 화면-사실은 표면과 물질적 버팀목으로 이루어질-은 또한 실제 사물이 그려지는 반영 장치이기도 하다.
▶ 〈아르카디아 목자들〉 읽기
C
(4)
A [B] D
(1) (2)
(3)
C
A=왼쪽 양치기
B=무릎을 꿇은 양치기
C=오른쪽 양치기
D=여자 양치기
▶ 푸생〈Nicolas Poussin〉(1594~1665.11.19)
프랑스의 화가. 노르망디의 레장드리 출생. 처음에 고향에서 Q. 바랭에게 배우다가 1612년
파리로 나가 F. 엘 및 G. 랄르망에게 사사하였다고 하나, 이 시기까지의 일은 그다지 알려
져 있지 않다. 21년 뤽상부르궁(宮)의 장식에 필립 드 샹파뉴와 함께 고용되었다. 이 때
왕궁에 소장된 라파엘로의 작품을 알게 되었고, 원래 이탈리아 고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그는 더욱 로마를 동경하게 되었다. 24년 로마로 가서 당시의 유행 작풍이었던 카라치파의
작품을 배우고 도메니키노의 아틀리에서 제작하였다. 그가 지니는 명쾌단정한 구도와 약간
차가운 듯한 색조는 이 시기의 수업에서 비롯된 것이다. 베네치아파에서도 영향을 받아
라파엘로 등 고대에 심취하였고, 로마와 상상적인 고대풍경 속에서 균형과 비례가 정확한
고전적 인물을 등장시킨 독창적인 작품을 창출하였다. 28년 성베드로대성당의 제단화를 그
릴 무렵부터 명성이 높아져, 39년 마침내 고국 프랑스의 루이 13세로부터 수석화가로서 초
빙되었다. 그러나 파리의 화가들과 잘 맞지 않아, 42년 다시 로마로 돌아와 죽을 때까지 그
곳에 머물렀다. 신화와 고대사, 성서 등에서 제재를 골라, 그것을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독
특한 이상적인 풍경 속에 그렸는데, 그 장대하고 세련되고 정연한 화면구성과 화면의 정취
는 그 후 프랑스 회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17세기 프랑스 최대의 화가이며, 프랑스
근대회화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작품으로 《예루살렘의 파괴》(빈 미술사 미술관)
《아폴로와 다프네》(뮌헨 미술관) 《바커스제》《플로라의 승리》《아르카디아의 목자》
(이상 루브르 미술관) 《양치기들의 경배》《계단 위의 성가족》 등이 있다.
▶ 토의 과제
1. 회화가 동사, 시제 표시어, 부사, 대명사가 분명히 없는데도 어떻게 언어처럼 이야기를
서술할 수 있을까?
2. 푸생의 〈아르카디아 목자들〉에서-그 서사적 내용에서-도상적 직시법의 ‘부정’을 지적해
낼 수 있는가?
르네상스 이래로 나타나는 회화적 재현 모델에서 거울 이미지라는 패러다임 Paradigm, 사고의 틀을 뜻함
을 강조한다면,
이 패러다임에서 회화는 세계로 열려진 창문처럼 세계를 복사하는 거울로서-회화의 이론적
, 기술적 구조 속에서-기능한다. 회화의 실제 지시 대상은 캔버스 위에 부재하는 것으로, 다
시말해 회화의 지각적 실재로 과학적으로 정초된 회화의 이미지, 반영, 그림자로서 나타난다
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이것들은 재현 체계의 모순 공리들이다. 즉 1) 재현 화면은 그것
을 통해 관객 즉 인간이 캔버스 위에 재현된 장면을 마치 세계의 실제 장면을 보듯이 관조
하는 투명한 유리창이다. 2) 그러나 동시에 화면-사실은 표면과 물질적 버팀목으로 이루어질-은 또한 실제 사물이 그려지는 반영 장치이기도 하다.
▶ 〈아르카디아 목자들〉 읽기
C
(4)
A [B] D
(1) (2)
(3)
C
A=왼쪽 양치기
B=무릎을 꿇은 양치기
C=오른쪽 양치기
D=여자 양치기
▶ 푸생〈Nicolas Poussin〉(1594~1665.11.19)
프랑스의 화가. 노르망디의 레장드리 출생. 처음에 고향에서 Q. 바랭에게 배우다가 1612년
파리로 나가 F. 엘 및 G. 랄르망에게 사사하였다고 하나, 이 시기까지의 일은 그다지 알려
져 있지 않다. 21년 뤽상부르궁(宮)의 장식에 필립 드 샹파뉴와 함께 고용되었다. 이 때
왕궁에 소장된 라파엘로의 작품을 알게 되었고, 원래 이탈리아 고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그는 더욱 로마를 동경하게 되었다. 24년 로마로 가서 당시의 유행 작풍이었던 카라치파의
작품을 배우고 도메니키노의 아틀리에서 제작하였다. 그가 지니는 명쾌단정한 구도와 약간
차가운 듯한 색조는 이 시기의 수업에서 비롯된 것이다. 베네치아파에서도 영향을 받아
라파엘로 등 고대에 심취하였고, 로마와 상상적인 고대풍경 속에서 균형과 비례가 정확한
고전적 인물을 등장시킨 독창적인 작품을 창출하였다. 28년 성베드로대성당의 제단화를 그
릴 무렵부터 명성이 높아져, 39년 마침내 고국 프랑스의 루이 13세로부터 수석화가로서 초
빙되었다. 그러나 파리의 화가들과 잘 맞지 않아, 42년 다시 로마로 돌아와 죽을 때까지 그
곳에 머물렀다. 신화와 고대사, 성서 등에서 제재를 골라, 그것을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독
특한 이상적인 풍경 속에 그렸는데, 그 장대하고 세련되고 정연한 화면구성과 화면의 정취
는 그 후 프랑스 회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17세기 프랑스 최대의 화가이며, 프랑스
근대회화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작품으로 《예루살렘의 파괴》(빈 미술사 미술관)
《아폴로와 다프네》(뮌헨 미술관) 《바커스제》《플로라의 승리》《아르카디아의 목자》
(이상 루브르 미술관) 《양치기들의 경배》《계단 위의 성가족》 등이 있다.
▶ 토의 과제
1. 회화가 동사, 시제 표시어, 부사, 대명사가 분명히 없는데도 어떻게 언어처럼 이야기를
서술할 수 있을까?
2. 푸생의 〈아르카디아 목자들〉에서-그 서사적 내용에서-도상적 직시법의 ‘부정’을 지적해
낼 수 있는가?
키워드
추천자료
포르노 그래피와 예술(외설과 예술, 그 끊이지 않는 논쟁)
포르노 그래피와 예술 - 외설vs예술, 그 끓이지 않는 논쟁
[합리주의][합리주의를 보는 시각][합리주의 철학자][신합리주의의 등장][신합리주의 건축][...
[디자인][디자이너][우수디자인][시각요소]디자인의 개념, 디자인의 역사, 디자인의 개념요소...
[인문학][인문학과 정보화][인문학과 순수예술][인문학과 멀티미디어][인문학과 돈][인문학과...
[텍스트]텍스트의 개념, 텍스트의 구조, 상호텍스트성의 이론, 상호텍스트성과 이어성, 상호...
[상담심리학]본성실현 상담이론
[조형적활동중심학습][신조형주의][농민전쟁기념조형물][조형예술학][조형활동]조형적활동중...
[영화][영화감상][영화 특성][영화 역할][영화 선택요인][영화감상 테마][영화감상 시각효과]...
예술영재
예술이란 무엇인가..
[경건, 상실, 독일 경건파, 예술, 블로쉬, 주일학교, 경건파, 독일, 경건성, 경건주의자, 개...
[영상촬영, 영화촬영, 영상언어, 시각효과]영상촬영(영화촬영)의 정의, 영상촬영(영화촬영)의...
[동성애 방안]동성애자의 사회적 시각과 문제점 및 동성애자에 대한 권리_동성애에 대한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