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육상, 담수, 습지, 해양 생태계의 특성과 생태계의 천이 연구>
1. 육상, 담수, 습지, 해양 생태계의 특성
가. 육상 생태계
(1) 개념
(2) 생태계의 구조
1) 구성요소
2) 생물적 구성요소
3) 비 생물적 구성요소
4) 기능적 구성요소
5) 주요 인자
나. 담수 생태계
(1) 유수 생태계
(2) 정수 생태계
1) 호소의 영역구분
2) 부영양호 (Eutrophic Lake)와 빈영양호 (Oligotrophic Lake)
3) 연안대의 수초
다. 습지 생태계
(1) 습지 : 연중 적어도 지역의 일부가 얕은 물에 잠기는 지역
(2) 갯벌
1) 갯벌 생태계 3요소
2) 우리나라 갯벌의 생물 다양성
라. 해양 생태계
(1) 수평적 구분
(2) 수직적 구분
2. 생태계의 천이 연구
가. 생태계의 천이(Succession)
나. 천이의 특징
다. 천이에 관련된 학설
(1) 단극상설 (單極相說, Monoclimax Theory)
(2) 다극상설 (多極相設, Polyclimax Theory)
(3) 천이의 유형
(4) 1차 천이 (Primary Succession)
(5) 2차 천이 (Secondary Succession)
(6) 건성 천이 (乾性遷移, Xerarch Succession)
1) 건성 천이의 과정
(7) 습성천이 (濕性遷移, Hydrach Succession)
1) 천이와 습성 천이
2) 천이과정
3. Reference
1. 육상, 담수, 습지, 해양 생태계의 특성
가. 육상 생태계
(1) 개념
(2) 생태계의 구조
1) 구성요소
2) 생물적 구성요소
3) 비 생물적 구성요소
4) 기능적 구성요소
5) 주요 인자
나. 담수 생태계
(1) 유수 생태계
(2) 정수 생태계
1) 호소의 영역구분
2) 부영양호 (Eutrophic Lake)와 빈영양호 (Oligotrophic Lake)
3) 연안대의 수초
다. 습지 생태계
(1) 습지 : 연중 적어도 지역의 일부가 얕은 물에 잠기는 지역
(2) 갯벌
1) 갯벌 생태계 3요소
2) 우리나라 갯벌의 생물 다양성
라. 해양 생태계
(1) 수평적 구분
(2) 수직적 구분
2. 생태계의 천이 연구
가. 생태계의 천이(Succession)
나. 천이의 특징
다. 천이에 관련된 학설
(1) 단극상설 (單極相說, Monoclimax Theory)
(2) 다극상설 (多極相設, Polyclimax Theory)
(3) 천이의 유형
(4) 1차 천이 (Primary Succession)
(5) 2차 천이 (Secondary Succession)
(6) 건성 천이 (乾性遷移, Xerarch Succession)
1) 건성 천이의 과정
(7) 습성천이 (濕性遷移, Hydrach Succession)
1) 천이와 습성 천이
2) 천이과정
3. Reference
본문내용
인하여 생물상에 따라 각기 다른 극상군집을 형성한다는 학설. F. E. Clements는 기후조건에 따라 단극상설로 수렴한다고 주장하였으나 는 기후조건 뿐만 아니라 토양조건에 의한 안정군락을 극상으로 인정하면서 제창하였다.
(3) 천이의 유형
구 분
천이 유형
유발지역(토양조건)에
따른 유형
1차 천이
2차 천이
유발 주체에 따른 분류
자발적 천이 (내부요인)
타발적 천이 (외부 힘)
진행 방향에 따른 분류
진행 천이 (벌채된 삼림)
퇴행 천이
(진행 천이 반대, 단순, 획일)
진행 방향의 형태에
따른 유형
방향적 천이
순환적 천이
군상 천이 원인에
따른 유형
시차적 천이
지형적 천이
(4) 1차 천이 (Primary Succession)
- 고등생물이 존재하지 않던 지역 (암석지, 빙하토, 사구, 호수, 화산폭발, 대지 등) 에 하등식물 (지의류, 선태류) 이 이주 및 정착하여 최초 개척자로 약산(Acid)을 생성하여 천천히 암반의 표면을 침식시킨다. 침식된 틈에 유기물과 모래입자들이 쌓여 초본식물과 이끼류가 정착하게 되고 토양층을 점점 두껍게 만들게 된다. 그 뒤 곤충과 분해자 개체군이 정착하게 되고 식물들이 토양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토양을 형성한 식물들은 관목으로 대치되어 동물 개체군이 정착하게 된다.
Ex) 자연적 부영양화 : 빈영양호수 → 자연적 부영양화 → 부영양호수 → 습원화(부식)
→ 토양화(토양형성), 육상식물 침입 → 초원 → 양수림 → 음수림
(5) 2차 천이 (Secondary Succession)
- 기존의 식물군집에 외부의 교란에 의한 천이. 2차 천이의 출발시점은 1차 천이에 비해 훨씬 앞서며 2차 천이의 초기단계는 1차 천이의 중간단계에 해당한다. 1차 천이는 수천 년이 걸리는데 비해 2차 천이는 수백 년이 걸린다. 주로 환경오염 등의 영향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Ex) 영양염류의 과도한 양에 의한 부영양화가 대표적인 2차 천이.
(6) 건성 천이 (乾性遷移, Xerarch Succession)
- 맨땅이나 암석지대 등의 건조한 곳에서 시작되는 천이. 지의류, 이끼, 초본, 작은 관목, 양수림, 혼합림, 음수림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느리게 진행되는 과정으로 안정화되기까지 수백 년 이상이 걸린다.
1) 건성 천이의 과정
(암석사구(나지) → 지의류 → 선태류 → 초원 → 관목림 → 양수림 → 혼합림 → 음수림)
(습윤암석지 → 1년생초본류 → 다년생초본류 → 관목림 → 양수림 → 혼합림 → 음수림)
a) 개척자의 등장
- 용암지대나 바위가 많은 곳처럼 식물이 살지 않는 곳에서는 우선 스스로 생존이 가능한 지의류(lichen)와 같은 개척자가 필요하다. 지의류는 암반 표면에 달라붙어 생활하며, 산성 물질을 만들어내서 천천히 바위를 침식시킨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나 토양입자는 지의류에 달라붙거나 바위틈에 쌓여서 토양층을 이루기 시작한다.
b) 이끼류와 초본식물의 등장
- 지의류에 의해서 형성된 바위틈과 토양층은 수분을 머금게 되고, 여기에서 이끼류(moss)가 자란다. 토양은 수분과 영양분이 더욱 더 풍부해지면서 작은 초본식물이 자라기에 좋은 환경이 된다. 식물은 자라면서 암반의 틈을 더욱 더 벌리게 되고, 이곳에 곤충이나 분해자가 살게 되면서 지의류와 영양분을 놓고 경쟁하게 된다. 결국 식물과 분해자가 우위를 점하게 되면서 경쟁에서 밀려난 지의류는 사라진다.
c) 삼림 형성
- 새롭게 정착한 식물과 이에 파생된 다른 요인들로 인해서 토양은 점차 비옥해진다. 초본식물은 작은 관목에 자리를 내주게 되고, 다양한 동물들이 이곳에서 생활할 수 있게 된다. 시간이 흐르면 소나무나 자작나무와 같이 햇볕에서 잘 자라는 양수(sun tree, 陽樹)가 등장하며, 이 나무들이 숲을 이루면 햇빛을 가려서 초본이나 작은 양수가 사라지기 시작한다. 반면 약한 빛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음수(tolerant tree, 陰樹)가 서서히 숲으로 들어오게 되며, 숲은 음수와 양수가 섞여 자라는 혼합림이 된다. 마지막으로 혼합림으로부터 음수가 그 수를 늘려가고 안정화되어 삼림을 형성하면서 천이 과정이 마무리 된다.
(7) 습성천이 (濕性遷移, Hydrach Succession)
- 식물 군락 천이의 하나. 호소나 습지에서 시작되는 천이계열.
(빈영양호 → 부영양호 → 습원 → 초원 → 관목림 → 양수림 → 혼합림 → 음수림)
1) 천이와 습성 천이
- 같은 장소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식물군집의 변화를 천이(遷移, Succession)라 한다. 천이는 천이가 일어나는 시기의 환경조건에 따라 용암지대, 빙하에 의한 침식지, 사구 등 식물이 전혀 생육한 적 없는 토양에서 시작되는 1차 천이와 기존의 식생이 파괴된 후 남아 있는 토양에서 재 시작되는 2차 천이로 구분된다. 이 중 1차 천이는 시작되는 장소에 따라 육상에서 볼 수 있는 건성 천이와 빙하토와 같이 어느 정도 수분을 함유한 토양에서 시작되는 중성천이, 호소나 습지에서 천이가 시작되는 습성 천이로 나눠진다.
2) 천이과정
- 습성 천이는 물에서부터 시작되는 천이로 호소나 늪 등의 빈영양(貧營養)단계에서 출발하여 차츰 부영양화되며 침수식물군집, 습생초원식물군집을 거쳐 육지로 변화는 단계를 거친다. 육지가 된 후에는 건성 천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음수림(陰樹林)이 된다.
3. Reference
http://blog.naver.com/myworld23?Redirect=Log&logNo=120108976390 (육상생태계)
http://blog.daum.net/aceykh/14626046 (담수생태계, 습지생태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33840 (해양생태계)
http://blog.naver.com/funny_cat?Redirect=Log&logNo=120013155473 (극상관련)
http://blog.daum.net/krc_smgg/3548397 (육상 생태계의 천이)
http://100.naver.com/100.nhn?docid=7946 (건성 천이)
http://100.naver.com/100.nhn?docid=829888 (습성 천이)
(3) 천이의 유형
구 분
천이 유형
유발지역(토양조건)에
따른 유형
1차 천이
2차 천이
유발 주체에 따른 분류
자발적 천이 (내부요인)
타발적 천이 (외부 힘)
진행 방향에 따른 분류
진행 천이 (벌채된 삼림)
퇴행 천이
(진행 천이 반대, 단순, 획일)
진행 방향의 형태에
따른 유형
방향적 천이
순환적 천이
군상 천이 원인에
따른 유형
시차적 천이
지형적 천이
(4) 1차 천이 (Primary Succession)
- 고등생물이 존재하지 않던 지역 (암석지, 빙하토, 사구, 호수, 화산폭발, 대지 등) 에 하등식물 (지의류, 선태류) 이 이주 및 정착하여 최초 개척자로 약산(Acid)을 생성하여 천천히 암반의 표면을 침식시킨다. 침식된 틈에 유기물과 모래입자들이 쌓여 초본식물과 이끼류가 정착하게 되고 토양층을 점점 두껍게 만들게 된다. 그 뒤 곤충과 분해자 개체군이 정착하게 되고 식물들이 토양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토양을 형성한 식물들은 관목으로 대치되어 동물 개체군이 정착하게 된다.
Ex) 자연적 부영양화 : 빈영양호수 → 자연적 부영양화 → 부영양호수 → 습원화(부식)
→ 토양화(토양형성), 육상식물 침입 → 초원 → 양수림 → 음수림
(5) 2차 천이 (Secondary Succession)
- 기존의 식물군집에 외부의 교란에 의한 천이. 2차 천이의 출발시점은 1차 천이에 비해 훨씬 앞서며 2차 천이의 초기단계는 1차 천이의 중간단계에 해당한다. 1차 천이는 수천 년이 걸리는데 비해 2차 천이는 수백 년이 걸린다. 주로 환경오염 등의 영향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Ex) 영양염류의 과도한 양에 의한 부영양화가 대표적인 2차 천이.
(6) 건성 천이 (乾性遷移, Xerarch Succession)
- 맨땅이나 암석지대 등의 건조한 곳에서 시작되는 천이. 지의류, 이끼, 초본, 작은 관목, 양수림, 혼합림, 음수림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느리게 진행되는 과정으로 안정화되기까지 수백 년 이상이 걸린다.
1) 건성 천이의 과정
(암석사구(나지) → 지의류 → 선태류 → 초원 → 관목림 → 양수림 → 혼합림 → 음수림)
(습윤암석지 → 1년생초본류 → 다년생초본류 → 관목림 → 양수림 → 혼합림 → 음수림)
a) 개척자의 등장
- 용암지대나 바위가 많은 곳처럼 식물이 살지 않는 곳에서는 우선 스스로 생존이 가능한 지의류(lichen)와 같은 개척자가 필요하다. 지의류는 암반 표면에 달라붙어 생활하며, 산성 물질을 만들어내서 천천히 바위를 침식시킨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나 토양입자는 지의류에 달라붙거나 바위틈에 쌓여서 토양층을 이루기 시작한다.
b) 이끼류와 초본식물의 등장
- 지의류에 의해서 형성된 바위틈과 토양층은 수분을 머금게 되고, 여기에서 이끼류(moss)가 자란다. 토양은 수분과 영양분이 더욱 더 풍부해지면서 작은 초본식물이 자라기에 좋은 환경이 된다. 식물은 자라면서 암반의 틈을 더욱 더 벌리게 되고, 이곳에 곤충이나 분해자가 살게 되면서 지의류와 영양분을 놓고 경쟁하게 된다. 결국 식물과 분해자가 우위를 점하게 되면서 경쟁에서 밀려난 지의류는 사라진다.
c) 삼림 형성
- 새롭게 정착한 식물과 이에 파생된 다른 요인들로 인해서 토양은 점차 비옥해진다. 초본식물은 작은 관목에 자리를 내주게 되고, 다양한 동물들이 이곳에서 생활할 수 있게 된다. 시간이 흐르면 소나무나 자작나무와 같이 햇볕에서 잘 자라는 양수(sun tree, 陽樹)가 등장하며, 이 나무들이 숲을 이루면 햇빛을 가려서 초본이나 작은 양수가 사라지기 시작한다. 반면 약한 빛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음수(tolerant tree, 陰樹)가 서서히 숲으로 들어오게 되며, 숲은 음수와 양수가 섞여 자라는 혼합림이 된다. 마지막으로 혼합림으로부터 음수가 그 수를 늘려가고 안정화되어 삼림을 형성하면서 천이 과정이 마무리 된다.
(7) 습성천이 (濕性遷移, Hydrach Succession)
- 식물 군락 천이의 하나. 호소나 습지에서 시작되는 천이계열.
(빈영양호 → 부영양호 → 습원 → 초원 → 관목림 → 양수림 → 혼합림 → 음수림)
1) 천이와 습성 천이
- 같은 장소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식물군집의 변화를 천이(遷移, Succession)라 한다. 천이는 천이가 일어나는 시기의 환경조건에 따라 용암지대, 빙하에 의한 침식지, 사구 등 식물이 전혀 생육한 적 없는 토양에서 시작되는 1차 천이와 기존의 식생이 파괴된 후 남아 있는 토양에서 재 시작되는 2차 천이로 구분된다. 이 중 1차 천이는 시작되는 장소에 따라 육상에서 볼 수 있는 건성 천이와 빙하토와 같이 어느 정도 수분을 함유한 토양에서 시작되는 중성천이, 호소나 습지에서 천이가 시작되는 습성 천이로 나눠진다.
2) 천이과정
- 습성 천이는 물에서부터 시작되는 천이로 호소나 늪 등의 빈영양(貧營養)단계에서 출발하여 차츰 부영양화되며 침수식물군집, 습생초원식물군집을 거쳐 육지로 변화는 단계를 거친다. 육지가 된 후에는 건성 천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음수림(陰樹林)이 된다.
3. Reference
http://blog.naver.com/myworld23?Redirect=Log&logNo=120108976390 (육상생태계)
http://blog.daum.net/aceykh/14626046 (담수생태계, 습지생태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33840 (해양생태계)
http://blog.naver.com/funny_cat?Redirect=Log&logNo=120013155473 (극상관련)
http://blog.daum.net/krc_smgg/3548397 (육상 생태계의 천이)
http://100.naver.com/100.nhn?docid=7946 (건성 천이)
http://100.naver.com/100.nhn?docid=829888 (습성 천이)
추천자료
[생태조경] 국토환경지표의 선정 및 녹지에 대한 환경용량 평가
미래형 친환경도시
동서양사상에서의 환경윤리 비교
환경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인간중심적 환경윤리에 대한 반성적 평가에 관한 고찰
[환경보건윤리]인간중심적 환경윤리에 대해 반성적 평가
도시환경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생태도시”.
[환경보건윤리및정책B형]생태 중심주의 윤리의 특성과 한계에 대해 논술.
[환경보건윤리및정책]사회 생태주의 윤리의 특성과 한계에 대해
[환경보건윤리및정책A형]인간중심적 환경윤리에 대해 반성적으로 평가하시오
환경윤리(7-11장)
[생명과환경 : 영화 투모로우] 영화 투모로우를 보고 기후변화의 최악의 결과에 대해 논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