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술 속 회화론-추상표현주의 회화에서의 표현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 미술 속 회화론-추상표현주의 회화에서의 표현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현대 미술 속 회화론
-추상표현주의 회화에서의 표현성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숭고

I.주교재
J.F. Lyotard, 유정완 외역, 『포스트모던의 조건』,민음사,1992
진중권,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안성찬, 『숭고의 미학』, 유로서적, 2004



-형언할 수 없는 숭고함
-미에서 숭고로
-성스러운 장소
-하나임
-숭고는 지금
-숭고의 부정적 묘사
-사건성
-숭고의 미학

본문내용

먼은 아방가르드의 정신으로 본다.
-숭고의 미학
‘숭고’가 명시적으로 현대미학의 주요한 관심사로 자리 잡게 된 것은 전적으로 리오타르의 덕이다. 리오타르의 숭고론은 크게 세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창작 미학적 관점에서 현대 예술의 정신이 ‘숭고의 부정적 묘사’로 규정된다. 여기에 이론적 근거를 준 것은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 등장하는 ‘부정적 이념의 현시’라는 개념이다. 작품미학의 관점에서 숭고의 본질은 그것이 매개하는 ‘사건성’의 체험에서 발견된다. 이는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작품을 ‘진리의 일어남’으로 규정한 하이데거의 영향이리라. 마지막으로 영향미학의 관점에서 숭고의 효과는 ‘존재의 강화’에 있다고 상정된다.
리오타르의 숭고론은 현대예술이 재현을 포기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비구상 예술에 적용되는 논리이다. 숭고는 더 이상 ‘재현이냐, 추상이냐’의 차이가 아니라 “현전”의 여부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뉴먼의 미니멀리즘은 회화로써 사건성, 즉 “현전”을 매개하려는 여러 시도들 중의 ‘한’ 예가 될 것이다.
하지만 리오타르 숭고론에 내재한 가장 큰 문재는 다른 데에 있다. 숭고라는 범주를 구상과 비구상, 나아가 설치에까지 확장시키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과연 숭고라는 단 한의 개념으로 현대예술의 흐름 전체를 포괄할 수 있을까? 거기에는 아무래도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그는 현대예술에 숭고와 대립되는 ‘시뮬라크르’ 생산의 경향이 그것이다. 내가 보기에 숭고와 시뮬라크르는 마치 동잔의 양면처럼 서로 대립하고 동시에 보족하면서 현대인의 현실 체험을 이루는 두 기둥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5.21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