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 방향이 너무 잘 못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민주주의라는 우리들의 소중한 유산에 따라서 자유와 같이 평등의 원칙역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공적인 부분을 결정하는 정치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더욱 높여야 할 것이며, 하버마스가 말한 공론의 장의 확대를 통한 협의와 토론을 통해 신자유주의가 나은 사회적 불안요소들을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인간은 오랜 세월 동안 환경에 적응하며 발전하여 지금까지 살아남았다. 그 오랜 시간 인간이 지구의 주인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서로에 소통과 협동을 통한 효율적인 문제 해결의 과정이 정착되어서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처럼 우리 사회도 지금보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 모두가 참여하고 관심 가진다면 더 나은 사회로의 발전이 이루어 질 것이다.
추천자료
신자유주의에 입각한 구조조정 (영국과 한국)
[정당][정당정치][한국정당][정치][정당환경][정당개혁]한국 정당과 정당정치의 현황과 과제...
신자유주의와 한국경제
[민중운동, 신자유주의구조조정, 반미, 한국경제, 남북관계]민중운동과 신자유주의구조조정, ...
신자유주의와 한국경제
[방통대 2학년 세계의 정치와 경제]신자유주의의의 확산이 나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해 서술
세계의정치와경제2공통) 1.신자유주의의의 확산이 나의 삶과 사람들 일상에 미친 영향 서술. ...
[세계의정치와경제] 신자유주의의의 확산이 본인 삶에 미친 영향 (신자유주의의 정의와 특징,...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
[세계의정치와경제] 1 세계화시대 남북통일 민족국가 의미, 남북통일 필요성, 남북통일 불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