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메밀꽃 필 무렵」에 대하여...


2. 「메밀꽃 필 무렵」수업의 실제


3. 「메밀꽃 필 무렵」의 효과적인 수업에 대하여


4. 마치며

본문내용

이야기는, 허 생원으로 하여금 그때 성 서방네 처녀가 아이를 가졌다면, 그 아이가 지금 동이만한 나이가 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에 빠지게 하고 더 나아가 동이의 어머니가 바로 성 서방네 처녀일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품게 만든다.
(4) 허 생원이 물에 빠진 이야기: 개울을 건너다 허 생원이 물에 빠진다. 이에 동이가 허 생원을 업고 개울을 건너는데, 동이의 등에 업힌 허 생원은 육체의 접촉에 의해 동이에게 강한 애정을 느낀다. 허 생원은 조 선달에게 나귀 생각을 하다 실족해서 물에 빠졌다고 했지만, 실제 이유는 동이의 어머니가 바로 성 서방네 처녀일지도 모른다는, 그래서 그녀를 다시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는 혼자 생각에 정신이 팔렸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허 생원이 물에 빠진 것은 그가 그런 기대에 얼마나 열중하고 있는 가를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마찬가지로 허 생원이 동이의 등에서 느꼈던 따뜻함도 허 생원이 애틋한 기대를 드러낸다.
이러한 기대는 마지막 장면에서 동이가 왼손잡이임을 발견하고서는 더욱 강해져서 거의 확신에 이른다. 허 생원은 동이가 자신의 아들일 것이며, 다음날 제천에 가면 성 서방네 처녀를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적으로 믿는다. 끝 부분의 ‘걸음도 해깝고 방울 소리가 밤 벌판에서 한층 청청하게 울렸다’라는 묘사가 허 생원의 낙관적 기대를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은 같은 네 부분의 과정을 거침에 따라서 허 생원과 동이의 관계는 갈등이 해소되고 새로운 관계로 안정된다. 처음에는 허 생원과 동이가 나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욕망을 지닌 대립의 관계였다. 이 대립의 관계는
① 나귀 사건을 통해 허 생원이 자신의 처지를 알게 됨
② 허 생원에게는 동이 나이만했을 때 맺었던 성 서방네 처녀와의 아름다운 추억이 있음
③ 그때 그 처녀가 지금은 동이 어머니와 동이처럼 살고 있을 것이라고 그리워함
④ 동이가 자기 자식일 수도 있으며, 그녀와 재회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끝에서는 서로 애정을 지니고 위해 주는 아비와 자식의 안정된 관계로 암시된다. 이러한 관계의 회복을 통하여 삶의 자연적 질서와 그 질서에 순응하는 삶의 아름다움을 보여 주는 작품이 바로 「메밀꽃 필 무렵」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4. 마치며...
이처럼 「메밀꽃 필 무렵」의 숨은 의미는 허 생원과 동이의 관계, 달리 말하면 허 생원이 동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식의 이해가 「메밀꽃 필 무렵」을 감상하는 유일한 방식은 아니다. 물론 가장 타당성이 높고 섬세한 이해이긴 하지만,「메밀꽃 필 무렵」은 조금 다른 식으로 감상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이해는 고등학생들에게는, 우연히 맺게 된 인연의 신비한 아름다움과 그 추억을 평생 간직하고 살아가는 떠돌이 삶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 배경 등으로 이 작품을 감상하는 정도면 충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문학 교사의 입장에서는 허 생원과 동이의 관계를 통한 좀더 깊은 이해를 지니고 학생들의 반응에 따라 이 작품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22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