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DNA
● 정의 및 개념
● DNA의 구조
● DNA의 기능
● DNA의 복제
3. 염색체
● 정의 및 개념
● 염색체 수와 종류
● 염색체 수적이상 및 구조적이상
4. 유전자
● 정의 및 개념
● 1유전자 1효소설
● 유전자의 작용
5. 게놈
● 정의 및 개념
● 게놈의 역사
6. DNA, 염색체, 유전자, 게놈과의 관계
2. DNA
● 정의 및 개념
● DNA의 구조
● DNA의 기능
● DNA의 복제
3. 염색체
● 정의 및 개념
● 염색체 수와 종류
● 염색체 수적이상 및 구조적이상
4. 유전자
● 정의 및 개념
● 1유전자 1효소설
● 유전자의 작용
5. 게놈
● 정의 및 개념
● 게놈의 역사
6. DNA, 염색체, 유전자, 게놈과의 관계
본문내용
한 화학적 기구들에 의해 해독된다. 일부 유전자는 그들의 최종 생성물이 단백질이 아닌 RNA 분자인 경우도 있다. 하나의 생명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세포유형의 차이점이 각 세포에서 발현되는 특정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DNA 상에 유전정보를 갖고있는 유전자 A, B, C는 유전자 발현 과정을 통해서 특수한 기능을 갖는 단백질 A, B, C를 합성한다.
즉, 유전자는 특정 단백질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진 DNA단편으로서 작용한다.
게놈(genome)
1.게놈(genome)의 정의
게놈이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 두 단어를 합성해 만든 용어로 우리말로는 \'유전체\' 라 하고 \'한 생물체가 지닌 모든 유전정보의 집합체\'를 뜻하는 말로, 인간의 경우 23쌍의 염색체(46개 염색체로서 남자의 경우 22쌍+XY, 여자의 경우 22쌍+XX) 중 1세트의 염색체군(23개 염색체)을 말하며, 부모로부터 자손에 전해지는 유전물질의 단위체를 뜻하기도 한다.
생물이 갖고 있는 염색체는 종에 따라서 그 수와 구조가 일정하다. 따라서 어떤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염색체의 수와 DNA의 양을 게놈(genome)이라 한다.
2. 게놈의 역사
인간의 세포 1개에는 모두 46개(22쌍의 상염색체 + 1쌍의 성염색체)의 염색체가 있다. 여기서 22개의 상염색체와 1개의 성염색체를 합한 23개의 염색체가 한 세트를 이루어 게놈을 형성한다. (한 개체에 있는 모든 세포는 동일한 수의 염색체와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의 세포만을 분석하여도 전체 게놈 정보를 알 수 있음)
\'게놈\'이란 용어는 1920년 독일 식물학자 H.Winkler가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이 DNA(디옥시리보핵산)임이 규명됐다. DNA는 A(아데닌) C(시토신) G(구아닌) T(티민) 네 종류의 염기가 나열된 이중나선구조로 4가지 염기가 3개씩 조합된 유전암호가 아미노산을 만들고 아미노산이 단백질을 형성한다. 아미노산을 만드는 메신저역할을 하고 사라지는게 리보핵산(RNA)인데 메신저라 해서 mRNA라 부르기도 한다. 이 구조가 세포 내에서 하나의 기능을 하는 기능적 단위가 유전자이며, 게놈은 총체적 개념이다. 유전자 하나를 구성하는 염기는 수십 만개에 이른다. 염기 배열순서에 따라 인간의 피부색 성격 체질 등이 결정된다. 인간 게놈의 염기서열은 거의 비슷해서 인종이 달라도 겨우 0.1%의 차이가 날 뿐이며 남녀간에는 Y염색체로 인해 2%가량 다르다. 지난 2001년 3월 게놈지도 발표결과 인간의 세포 1개에 있는 46개(23쌍)의 염색체에는 모두 약 31억개의 염기쌍이 있으며(하지만 이중에 단백질 생산에 관여하는 \'유전정보\'를 가진 염기쌍은 2%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 안에 약 2만6천~4만개의 유전자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국, 46개 염색체 즉, 31억쌍의 염기서열은 하나의 단위체로서 종합적인 유전정보를 지니고 있는데, 이를 게놈(genome)이라 한다.
DNA, 염색체, 유전자, 게놈과의 관계
DNA는 A(아데닌) C(시토신) G(구아닌) T(티민) 네 종류의 염기가 나열된 이중나선구조로 4가지 염기가 3개씩 조합된 유전암호가 아미노산을 만들고 아미노산이 단백질을 형성합니다. 아미노산을 만드는 메신저역할을 하고 사라지는게 리보핵산(RNA)인데 메신저라 해서mRNA라 부르기도 합니다.
이 구조가 세포 내에서 하나의 기능을 하는 기능적 단위가 유전자이며, 게놈은 총체적 개념입니다. 한마디로 게놈이란 \'한 생물체가 지닌 모든 유전정보의 집합체\'를 뜻하는 말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림1.DNA, 염색체, 유전자, 게놈과의 관계
즉, 유전자는 특정 단백질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진 DNA단편으로서 작용한다.
게놈(genome)
1.게놈(genome)의 정의
게놈이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 두 단어를 합성해 만든 용어로 우리말로는 \'유전체\' 라 하고 \'한 생물체가 지닌 모든 유전정보의 집합체\'를 뜻하는 말로, 인간의 경우 23쌍의 염색체(46개 염색체로서 남자의 경우 22쌍+XY, 여자의 경우 22쌍+XX) 중 1세트의 염색체군(23개 염색체)을 말하며, 부모로부터 자손에 전해지는 유전물질의 단위체를 뜻하기도 한다.
생물이 갖고 있는 염색체는 종에 따라서 그 수와 구조가 일정하다. 따라서 어떤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염색체의 수와 DNA의 양을 게놈(genome)이라 한다.
2. 게놈의 역사
인간의 세포 1개에는 모두 46개(22쌍의 상염색체 + 1쌍의 성염색체)의 염색체가 있다. 여기서 22개의 상염색체와 1개의 성염색체를 합한 23개의 염색체가 한 세트를 이루어 게놈을 형성한다. (한 개체에 있는 모든 세포는 동일한 수의 염색체와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의 세포만을 분석하여도 전체 게놈 정보를 알 수 있음)
\'게놈\'이란 용어는 1920년 독일 식물학자 H.Winkler가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이 DNA(디옥시리보핵산)임이 규명됐다. DNA는 A(아데닌) C(시토신) G(구아닌) T(티민) 네 종류의 염기가 나열된 이중나선구조로 4가지 염기가 3개씩 조합된 유전암호가 아미노산을 만들고 아미노산이 단백질을 형성한다. 아미노산을 만드는 메신저역할을 하고 사라지는게 리보핵산(RNA)인데 메신저라 해서 mRNA라 부르기도 한다. 이 구조가 세포 내에서 하나의 기능을 하는 기능적 단위가 유전자이며, 게놈은 총체적 개념이다. 유전자 하나를 구성하는 염기는 수십 만개에 이른다. 염기 배열순서에 따라 인간의 피부색 성격 체질 등이 결정된다. 인간 게놈의 염기서열은 거의 비슷해서 인종이 달라도 겨우 0.1%의 차이가 날 뿐이며 남녀간에는 Y염색체로 인해 2%가량 다르다. 지난 2001년 3월 게놈지도 발표결과 인간의 세포 1개에 있는 46개(23쌍)의 염색체에는 모두 약 31억개의 염기쌍이 있으며(하지만 이중에 단백질 생산에 관여하는 \'유전정보\'를 가진 염기쌍은 2%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 안에 약 2만6천~4만개의 유전자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국, 46개 염색체 즉, 31억쌍의 염기서열은 하나의 단위체로서 종합적인 유전정보를 지니고 있는데, 이를 게놈(genome)이라 한다.
DNA, 염색체, 유전자, 게놈과의 관계
DNA는 A(아데닌) C(시토신) G(구아닌) T(티민) 네 종류의 염기가 나열된 이중나선구조로 4가지 염기가 3개씩 조합된 유전암호가 아미노산을 만들고 아미노산이 단백질을 형성합니다. 아미노산을 만드는 메신저역할을 하고 사라지는게 리보핵산(RNA)인데 메신저라 해서mRNA라 부르기도 합니다.
이 구조가 세포 내에서 하나의 기능을 하는 기능적 단위가 유전자이며, 게놈은 총체적 개념입니다. 한마디로 게놈이란 \'한 생물체가 지닌 모든 유전정보의 집합체\'를 뜻하는 말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림1.DNA, 염색체, 유전자, 게놈과의 관계
추천자료
인간과 의학
세포와 DNA
생명과 윤리
단백질의 구성과 유전암호
[인간복제]인간복제의 가능성, 다른 동물의 복제사례, 인간복제의 장점, 복제기술의 법적 허...
Richard Lewontin 리차드르원틴에 대한 조사, 분석과 고찰.
human genome project
[DNA칩][DNA칩 활용성][DNA칩 연구][DNA칩 제작][DNA칩 전망][DNA칩 발전방향]DNA칩의 원리, ...
[인간복제][인간복제 의학적 문제][인간복제 윤리적 문제]인간복제의 개념, 인간복제의 장점,...
생명공학기술의 분야, 생명공학기술의 발전과정,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보호, 생명공학기술과 ...
[생명공학][생명공학 핵심기술][생명공학 장점][생명공학 단점]생명공학의 원리, 생명공학의 ...
지놈 프로젝트가 우리에게 미칠 영향
현대 생명공학의 발달
[생화학 실험] 프로테오믹스 (Proteomic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