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된 출혈 위험성
#2. 당뇨치료에 지식부족과 관련된 자가 간호결핍
일시
간호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2011.11.01~
11.02
"몰라 그냥 먹으면 안되나?"
"귀찮다.."
1. 대상자 88년에 Type 2 diabetes 진단받음
2.임상검사결과(11/1)
HbA1c: 11.9
Glucose: 355
Creatinine: 1.45
eGFR: 50.9
Triglyceride: 287
HDL 69
LDL 198
U.microalbumin: 79.4
3. BST측정결과: 334
4. 입원 전 처방받았던 약물( Livalo 2mg/T 1TB, Amaryl-M 2/500mg/T 1TB, Amaryl-M 1/250mg/T 1TB)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지 않음.
5. 자가혈당측정 권장횟수(식전, 자기전 하루 네 번)에 대해 모르고 규칙적으로 시행하지 않고 있음
6. 하루활동량 거의 없음(운동 안함, 무직상태)
7.. 평소 찌개, 조림 같이 짠 음식 자주 섭취함(당뇨식이 하지 않음)
<장기목표>
1. 대상자는 자가 간호를 규칙적으로 실천할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의 BST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공복시 100mg/dl 미만, 식사 2시간 후 140mg/dl 미만)
2. 대상자의 당뇨관련 임상검사결과가 정상수치를 나타낼 것이다.
3. 대상자의 혈압이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4. 대상자는 자가간호방법(자가혈당검사, 약물, 식이, 운동, 발관리)에 대해 알고 스스로 시행할 것이다.
<진단적>
1. 하루 4번 BST 수치를 측정한다.
2. 매일 8시간 마다 혈압을 측정한다.
<치료적>
3. 처방된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도록 한다.
4. 당뇨식이를 먹도록 한다.
<교육적>
5. 자가혈당검사 권장횟수에 대해 교육한다.
6. 대상자는 하루 필요 칼로리와 식품교환군에 대해 교육한다.
7. 대상자의 목표심박동수와 목표운동량을 교육한다.
8. 발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1. BST 수치를 관찰하여 혈당이 조절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2. 당뇨병 환자가 혈압을 조절하지 못하면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인 당뇨병성 신증이 진행된다.
3. 대상자는 식이와 운동으로도 혈당조절이 잘 안되므로 약물복용이 필요하다.
4. 식이조절은 적절한 대사상태(목표 혈당, HbA1c, Lipids, 혈압 및 몸무게 유지)를 만들고 유지한다.
5. 자가혈당검사는 혈당변화에 따른 관리, 저혈당과 고혈당의 예방, 목표혈당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표준체중
1.7X1.7X22=63.8kg
비만도
64(현재체중)/63.8(표준체중)X100=100% 이므로 정상
6. 대상자는 키 170cm 몸무게 64kg으로
⇒하루 필요량은 63.8(표준체중)X30(적은활동)=1914kcal
7. 대상자 69세로
최대심박동수 220-69=151
목표심박수 (220-69)X0.7=105
8. 당뇨는 발의 말초혈관 순환 장애를 가져와 혈액순환을 막고 건조하게 하며 심한 경우에는 괴사에 이르게 할 수도 있어 발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1. 하루 4번 BST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간
BST
11.01
17:00
334
17:34
334
21:53
250
22:00
250
11.02
05:25
124
06:00
124
10:36
292
11:00
292
시간
BP
11.01
13:00
120/70
21:00
130/80
11.02
06:00
100/60
14:00
120/70
2. 8시간마다 혈압을 측정하였다.
3. 처방된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Livalo 2mg/T 1TB 08:00
Amaryl-M 2/500mg/T 1TB 08:00
Amaryl-M 1/250mg/T 1TB 18:00
4. 11월 1일은 CAG위해 금식하도록 하였고 2일 점심부터 1900kcal 밥 중염 당뇨식이가 제공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5. 자가혈당검사는 하루 네 번(식전, 자기전)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6. 대상자의 하루 필요열랑은 1914kcal이며 식품교환군에 따라 6군을 골고루 식사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탄수화물 60%, 단백질 20%, 지방질 20%, 고섬유소)
7. 목표심박수를 105로 유지하고 등에 땀이 촉촉이 나는 정도로 일주일에 3회 이상 30분~1시간 정도 운동해야함을 교육하였다.
8. 당뇨병 발 관리 수칙 10가지(미국 국립당뇨병연구소)에 대해 교육하였다.
1. 대상자의 BST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2. 대상자의 임상검사결과가 정상수치를 나타내지 않았다.
(11/2)
Creatinine: 1.21
eGFR: 60.7
Triglyceride: 212
3. 대상자의 혈압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4. 대상자는 입원기간 자가혈당검사, 운동, 발관리는 스스로 시행하지 못하였고 약물복용, 식이는 시행하였다.
당뇨병 환자들의 발관리에 관한 10가지 수칙
1. 저녁마다 다친 곳, 물집, 반점, 부기 등을 체크한다.
2. 따뜻한 물에 발을 씻고 완전히 물기를 없앤다.
3. 발바닥과 발등을 매일 부드러운 로션을 마사지하듯 발라주어 피부가 갈라지지 않게 한다.
4. 발톱은 동그랗지 않게, 거의 일자로 깎는다.
즉 발톱 가장자리가 가운데보다 짧지 않게 잘라 발톱이 살 속으로 파고 드는 것을 막는다.
5. 굳은 살과 티눈은 반드시 없애준다.
그러나 정상인들과 달리 당뇨환자들은 혼자 제거하다 상처가 날 경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의사의 도움을 얻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통풍이 잘 되는 양말과 편안한 신발을 신는다.
나일론 양말과 비닐, 플라스틱, 고무로 된 신발은 피한다.
7. 발의 온도가 갑자기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밤에 발의 온도가 차가워지는 느낌이 들면 양말을 신고 자는 것이 좋다.
8. 바닷가 등의 뜨거운 모래 사장을 맨발로 다니지 않는다.
9.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준다.
이를테면 다리를 높이 쳐들고 발가락을 움직여 주는 운동이 혈액순환에 도움 이 된다.
10. 발에 문제가 생겨 24 시간내에 가라앉지 않으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미국 국립 당뇨병 연구소 [일생동안 발을 보살펴라]
#2. 당뇨치료에 지식부족과 관련된 자가 간호결핍
일시
간호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2011.11.01~
11.02
"몰라 그냥 먹으면 안되나?"
"귀찮다.."
1. 대상자 88년에 Type 2 diabetes 진단받음
2.임상검사결과(11/1)
HbA1c: 11.9
Glucose: 355
Creatinine: 1.45
eGFR: 50.9
Triglyceride: 287
HDL 69
LDL 198
U.microalbumin: 79.4
3. BST측정결과: 334
4. 입원 전 처방받았던 약물( Livalo 2mg/T 1TB, Amaryl-M 2/500mg/T 1TB, Amaryl-M 1/250mg/T 1TB)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지 않음.
5. 자가혈당측정 권장횟수(식전, 자기전 하루 네 번)에 대해 모르고 규칙적으로 시행하지 않고 있음
6. 하루활동량 거의 없음(운동 안함, 무직상태)
7.. 평소 찌개, 조림 같이 짠 음식 자주 섭취함(당뇨식이 하지 않음)
<장기목표>
1. 대상자는 자가 간호를 규칙적으로 실천할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의 BST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공복시 100mg/dl 미만, 식사 2시간 후 140mg/dl 미만)
2. 대상자의 당뇨관련 임상검사결과가 정상수치를 나타낼 것이다.
3. 대상자의 혈압이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4. 대상자는 자가간호방법(자가혈당검사, 약물, 식이, 운동, 발관리)에 대해 알고 스스로 시행할 것이다.
<진단적>
1. 하루 4번 BST 수치를 측정한다.
2. 매일 8시간 마다 혈압을 측정한다.
<치료적>
3. 처방된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도록 한다.
4. 당뇨식이를 먹도록 한다.
<교육적>
5. 자가혈당검사 권장횟수에 대해 교육한다.
6. 대상자는 하루 필요 칼로리와 식품교환군에 대해 교육한다.
7. 대상자의 목표심박동수와 목표운동량을 교육한다.
8. 발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1. BST 수치를 관찰하여 혈당이 조절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2. 당뇨병 환자가 혈압을 조절하지 못하면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인 당뇨병성 신증이 진행된다.
3. 대상자는 식이와 운동으로도 혈당조절이 잘 안되므로 약물복용이 필요하다.
4. 식이조절은 적절한 대사상태(목표 혈당, HbA1c, Lipids, 혈압 및 몸무게 유지)를 만들고 유지한다.
5. 자가혈당검사는 혈당변화에 따른 관리, 저혈당과 고혈당의 예방, 목표혈당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표준체중
1.7X1.7X22=63.8kg
비만도
64(현재체중)/63.8(표준체중)X100=100% 이므로 정상
6. 대상자는 키 170cm 몸무게 64kg으로
⇒하루 필요량은 63.8(표준체중)X30(적은활동)=1914kcal
7. 대상자 69세로
최대심박동수 220-69=151
목표심박수 (220-69)X0.7=105
8. 당뇨는 발의 말초혈관 순환 장애를 가져와 혈액순환을 막고 건조하게 하며 심한 경우에는 괴사에 이르게 할 수도 있어 발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1. 하루 4번 BST 수치를 측정하였다.
시간
BST
11.01
17:00
334
17:34
334
21:53
250
22:00
250
11.02
05:25
124
06:00
124
10:36
292
11:00
292
시간
BP
11.01
13:00
120/70
21:00
130/80
11.02
06:00
100/60
14:00
120/70
2. 8시간마다 혈압을 측정하였다.
3. 처방된 약물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Livalo 2mg/T 1TB 08:00
Amaryl-M 2/500mg/T 1TB 08:00
Amaryl-M 1/250mg/T 1TB 18:00
4. 11월 1일은 CAG위해 금식하도록 하였고 2일 점심부터 1900kcal 밥 중염 당뇨식이가 제공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5. 자가혈당검사는 하루 네 번(식전, 자기전)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6. 대상자의 하루 필요열랑은 1914kcal이며 식품교환군에 따라 6군을 골고루 식사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탄수화물 60%, 단백질 20%, 지방질 20%, 고섬유소)
7. 목표심박수를 105로 유지하고 등에 땀이 촉촉이 나는 정도로 일주일에 3회 이상 30분~1시간 정도 운동해야함을 교육하였다.
8. 당뇨병 발 관리 수칙 10가지(미국 국립당뇨병연구소)에 대해 교육하였다.
1. 대상자의 BST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2. 대상자의 임상검사결과가 정상수치를 나타내지 않았다.
(11/2)
Creatinine: 1.21
eGFR: 60.7
Triglyceride: 212
3. 대상자의 혈압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4. 대상자는 입원기간 자가혈당검사, 운동, 발관리는 스스로 시행하지 못하였고 약물복용, 식이는 시행하였다.
당뇨병 환자들의 발관리에 관한 10가지 수칙
1. 저녁마다 다친 곳, 물집, 반점, 부기 등을 체크한다.
2. 따뜻한 물에 발을 씻고 완전히 물기를 없앤다.
3. 발바닥과 발등을 매일 부드러운 로션을 마사지하듯 발라주어 피부가 갈라지지 않게 한다.
4. 발톱은 동그랗지 않게, 거의 일자로 깎는다.
즉 발톱 가장자리가 가운데보다 짧지 않게 잘라 발톱이 살 속으로 파고 드는 것을 막는다.
5. 굳은 살과 티눈은 반드시 없애준다.
그러나 정상인들과 달리 당뇨환자들은 혼자 제거하다 상처가 날 경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의사의 도움을 얻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통풍이 잘 되는 양말과 편안한 신발을 신는다.
나일론 양말과 비닐, 플라스틱, 고무로 된 신발은 피한다.
7. 발의 온도가 갑자기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밤에 발의 온도가 차가워지는 느낌이 들면 양말을 신고 자는 것이 좋다.
8. 바닷가 등의 뜨거운 모래 사장을 맨발로 다니지 않는다.
9.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준다.
이를테면 다리를 높이 쳐들고 발가락을 움직여 주는 운동이 혈액순환에 도움 이 된다.
10. 발에 문제가 생겨 24 시간내에 가라앉지 않으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미국 국립 당뇨병 연구소 [일생동안 발을 보살펴라]
추천자료
신장내과 간호학 케이스
두개내 출혈, 지주막하 출혈 에 대한 case study (중환자실)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
임신과 관련된 질환
임상포트폴리오
Clinical Portfolio Scenario(Nursing Narratives)
대사증후군
[간호학] 뇌경색 투약, 임상결과
◈ 인슐린 종류
오랄테스트와 혈액투석케이스
양성전립선비대증(BPH : Benign prostate hypertrophy)과 하부요로증상(LUTS)
케이스 스터디 - CRF 만성신부전환자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및 간호진단
정신간호학 case study-Schizophrenia(SPR) 정신분열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