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능력
을 개선시키며, 언어 습득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선행 연구를 뒷받침해
준다(Hemmeter & Kaiser, 1994).또한, 그림카드를 이용하여 정신지체아동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킨 유국선(2000), 장은정(199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다운 증후군 아동들을 위해서는언어외적인 단서를 제공해야 효율적이라는 Kernan(1990)의 선행연구결과와도일치한다.
2. 평균형태소길이의 변화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대상 아동들의 평균형태소길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 아동들의 자발화를 수집하여 평균형태소길이를 분석하였다. 각
대상자에 대한 평균형태소길이의 변화 정도는 표 7과 같다.
표 7에 의하면 연구 대상 아동들의 평균형태소길이는 사전 3.05에서 사후 5로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평균 1.95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연구대상 아동들 모두 사전과 비교해서 사후에 평균형태소길이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전, 사후의 평균형태소길이의 향상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의 차에 대한 대응비교를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p<.05)가 있었으며, 표 8에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대상 아동별로 사전, 사후 평균 형태소길이의 변화를 살펴보면 그림 3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대상 아동별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평균형태소의 길이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평균형태소길이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이러한 연구 결과는 구조화된 종합 그림카드를 활용하여 정신지체아동의 평균발화길이를 증가시킨 전혜정(2001)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며, 요구하기 사회적 언어중재로 언어장애유아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킨 황보명(1997)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 아동의 평균형태소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글 없는 그림동화책 말하기를 사용하여 아동의 언어 샘플을 수집하였다. 글 없는 동화책을이용한 아동의 자발화 수집 방법은 연구자들이 많이 실시하고 있는 방법이지만, 아동의 다양한 발화 수집을 위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아동의 자발화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변화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대상 아동들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에 PRES 검사를 실시하여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 대상자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향상 정도는 표 9와 같다.
표 9에 의하면 PRES평가 결과 사전 29개월에서 사후 34.5개월로 평균 5.5개월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연구대상 아동들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전체적인 언어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전, 사후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의 차에 대한 대응 비교를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p<.05)
가 있었으며, 표 10에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대상 아동별로 사전, 사후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그림
4와 같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 대상 아동별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PRES 측정 결과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이 전체적인 언어 능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이 치료사의 요구에 따르기 위하여 그림 카드를 먼저 이해하고, 이해한 그림카드를 요구하기 위하여 표현하는 과정에서 아동의 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본 연구는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이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구문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4명의 경도 정신지체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을 실시한 후 정신지체아동의 문장이해능력을 살펴본 결과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연구대상 아동들의 문장이해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을 실시한 후 정신지체아동의 자발화를 분석한 결과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연구대상 아동들의 평균형태소길이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을 실시한 후 정신지체아동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을 산출한 결과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연구대상 아동들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론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은 정신지체아동의 구문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을 개선시키며, 언어 습득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선행 연구를 뒷받침해
준다(Hemmeter & Kaiser, 1994).또한, 그림카드를 이용하여 정신지체아동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킨 유국선(2000), 장은정(199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다운 증후군 아동들을 위해서는언어외적인 단서를 제공해야 효율적이라는 Kernan(1990)의 선행연구결과와도일치한다.
2. 평균형태소길이의 변화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대상 아동들의 평균형태소길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 아동들의 자발화를 수집하여 평균형태소길이를 분석하였다. 각
대상자에 대한 평균형태소길이의 변화 정도는 표 7과 같다.
표 7에 의하면 연구 대상 아동들의 평균형태소길이는 사전 3.05에서 사후 5로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평균 1.95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연구대상 아동들 모두 사전과 비교해서 사후에 평균형태소길이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전, 사후의 평균형태소길이의 향상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의 차에 대한 대응비교를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p<.05)가 있었으며, 표 8에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대상 아동별로 사전, 사후 평균 형태소길이의 변화를 살펴보면 그림 3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대상 아동별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평균형태소의 길이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평균형태소길이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이러한 연구 결과는 구조화된 종합 그림카드를 활용하여 정신지체아동의 평균발화길이를 증가시킨 전혜정(2001)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며, 요구하기 사회적 언어중재로 언어장애유아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킨 황보명(1997)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 아동의 평균형태소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글 없는 그림동화책 말하기를 사용하여 아동의 언어 샘플을 수집하였다. 글 없는 동화책을이용한 아동의 자발화 수집 방법은 연구자들이 많이 실시하고 있는 방법이지만, 아동의 다양한 발화 수집을 위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아동의 자발화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변화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대상 아동들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에 PRES 검사를 실시하여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 대상자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향상 정도는 표 9와 같다.
표 9에 의하면 PRES평가 결과 사전 29개월에서 사후 34.5개월로 평균 5.5개월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연구대상 아동들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전체적인 언어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전, 사후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의 차에 대한 대응 비교를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p<.05)
가 있었으며, 표 10에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대상 아동별로 사전, 사후 전체적인 언어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그림
4와 같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 대상 아동별 모두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PRES 측정 결과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이 전체적인 언어 능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이 치료사의 요구에 따르기 위하여 그림 카드를 먼저 이해하고, 이해한 그림카드를 요구하기 위하여 표현하는 과정에서 아동의 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본 연구는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이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구문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4명의 경도 정신지체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을 실시한 후 정신지체아동의 문장이해능력을 살펴본 결과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연구대상 아동들의 문장이해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을 실시한 후 정신지체아동의 자발화를 분석한 결과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연구대상 아동들의 평균형태소길이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을 실시한 후 정신지체아동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을 산출한 결과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연구대상 아동들의 전체적인 언어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론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은 정신지체아동의 구문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천자료
정신지체장애아동의 비장애형지원
MR 아동 가정교육
게임(게임놀이)의 개념 고찰과 놀이치료(게임놀이치료)의 역사, 놀이치료(게임놀이치료)의 필...
정신지체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전제조건, 정신지체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
[정신지체아교육]정신지체아동의 정의, 정신지체아동의 분류, 정신지체아동의 특성과 정신지...
[지적장애아동 부모교육]정신지체아 부모교육, 정신지체아동 부모교육, 지적장애아동 부모교...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놀이의 목적과 중요성,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놀이의 전래동요...
정신지체아동 놀이의 필요성, 정신지체아동 놀이의 선택, 정신지체아동 놀이의 사회적 성숙, ...
[정신지체][정신지체아동 부모교육]정신지체의 정의, 정신지체의 분류, 정신지체아동 부모교...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의 특징과 생활실태,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의 진단기준과 레크...
[사회기술, 공격성]사회기술의 정의, 교수방법, 사회기술의 결함, 사회기술과 공격성, 사회기...
정신지체아동 자기표현력(정신지체아 자기표현)의 정의, 중요성, 훈련단계, 정신지체아동 자...
발달놀이치료 개념과 원리 - 발달놀이치료 개념과 원리, 치료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놀이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