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계/ 유재용
인물
배 경
시점과 문체
주제-타인의 삶에 대한 욕망
느낀점
- 나와는 다른 견해의 소설 감상.
인물
배 경
시점과 문체
주제-타인의 삶에 대한 욕망
느낀점
- 나와는 다른 견해의 소설 감상.
본문내용
삶으로 부족한 것을 채우려 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는 이만복을 다른 사람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만복과 장현삼의 관계는 일상적 인간 관계를 초월한 신비롭고 아름다운 것이라 할 수 있다.
두 사람의 마음이 이렇게 일체화되었을 때, 장현삼은 자연스럽게 자신도 이만복과 같은 삶을 살아갈 수 있으리란 희망을 품게 된다. 그리고 자식을 얻고 싶고, 또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 이것을 실천에 옮긴다. 그런데 장현삼이 자식을 갖고 싶다는 소망을 품게 된 것은 이만복과의 관계가 합일의 경지에 이르렀기 때문이지 처음부터 의도한 것은 아니었다. 그런 면에서 그의 욕망은 순수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장현삼은 이만복에게 그 동안의 월급과 많은 재산을 남겨 놓고 떠난다. 그것은 이만복의 삶을 빼앗은 대가일 수도 있지만, 그가 이만복에게 보일 수 있는 최대한의 감사 표시이기도 하다. 이만복은 휴가에서 돌아와 이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놀라고 자신의 아들에 대한 사무친 그리움에 휩싸인다.
그러나 그는 장현삼을 찾아 나서고 싶은 생각을 눌러 앉힌다. 그것은 아들과 돈을 저울질했기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아들과 장현삼의 삶을 저울질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는 장현삼의 욕망도 충분히 헤아리고 있었다. 자신의 욕망을 나누어 장현삼에게 베풀어 주려는 마음이 없었다면, 아들을 찾거나 더 많은 돈을 요구하기 위해 장현삼을 찾아 나섰을 것이다. 결국 그는 장현삼의 안락의자에 몸을 파묻고, 장현삼의 일부가 되어 생각에 잠긴다. 정원에는 그의 내면에 드리워진 성숙한 의식을 상징하듯 여름이 무르익고 있었다.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서 기이하고도 신비한 만남과 오묘한 관계에 흥미를 느끼면서 마침내 인생의 무거움을 깊이 인식하게 된다. 인간은 욕망의 존재이며, 그 욕망은 엉뚱한 것에까지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이 지닌 욕망을 마냥 부정적으로 바라볼 수만은 없다. 그러한 욕망이 있음으로 해서 인간은 더욱 신비로운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작가는 그 점을 그윽한 눈으로 해서 응시하고 있다. 이 작품이 환상성에 그치지 않고 사실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도, 작가의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와 이해가 그 바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장현삼은 우리의 또다른 자화상이며, 그런 사람을 넓은 품으로 감싸는 이만복도 우리의 모습이다. 인생은 엄숙하고도 아름다운 것이며, 그것을 인상적으로 그려 낸 이 작품도 깊은 아름다움을 풍긴다.
두 사람의 마음이 이렇게 일체화되었을 때, 장현삼은 자연스럽게 자신도 이만복과 같은 삶을 살아갈 수 있으리란 희망을 품게 된다. 그리고 자식을 얻고 싶고, 또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 이것을 실천에 옮긴다. 그런데 장현삼이 자식을 갖고 싶다는 소망을 품게 된 것은 이만복과의 관계가 합일의 경지에 이르렀기 때문이지 처음부터 의도한 것은 아니었다. 그런 면에서 그의 욕망은 순수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장현삼은 이만복에게 그 동안의 월급과 많은 재산을 남겨 놓고 떠난다. 그것은 이만복의 삶을 빼앗은 대가일 수도 있지만, 그가 이만복에게 보일 수 있는 최대한의 감사 표시이기도 하다. 이만복은 휴가에서 돌아와 이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놀라고 자신의 아들에 대한 사무친 그리움에 휩싸인다.
그러나 그는 장현삼을 찾아 나서고 싶은 생각을 눌러 앉힌다. 그것은 아들과 돈을 저울질했기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아들과 장현삼의 삶을 저울질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는 장현삼의 욕망도 충분히 헤아리고 있었다. 자신의 욕망을 나누어 장현삼에게 베풀어 주려는 마음이 없었다면, 아들을 찾거나 더 많은 돈을 요구하기 위해 장현삼을 찾아 나섰을 것이다. 결국 그는 장현삼의 안락의자에 몸을 파묻고, 장현삼의 일부가 되어 생각에 잠긴다. 정원에는 그의 내면에 드리워진 성숙한 의식을 상징하듯 여름이 무르익고 있었다.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서 기이하고도 신비한 만남과 오묘한 관계에 흥미를 느끼면서 마침내 인생의 무거움을 깊이 인식하게 된다. 인간은 욕망의 존재이며, 그 욕망은 엉뚱한 것에까지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이 지닌 욕망을 마냥 부정적으로 바라볼 수만은 없다. 그러한 욕망이 있음으로 해서 인간은 더욱 신비로운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작가는 그 점을 그윽한 눈으로 해서 응시하고 있다. 이 작품이 환상성에 그치지 않고 사실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도, 작가의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와 이해가 그 바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장현삼은 우리의 또다른 자화상이며, 그런 사람을 넓은 품으로 감싸는 이만복도 우리의 모습이다. 인생은 엄숙하고도 아름다운 것이며, 그것을 인상적으로 그려 낸 이 작품도 깊은 아름다움을 풍긴다.
추천자료
[고전문학분석] 고소설에 나타난 부·자 분리의 형식과 제양상
남정현의 소설 <분지> 분석
김소진 소설의 인물 분석
서하진의 '제부도' - 소설의 시공간 분석
작가 염상섭의 작품세계의 특징과 소설 삼대 작품분석
(영어영문학)주홍글씨 영화와 소설간의 비교 분석
[소설][인물][인물갈등][헤겔][루카치][문학]소설의 개념, 소설의 구성요소와 중요성, 소설의...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등장인물분석
윤대녕의 작품세계 및 소설 천지간 분석
귄터 그라스 소설 양철북의 연구, 귄터 그라스 소설 양철북의 이중성과 여성상, 귄터 그라스 ...
[근대소설][소설가][현상윤][김승옥][이상][장용학]근대소설의 전개, 근대소설과 소설가 현상...
문학의이해-‘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품...
문학의이해-프로이트의 심리주의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애독,애청한 소설작품이나 ...
[문학의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