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st cancer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reast cance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0.2mg)을 1일 3-4회 4시간 간격으로 SC,
IM 또는 IV
구갈. 배뇨장애. 노저류. 산동. 구토. 변비. 담마진. 졸음. 쇠약. 어지러움. 불면증. 발기불능. 유즙분비억제
과민증자. 마비성 장폐색. 고령자 및 쇠약자의 장무긴장증.
녹내장.
폐색성 뇨질환, 폐색성 위장질환
sobium bicarbonate, diazepam,
phenobarbital과 혼합금지
Mucosten
기관지 점액 용해제. acetaminophen해독제
IM: 1회 300mg.
1일 1-2회
IV: 정액의 용해
-1회 600-900mg.
1일 2-3회
구역. 구토. 설사. 담마진. 두통
기관지 천식. 호흡기능 부전환자. 신생아
Pheniramine
antihistamine. 두드러기. 고초열. 소양성피부질환(습진. 피부염, 피부 소양증, 약진, 곤충자상) 알러지성 비염, 혈관 운동성 비염
1회 5-10mg씩
1일 1-2회 피하,
IV 또는 IM
졸음, 구잘, 뇨저류, 안압상승, 위장관 장애. 과민반응
전립선 비대증 환자, 임부.
본재 또는 유사
화합물 과민증 기왕력자
Refosporen
제 1세대 cephalosporin계 antibiotics
-외과. 소아과의 감염예방 및 잠재감염의 치료. 복막염
G(+)균: 1-2g/day
g(-)균: 3-4g/day
1일 2-3회 분할 IV
최대용량: 6g/day
두통, 현훈. 오심, 발진
조산아. 신생아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관민증 기왕력자
aminoglycoside와 병용시 신기능 monitoring.
신기능 저하 환자의 경우에는 두 약물의 용량을 감량.
SALF Methylene Blue
약물에 의한 메트헤모글로빈 혈증
체중 Kg당 1-1mg(0.1-0.2mL)을 수분에 걸쳐 매우 천천히 IV
구역. 구토, 배아픔. 전흉통. 두통. 어지러움
중증 신장애, glucose-6
-phosphate dehydrogenase 결핍 환자. 임부
Tranexamic acid
antifibrinolytic agent
1일 250-500mg,
1-2회 분할 IM. IV
수술후 출혈: 1회 500-1000mg IV하거나
500-2500mg IV infusion
nausea, diarrhea.
anorexia
혈전증. 소비성 응고장애 환자. 항응고제와의 동시 투여
Traumeel
소염. 관절염
초기에 1회 1amp.
1일 3회 투여 후 1주일에 1-2회, 1회 1amp씩 2-3주간 IV, IM, SC, 관절내 주사
nausea, diarrhea.
muscle weakness.
mydriasis
중증 고혈압. 심장질환자
-간호과정
1. 신체부분 상실과 관련된 두려움
2. 수술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3.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4. WBC상승으로 나타나는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5. 변화에 대한 가족 적응과 관련된 가족과정 향상 가능성
간호 진단
#1. 수술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날 짜
2010.04.15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내일 수술인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객관적 자료
말할 때 불안해 보이는 모습을 관찰.
간호 목표
단기/장기
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이 감소한다. (불안척도 2점이하)
단기목표
- 수술에 대한 정보를 알고 불안하지 않음을 말한다.
간호 계획/수행
불안 정도를 척도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10점 만점에 3점)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한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대상자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가족 및 보호자가 옆에서 함께 시간을 보내도록 한다.
대상자가 궁금해 하는 정보를 알려준다.
간호계획에 환자나 가족을 참여시킨다.
평 가
대상자의 수술과 관련된 불안에 대한 complain이 감소하였다.
불안 정도를 10점 만점으로 보았을 때 3점으로 감소하였다.
간호 진단
#2.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날 짜
2010.04.16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너무아파요..”
객관적 자료
통증을 호소하심.
간호 목표
단기/장기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의 통증척도가 8점에서 2점으로 감소할 것이다.
단기목표
-환자는 통증으로 인한 불편감이 감소했다고 말한다.
-통증으로 인한 징후(얼굴 찡그림)가 보이지 않는다.
간호 계획/수행
통증정도를 척도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통증의 불편감의 빈도, 기간 등의 특성을 사정하고,
V/S을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다양한 통증 완화법을 권해본다.(명상, 음악, 암시, 지압 등)
통증호소가 심할 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평 가
대상자는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 통증척도가 10점 중 2점이였다.
Ⅲ. 결론
성인 실습이 처음은 아니지만 과가 달라서 많이 긴장도 하고 처음 실습 나오는 병원이라 몇 층에 무엇이 있는지도 잘았지 못해서 많은 걱정을 했지만 친절하신 선생님들의 설명과 좋은 실습생들이 함께여서 무사히 실습을 마칠 수 있었던 것 같다.
매번 실습을 하면서 느끼지만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도 힘들겠지만 옆에 있는 보호자분들도 많이 힘드시다는 것을 깨달았고, 힘들 상황에서도 환자분들이 거부하시면 옆에서 보호자 분들이 ‘협조 좀 해줘요’라고 말씀해주셔서 감사했다. 그리고 처음에는 왜왔냐며 화를 내시고 거절하시던 환자분이 시간이 지나면서 웃으며 반겨주시고 그 분의 건강이 많이 치유되신 것 같아 기뻤다, 또 실습기간동안 CVP시술과 장루, Suture하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이번에 케이스로 환자의 보호자 분께서 환자분을 아주 많이 걱정하시고 회복실에서 환자분이 나오셨을 때 수고 많았다며 환자분의 손을 꼭 잡아 주시던 모습이 너무 기억에 남았다. Case를 많이 해보지 않아 미숙한 점도 많고 Case를 잡아 놓고 중간고사를 쳐서 다시 실습을 나와 보니 환자분이 퇴원하셔서 당황은 했지만, 그래도 Breast Ca.에 대해 많이 알 수 있는 기회여서 좋았고 다음 실습에서는 더 발전된 모습을 기대하며 이번 실습을 마무리 해야겠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하권 (2009. 전시자, 김강미자.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조경숙.
황옥남.김영경. 서순림. 유양숙. 현문사)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2008. 성미혜 저. 수문사)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5.27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1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