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근방추
1)근방추의 구조와 형태
2)근방추의 구심섬유
3)근방추의 운동섬유
4)사지의 위치와 운동의 지각에 대한 근방추의 역할
5)근방추에 의한 반사 - 신장반사
6)근방추 작용의 적용
(1) DTR
(2) 물건을 들고 있을 때
(3) postural muscle tone 조절
2.골지건기관
1)골지건의 근장력 조절
2)골지건에서 중추신경계까지 충격의 전도
3)건반사의 억제적 특성과 그 중요성
4)근섬유들 사이에서 수축력을 균등화하기 위한 건반사의 역할
참고문헌
1)근방추의 구조와 형태
2)근방추의 구심섬유
3)근방추의 운동섬유
4)사지의 위치와 운동의 지각에 대한 근방추의 역할
5)근방추에 의한 반사 - 신장반사
6)근방추 작용의 적용
(1) DTR
(2) 물건을 들고 있을 때
(3) postural muscle tone 조절
2.골지건기관
1)골지건의 근장력 조절
2)골지건에서 중추신경계까지 충격의 전도
3)건반사의 억제적 특성과 그 중요성
4)근섬유들 사이에서 수축력을 균등화하기 위한 건반사의 역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의 변화를 감지하지만 골지건은 근 장력을 감지한다는 것이다.
골지건은 근방추의 일차종말처럼 동적반응(dynamic response)과 정적반응(static response)을 모두 갖고 있다. 즉 근 장력이 갑자기 증가할 때 강하게 반응하는 동적 반응과 짧은 순간 이내에 근 장력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안정상태로 충격수가 감소하는 정적 반응이 있다. 이처럼 골지건은 각 근의 개개의 작은 분절에서 장력의 정도에 관한 순간적 정보를 신경계에 제공한다.
2)골지건에서 중추신경계까지 충격의 전도
골지건으로부터 신호는 평균직경이 16μm 정도이고 빠른 전도속도를 갖는 Ib 신경섬유에 의해 전달되는데 이 신경섬유는 근방추의 일차종말로부터 나오는 신경보다는 약간 작다. 일차종말로부터 나오는 신경과 마찬가지로 골지건으로부터 나온 신경섬유도 척수의 국소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과 척수 후각(dorsal horn)에서 시냅스를 형성한 뒤 척수소뇌신경로(spinocerebellar tract)를 따라 소뇌로 가거나 다른 신경로를 통하여 대뇌피질로 들어간다. 척수의 국소영역으로 들어 온 신호는 단일 억제성 중간뉴런을 흥분시켜서 척수 전 운동 뉴런을 억제한다. 이러한 국소 신경망은 인접한 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개개의 근을 직접적으로 억제한다.
3)건반사의 억제적 특성과 그 중요성
골지건이 근 장력 증가에 의하여 자극될때 신호는 해당 근에서 반사를 유발하기 위하여 척수로 전달된다. 이 반사는 전적으로 억제성이며, 근에서 장력이 너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음성 피드백기전(negative feedback mechanism)이다.
근 장력이 과도하게 증가할 때 골지건으로부터 억제성 효과는 매우 증가하여 전체 근에서 순간적인 이완을 유발할 수 있도록 척수에서 반응을 유도한다. 이 효과를 길이증가 반응(lengthening reaction)이라 하며 근의 파열이나 건이 부착된 뼈로부터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전이다. 근수축이 증가할 수록 건기관 수용체에서는 비례적으로 더 많은 억제성 자극을 주동근의 α-운동뉴런으로 보내고, 한편으로는 길항근을 흥분시켜 수축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실험실에서 근을 직접 전기자극하면 위와 같은 음성 반사(negative reflex)에 의하여 근이 보호받을 수 없으므로 파괴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4)근섬유들 사이에서 수축력을 균등화하기 위한 건반사의 역할
건반사의 또 다른 기능은 분리된 근섬유의 수축력을 균등화 하는 것이다. 즉 과도한 장력을 받는 근섬유들은 이 반사에 의하여 억제되는 반면 너무 약한 장력을 발생하는 근섬유들은 반사적 억제의 상실로 인하여 더욱 흥분된다. 이것은 근부하를 모든 근섬유로 분산하며, 특히 소수의 근섬유들이 과부하 받을 수 있는 고립된 부위의 근에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신경생리학 함기선,신문균,최홍식 공저 현문사
The Study Of Muscle Spindle 정제화
임상운동학 muscolino mosby
물리치료에 관한 작은 메모장 (네이버 카페)
골지건은 근방추의 일차종말처럼 동적반응(dynamic response)과 정적반응(static response)을 모두 갖고 있다. 즉 근 장력이 갑자기 증가할 때 강하게 반응하는 동적 반응과 짧은 순간 이내에 근 장력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안정상태로 충격수가 감소하는 정적 반응이 있다. 이처럼 골지건은 각 근의 개개의 작은 분절에서 장력의 정도에 관한 순간적 정보를 신경계에 제공한다.
2)골지건에서 중추신경계까지 충격의 전도
골지건으로부터 신호는 평균직경이 16μm 정도이고 빠른 전도속도를 갖는 Ib 신경섬유에 의해 전달되는데 이 신경섬유는 근방추의 일차종말로부터 나오는 신경보다는 약간 작다. 일차종말로부터 나오는 신경과 마찬가지로 골지건으로부터 나온 신경섬유도 척수의 국소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과 척수 후각(dorsal horn)에서 시냅스를 형성한 뒤 척수소뇌신경로(spinocerebellar tract)를 따라 소뇌로 가거나 다른 신경로를 통하여 대뇌피질로 들어간다. 척수의 국소영역으로 들어 온 신호는 단일 억제성 중간뉴런을 흥분시켜서 척수 전 운동 뉴런을 억제한다. 이러한 국소 신경망은 인접한 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개개의 근을 직접적으로 억제한다.
3)건반사의 억제적 특성과 그 중요성
골지건이 근 장력 증가에 의하여 자극될때 신호는 해당 근에서 반사를 유발하기 위하여 척수로 전달된다. 이 반사는 전적으로 억제성이며, 근에서 장력이 너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음성 피드백기전(negative feedback mechanism)이다.
근 장력이 과도하게 증가할 때 골지건으로부터 억제성 효과는 매우 증가하여 전체 근에서 순간적인 이완을 유발할 수 있도록 척수에서 반응을 유도한다. 이 효과를 길이증가 반응(lengthening reaction)이라 하며 근의 파열이나 건이 부착된 뼈로부터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전이다. 근수축이 증가할 수록 건기관 수용체에서는 비례적으로 더 많은 억제성 자극을 주동근의 α-운동뉴런으로 보내고, 한편으로는 길항근을 흥분시켜 수축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실험실에서 근을 직접 전기자극하면 위와 같은 음성 반사(negative reflex)에 의하여 근이 보호받을 수 없으므로 파괴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4)근섬유들 사이에서 수축력을 균등화하기 위한 건반사의 역할
건반사의 또 다른 기능은 분리된 근섬유의 수축력을 균등화 하는 것이다. 즉 과도한 장력을 받는 근섬유들은 이 반사에 의하여 억제되는 반면 너무 약한 장력을 발생하는 근섬유들은 반사적 억제의 상실로 인하여 더욱 흥분된다. 이것은 근부하를 모든 근섬유로 분산하며, 특히 소수의 근섬유들이 과부하 받을 수 있는 고립된 부위의 근에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신경생리학 함기선,신문균,최홍식 공저 현문사
The Study Of Muscle Spindle 정제화
임상운동학 muscolino mosby
물리치료에 관한 작은 메모장 (네이버 카페)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운영B형)영유아 보육 및 교육기관에서의 지도성에 대해 논하고 지도성을 전문성...
(유아교육기관운영C형)영유아 보육 및 교육기관에서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안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기관운영D형]영유아 보육 및 교육기관에서의 갈등요인을 기술하고 건설적인 갈등관...
병리학 - 소화기관, 여성생식기관, 여성질환
[생리학] 감각기관(피부,귀,눈)과 생식기관(남녀생식계)에 대하여
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기관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환경, 운...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아교육기관의 지도성 (지도성의 특징, 유형, 지도성 발달, 지도성...
[장애인복지론] 장애인복지기관을 조사하고 기관의 장애인복지 프로그램 특성에 서술하라 : ...
(지역사회복지기관) 내가 살고 있는 지역 사회복지기관이 지역발전에 기여한 역할의 사례를 ...
유아교육개론B=> 유아교육기관의 체제와 종류에 대하여 논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역별 교...
[2017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대해 서술하시오. [본문출처표기, ...
(부모교육 B형)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필요성과 유형을 설명하고, 기관에서 부모교육...
유아교육론>>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체제와 종류에 대하여 論하고 방문한 유아교육기관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