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와 문화산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로 받아들여 질 수 없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한다. 문화 상대주의는 모든 것을 다 옳다고 보기 때문이다. 일부 한국인들은 개고기의 식용에 대해서 문화 상대주의를 거론한다. 프랑스인들은 달팽이를 먹고, 일본인들은 말고기를 먹는 것처럼, 한국인들이 개고기를 먹는 것은 문화적 상대주의에 비추어 정당하다는 논리이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말고기를 먹지 말고, 한국인들은 개고기를 먹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가까울 것이다. 채식을 하는 불교의 교리를 인류의 숭고한 가치로 받아들이는 이유는 동물들과 더불어 살자는 뜻이기 때문이다. 물론 인류는 인구가 비정상적으로 팽창하여 생존을 위해서 소와 돼지 등을 사육해서 식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지만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향한 방향 설정만은 왜곡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문화 상대주의는 보아스 학파의 문화 결정주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문화 결정주의에 의하면 문화란 각 인간집단들에서 나타나는 행위형태들을 설명하는 원리이다. 예컨대 문화와 인성 이론은 각 인간집단들에서 나타나는 인성의 유형들을 그 문화유형이 만들어 내는 대표적 인성의 구성요소로 해석한다. 이와 같이 문화 상대주의의 개념은 보아스 학파를 지배하고 있고, 이 사실은 보아스 학파로 하여금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구조와 과정에 대한 분석을 무시하게 만들었다. 예를 들면 사회변동과 문화접변의 문제는 분명히 사회계급들이나 사회집단들간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의 충돌이나 모순의 결과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변동과 문화접변에 대한 연구를 문화의 차이에 대한 연구로 바꾸는 것이다. 그래서 제국주의와 식민지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두 문화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되어 버리는 것이다. 상호 작용하는 것은 문화가 아니라 사람이다. 서로 특정의 힘의 관계에 놓여있고, 서로 특정의 이해관계에 놓여 있는 인간집단들이 상호 작용하는 것이지 문화들이 상호 작용하는 것이 아니다. 문화 결정주의는 이와 같이 가장 근본적인 사실들을 무시하고 있다.
⑤ 문화 상대주의의 지향점
문화 상대주의는 두가지 핵심을 지향한다. 첫째 타문화의 전통과 가치를 그 문화의 입장에서 존중하고, 둘째 자기 문화를 대상화(객관화)시켜 스스로의 문화를 반성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과연 인류가 보편적으로 추구할 것이 있다면 이를 인류 모두가 성취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문화 상대주의의 궁극적 목표일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