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공작물의 재질 및 요구하는 가공면의 정밀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가공 시간
가공시간 T = D+l/f D : 커터의 지름
l : 공작물의 길이
f : 테이블 이송 속도 (mm/min)
이송속도 f = fz*z*n fz : 커터의 날 당 이송량 (mm/날)
z : 커터의 날 수
n : 커터의 분당 회전수 (rpm)
절삭속도 V = ∏*D*n/1000
가공 방법
5. 보링 (Boring machine)
가공용도
드릴링이나 단조 및 주조 등에 의하여 가공된 구멍을 보다 정밀한 치수와 형태로 확대 가공하는 것으로 보링 머신에서 뿐만 아니라 선반가공, 드릴링 머신 등에서 가공하는 작업이다.
형상이 복잡한 대형 공작물 가공에 적합하다.
사용 공구 (cutter)
보링 머신에서 사용하는 바이트는 선반용 바이트와 거의 같은 구조이나, 구멍의 내면을 가공하게 되므로, 가공하는 구멍의 지름에 알맞은 충분한 여유값을 두어야 함.
절삭 조건 및 칩 제어
칩 배출과 공정 안정성은 보링 가공을 하기 위한 절삭 조건 선택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절삭 속도의 최대 권장 시작값은 적절한 칩 배출과 안정된 공정을 위해 횡식 보링은 2.00m/min, 정밀 보링은 2.40m/min이다.
6. 드릴 (Drilling machine)
가공용도
드릴링 머신은 주로 구멍 뚫는 작업뿐만 아니라 태핑, 리밍 등 작은 구멍의 가공에 필요한 여러 가지 일반적인 작업에 이용된다.
드릴 작업의 종류
- Drilling :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이송을 주어 구멍을 뚫는 작업.
- Reaming : 드릴된 구멍의 치수를 정확히 하는 가공으로서, 가공 여유는 0.4mm 를 초과하지 않음
- Boring : 드릴링에 의해 뚫린 구멍을 확대하는 것.
- Counterboring : 구멍에 나사의 납작 머리가 들어갈 부분을 가공하는 것.
엔드밀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구멍의 한쪽을 확대.
드릴의 각부 명칭
가공 시간
7. 셰이퍼 (Shaper machine)
가공용도
셰이퍼는 바이트가 고정된 렘이 왕복 운동을 하고, 공작물은 바이트의 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유지하면서 이송된다. 세이퍼는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평면을 가공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셰이퍼 작업
가공 시간
- 램의 왕복 회전 수 / 절삭속도
- 가공 시간
8. 연삭 (Grinding machine)
가공용도
- 연마 가공 (abrasive processes) : 단단한 연마 입자를 절삭 공구로 사용하여 공 작물을 가공하는 총체적인 명칭.
- 연삭 가공 (grinding) : 연삭 숫돌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정.
- 절삭 가공으로는 가공이 불가능한 제품의 생산에 필연적으로 활용.
- 경도가 매우 높은 경화강의 가공이나 세라믹, 초경합금, 유리등의 가공에 이용.
연삭 종류
수평형 평면연삭 수직형 평면연삭
원통연삭 내면연삭
사용 공구 (wheel)
연삭 가공의 특성
- Rake각이 음수 : 절삭 칩이 크게 변형 됨.
이는 연삭저항의 배분력이 주분력 보다 큼을 의미함.
가공 시간
가공시간 T = L*I/n*f (min) L : 이동거리=공작물길이+숫돌의폭
D : 절삭 전 지름
절삭횟수 I = D-d/2t d : 절삭 후 지름
f : 이송량 (min/rev)
이송속도 V = f*n/1000 (m/min) t : 연삭 깊이 (mm/rev)
n : 연삭 숫돌 회전수 (rpm)
연삭 트러블
- 가공물의 형상이 불안정시 발생
- 난삭제 가공연삭
9. 플레이너 (Planer)
가공용도
셰이퍼, 슬로터 및 플레이너는 평면 가공을 한다는 것에 공통점이 있으나, 셰이퍼와 슬로터에는 소형 공작물을 가공하며 공작물을 이송하고, 플레이너는 대형 공작물을 가공하고 공구에는 귀환 행정시 이송을 한다. 그 크기는 테이블의 크기, 공구대의 수평 및 위아래 이동거리, 테이블의 윗면부터 공구대까지의 최대 높이로 표시한다.
플레이너의 종류
- 쌍주식 플레이너 (double housing planer)
; 2개의 기둥이 있고 그 사이에 크로스 레일이 있어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 며, 테이블 위에 공작물을 고정하여 왕복 운동을 시키며 이 운동 방향과 직각되 게 바이트를 이송시킨다.
- 단주식 플레이너 (open side planer)
; 기둥이 베드의 한쪽 옆에 있고 크로스 레일이 외팔보로 되어 있어 폭이 넓은 일감을 깍을 수 있으나, 강력한 절삭을 할 때에는 정밀도에 주의하여야 한다.
절삭 속도 및 가공 시간
10. 기어 가공 (Hobbing machine)
가공용도
; 호브(hob)라는 공구를 사용하여 기어를 가공하는 것으로 호브와 가공물의 상대 운동은 호브를 웜(warm), 가공물을 웜기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호빙 머신으로 제작 가능한 기어는 스퍼 기어, 헬리컬 기어, 웜 기어, 스플라인 축 등이다.
호빙 머신의 가공 원리
; 커터인 호브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공작물을 회전시키면서 축 방향으로 이송을 주어 절삭하는 공작 기계이다.
사용 공구 (hob)
- 밀링 커터와 같은 회전 공구.
- 래크를 나선으로 감고, 스파이럴에 직각이 되도록 축 방향으로 여러 개의 홈을 파서 절삭 날을 형성하게 한 것.
11. 고찰
- 공작 기계의 최대 논점은 효율적인 생산 능력이다.
적정한 품질과 수량의 제품을 값싸게 생산하기 위해서는 공정관리, 품질관리, 원가관리에 논점을 맞추고 총괄적인 통제를 해야 할 것이다.
- 공작 기계를 사용함에 있어서 실제 가동시간과 가동 준비시간 분배에 신경을 씀으로써 생산 라인이 쳇바퀴 돌아가듯 유연하게 연결되도록 업무 전체를 고려해서 계획적인 관리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 현재 모든 가공 기술에서 정밀화, 고속화, 지능화와 더불어 환경친화적인 면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의 가공 기술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그리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고민해보아야 한다.
- 모든 작업이 고속화가 되고 있는 현재 시점과는 반대로 전부 자동화가 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수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뢰성이 높은 자동 감시 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가공 시간
가공시간 T = D+l/f D : 커터의 지름
l : 공작물의 길이
f : 테이블 이송 속도 (mm/min)
이송속도 f = fz*z*n fz : 커터의 날 당 이송량 (mm/날)
z : 커터의 날 수
n : 커터의 분당 회전수 (rpm)
절삭속도 V = ∏*D*n/1000
가공 방법
5. 보링 (Boring machine)
가공용도
드릴링이나 단조 및 주조 등에 의하여 가공된 구멍을 보다 정밀한 치수와 형태로 확대 가공하는 것으로 보링 머신에서 뿐만 아니라 선반가공, 드릴링 머신 등에서 가공하는 작업이다.
형상이 복잡한 대형 공작물 가공에 적합하다.
사용 공구 (cutter)
보링 머신에서 사용하는 바이트는 선반용 바이트와 거의 같은 구조이나, 구멍의 내면을 가공하게 되므로, 가공하는 구멍의 지름에 알맞은 충분한 여유값을 두어야 함.
절삭 조건 및 칩 제어
칩 배출과 공정 안정성은 보링 가공을 하기 위한 절삭 조건 선택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절삭 속도의 최대 권장 시작값은 적절한 칩 배출과 안정된 공정을 위해 횡식 보링은 2.00m/min, 정밀 보링은 2.40m/min이다.
6. 드릴 (Drilling machine)
가공용도
드릴링 머신은 주로 구멍 뚫는 작업뿐만 아니라 태핑, 리밍 등 작은 구멍의 가공에 필요한 여러 가지 일반적인 작업에 이용된다.
드릴 작업의 종류
- Drilling :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이송을 주어 구멍을 뚫는 작업.
- Reaming : 드릴된 구멍의 치수를 정확히 하는 가공으로서, 가공 여유는 0.4mm 를 초과하지 않음
- Boring : 드릴링에 의해 뚫린 구멍을 확대하는 것.
- Counterboring : 구멍에 나사의 납작 머리가 들어갈 부분을 가공하는 것.
엔드밀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구멍의 한쪽을 확대.
드릴의 각부 명칭
가공 시간
7. 셰이퍼 (Shaper machine)
가공용도
셰이퍼는 바이트가 고정된 렘이 왕복 운동을 하고, 공작물은 바이트의 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유지하면서 이송된다. 세이퍼는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평면을 가공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셰이퍼 작업
가공 시간
- 램의 왕복 회전 수 / 절삭속도
- 가공 시간
8. 연삭 (Grinding machine)
가공용도
- 연마 가공 (abrasive processes) : 단단한 연마 입자를 절삭 공구로 사용하여 공 작물을 가공하는 총체적인 명칭.
- 연삭 가공 (grinding) : 연삭 숫돌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정.
- 절삭 가공으로는 가공이 불가능한 제품의 생산에 필연적으로 활용.
- 경도가 매우 높은 경화강의 가공이나 세라믹, 초경합금, 유리등의 가공에 이용.
연삭 종류
수평형 평면연삭 수직형 평면연삭
원통연삭 내면연삭
사용 공구 (wheel)
연삭 가공의 특성
- Rake각이 음수 : 절삭 칩이 크게 변형 됨.
이는 연삭저항의 배분력이 주분력 보다 큼을 의미함.
가공 시간
가공시간 T = L*I/n*f (min) L : 이동거리=공작물길이+숫돌의폭
D : 절삭 전 지름
절삭횟수 I = D-d/2t d : 절삭 후 지름
f : 이송량 (min/rev)
이송속도 V = f*n/1000 (m/min) t : 연삭 깊이 (mm/rev)
n : 연삭 숫돌 회전수 (rpm)
연삭 트러블
- 가공물의 형상이 불안정시 발생
- 난삭제 가공연삭
9. 플레이너 (Planer)
가공용도
셰이퍼, 슬로터 및 플레이너는 평면 가공을 한다는 것에 공통점이 있으나, 셰이퍼와 슬로터에는 소형 공작물을 가공하며 공작물을 이송하고, 플레이너는 대형 공작물을 가공하고 공구에는 귀환 행정시 이송을 한다. 그 크기는 테이블의 크기, 공구대의 수평 및 위아래 이동거리, 테이블의 윗면부터 공구대까지의 최대 높이로 표시한다.
플레이너의 종류
- 쌍주식 플레이너 (double housing planer)
; 2개의 기둥이 있고 그 사이에 크로스 레일이 있어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 며, 테이블 위에 공작물을 고정하여 왕복 운동을 시키며 이 운동 방향과 직각되 게 바이트를 이송시킨다.
- 단주식 플레이너 (open side planer)
; 기둥이 베드의 한쪽 옆에 있고 크로스 레일이 외팔보로 되어 있어 폭이 넓은 일감을 깍을 수 있으나, 강력한 절삭을 할 때에는 정밀도에 주의하여야 한다.
절삭 속도 및 가공 시간
10. 기어 가공 (Hobbing machine)
가공용도
; 호브(hob)라는 공구를 사용하여 기어를 가공하는 것으로 호브와 가공물의 상대 운동은 호브를 웜(warm), 가공물을 웜기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호빙 머신으로 제작 가능한 기어는 스퍼 기어, 헬리컬 기어, 웜 기어, 스플라인 축 등이다.
호빙 머신의 가공 원리
; 커터인 호브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공작물을 회전시키면서 축 방향으로 이송을 주어 절삭하는 공작 기계이다.
사용 공구 (hob)
- 밀링 커터와 같은 회전 공구.
- 래크를 나선으로 감고, 스파이럴에 직각이 되도록 축 방향으로 여러 개의 홈을 파서 절삭 날을 형성하게 한 것.
11. 고찰
- 공작 기계의 최대 논점은 효율적인 생산 능력이다.
적정한 품질과 수량의 제품을 값싸게 생산하기 위해서는 공정관리, 품질관리, 원가관리에 논점을 맞추고 총괄적인 통제를 해야 할 것이다.
- 공작 기계를 사용함에 있어서 실제 가동시간과 가동 준비시간 분배에 신경을 씀으로써 생산 라인이 쳇바퀴 돌아가듯 유연하게 연결되도록 업무 전체를 고려해서 계획적인 관리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 현재 모든 가공 기술에서 정밀화, 고속화, 지능화와 더불어 환경친화적인 면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의 가공 기술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그리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고민해보아야 한다.
- 모든 작업이 고속화가 되고 있는 현재 시점과는 반대로 전부 자동화가 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수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뢰성이 높은 자동 감시 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AL6061합금의 시료에 따른 기계적 특성 변화 관찰
산업구조(자동차산업의 분류와 특성)
서비스의 정의 및 일반적 특성과 제공자의 자세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 인장실험
기계설계 (캠, 감아 걸기 전동 장치, 브레이크 및 래치 휠)
(기계공학)기계재료 응용및 실험, 마찰시험, 미끄럼마찰및 구름저항 실험 최신버전!!
무연솔더의 기계적 특성 평가
[제품 및 공정설계] 제품설계와 공정설계 - 제품의 개발설계, 최종설계 및 시험, 생산공정의 ...
[생산관리론] 글로벌시대의 초일류기업의 정의와 구성요건 및 초일류기업의 특성
[상대적 잉여가치][잉여가치][상대적 잉여가치 정의][기계경영][경영][협업][양적 변동]상대...
[기계공학 실험] DC모터 및 엔코더[ Encoder] - Matlab을 통한 PID 제어를 실습 - Encoder 용...
경질크롬도금 실습 및 마찰마모시험(내마모성 실험) : 산업공정에서 널리 쓰이는 경질크롬도...
[청소년기 정신장애 및 질병] 청소년 건강문제(청소년기 우울증, 물질남용, 청소년 자살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