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1) 신체계측
(2) 활력징후 측정
(3) 신체검진
<반사 (Reflex)>
2. 간호과정
(1) 사정
<산모기록>
<신생아기록>
<Vital chart>
<Feeding>
<Stool&urine>
<투약약물>
(2) 진단, 계획, 수행 및 평가
#. 간호진단 1
#. 간호진단 2
※ 참고문헌
(1) 신체계측
(2) 활력징후 측정
(3) 신체검진
<반사 (Reflex)>
2. 간호과정
(1) 사정
<산모기록>
<신생아기록>
<Vital chart>
<Feeding>
<Stool&urine>
<투약약물>
(2) 진단, 계획, 수행 및 평가
#. 간호진단 1
#. 간호진단 2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7. 목욕물 온도는 38~40도 정도로 유지하고 너무 차가운 물로 목욕시키지 않는다. 목욕시간은 5분이 적당하며 최대 10분을 넘기지 않는다.
8. 목욕 후 아기에게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완전히 건조시킨다.
9. 분유 온도는 36~38도 사이를 유지한다.
10. 검사를 받거나 활력징후를 잴 때와 같이 신체노출이 필요할 때 노출을 최소한으로 한다.
1,2. 신생아의 체온을 자주 관찰해 저체온 증상을 빨리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3. 분만실의 낮은 온도와 양수로 젖은 아기의 몸으로 인해 출산직후에 저체온증이 나타날 위험이 크므로 인큐베이터에서 Warming을 해 준다.
4. 추운 환경은 아기의 체온을 빼앗아 간다.
5,6. 아기의 피부에 접촉하는 물건을 따뜻하게 해 체온을 유지한다.
7. 너무 차가운 목욕물은 오한을 유발한다.
8. 목욕 후 물기가 증발하면서 아기의 체온을 빼앗아갈 수 있다.
9. 찬 분유를 섭취해 체온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한다.
10. 신체노출을 최소한으로 해서 체온손실을 최소한으로 막는다.
간호 수행
1. 4시간마다 신생아의 체온을 체크하였다.
2. 4시간 마다 저체온 증상을 관찰하였다. 오한, 무기력한 모습이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호흡과 맥박을 체크하였다. 피부색을 관찰하고 피부를 만져보아 따뜻한지 차가운지 확인하였다.
2. 출생 후 4시간동안 인큐베이터에서 Warming 해 주었다.
3. 아기와 접촉할 때 손을 비벼 열을 낸 후 접촉하였다.
4. 실내 온도를 24~26도 사이로 유지하였다.
5. 바이탈을 잴 때 청진기를 저고리 위에 대고 쟀다.
7. 목욕물 온도는 38~40도 정도로 유지했고, 목욕시간은 4분~6분 정도였다.
8. 목욕 후 마른 담요로 아기의 몸통과 사지, 얼굴, 머리를 닦아주었다. 온몸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아기에게 옷을 입히고 담요에 싸주었다. 머리카락은 완전히 건조시키지 못하였다.
9. 분유 온도는 36~38도 사이를 유지하였다.
10. 맥박음을 들을 때 아기를 싸고 있는 담요 안으로 청진기를 넣어 저고리 위에서 청진을 하였다.
평가 및 재계획
신생아는 퇴원 시 까지 저체온 증상<오한, 차가운 선홍색 피부, 무기력한 모습, 느린 호흡과 맥박>을 보이지 않았으며 정상체온<36.5~37.5>을 유지했다.
#. 간호진단 2 미성숙한 체온조절능력과 관련된 저체온 위험성
※ 참고문헌
송지호, 조결자 외, 아동간호학 상,하권(2009), 현문사
네이버 백과사전
7. 목욕물 온도는 38~40도 정도로 유지하고 너무 차가운 물로 목욕시키지 않는다. 목욕시간은 5분이 적당하며 최대 10분을 넘기지 않는다.
8. 목욕 후 아기에게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완전히 건조시킨다.
9. 분유 온도는 36~38도 사이를 유지한다.
10. 검사를 받거나 활력징후를 잴 때와 같이 신체노출이 필요할 때 노출을 최소한으로 한다.
1,2. 신생아의 체온을 자주 관찰해 저체온 증상을 빨리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3. 분만실의 낮은 온도와 양수로 젖은 아기의 몸으로 인해 출산직후에 저체온증이 나타날 위험이 크므로 인큐베이터에서 Warming을 해 준다.
4. 추운 환경은 아기의 체온을 빼앗아 간다.
5,6. 아기의 피부에 접촉하는 물건을 따뜻하게 해 체온을 유지한다.
7. 너무 차가운 목욕물은 오한을 유발한다.
8. 목욕 후 물기가 증발하면서 아기의 체온을 빼앗아갈 수 있다.
9. 찬 분유를 섭취해 체온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한다.
10. 신체노출을 최소한으로 해서 체온손실을 최소한으로 막는다.
간호 수행
1. 4시간마다 신생아의 체온을 체크하였다.
2. 4시간 마다 저체온 증상을 관찰하였다. 오한, 무기력한 모습이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호흡과 맥박을 체크하였다. 피부색을 관찰하고 피부를 만져보아 따뜻한지 차가운지 확인하였다.
2. 출생 후 4시간동안 인큐베이터에서 Warming 해 주었다.
3. 아기와 접촉할 때 손을 비벼 열을 낸 후 접촉하였다.
4. 실내 온도를 24~26도 사이로 유지하였다.
5. 바이탈을 잴 때 청진기를 저고리 위에 대고 쟀다.
7. 목욕물 온도는 38~40도 정도로 유지했고, 목욕시간은 4분~6분 정도였다.
8. 목욕 후 마른 담요로 아기의 몸통과 사지, 얼굴, 머리를 닦아주었다. 온몸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아기에게 옷을 입히고 담요에 싸주었다. 머리카락은 완전히 건조시키지 못하였다.
9. 분유 온도는 36~38도 사이를 유지하였다.
10. 맥박음을 들을 때 아기를 싸고 있는 담요 안으로 청진기를 넣어 저고리 위에서 청진을 하였다.
평가 및 재계획
신생아는 퇴원 시 까지 저체온 증상<오한, 차가운 선홍색 피부, 무기력한 모습, 느린 호흡과 맥박>을 보이지 않았으며 정상체온<36.5~37.5>을 유지했다.
#. 간호진단 2 미성숙한 체온조절능력과 관련된 저체온 위험성
※ 참고문헌
송지호, 조결자 외, 아동간호학 상,하권(2009), 현문사
네이버 백과사전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 간호학 Case study - 신생아중환자실 NICU - 구개파열
NICU(신생아중환자실)Case Study
고위험 신생아 case study
신생아 중환아실 실습 Case Report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 Neonatal hyperbilirubinemia) 케이스
폐렴 케이스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 성인케이스스터디 폐렴간호진단 폐렴간호사례 폐렴...
paranoid schizophrenia case, 정신분열병 케이스, 정신분열증 케이스, 조현병 케이스 정신분...
c/s case A+ ( cesarean section 케이스 제왕절개술 케이스 스터디, cesarean section case, ...
충수돌기염 케이스 A+ (appendicitis CASE, 충수돌기염 케이스, 충수돌기염 간호과정, 충수돌...
Alcoholic cirrhosis of liver → H.E. d/t dehydration CASE STUDY (간경화 케이스, 간질환 ...
Benign neoplasm of rectum 내시경적 점막하 절개박리술 (ESD) 케이스 (ESD CASE STUDY, ESD ...
Hypoxic brain damage, 저산소 뇌손상 케이스, Pulmonary thromboembolism, 폐색전증 케이스,...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ICH 간호과정, ICH 케이스, ICH 케이스 스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