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질병 등 건강상 사유가 16%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 저임금, 감원조치, 전직, 대인관계, 임금체불, 직업의식 부족 등이 퇴사이유로 나타났다.
신규 장애인은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39.2%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기능 관련직이 22.7%, 경영무역사무 관련직이 10.2%, 서비스 관련직이 7.4% 등으로 나타났다. 임금 수준은 70~100만원 미만의 임금을 받는 경우가 61.7%로 가장 많았으며 50~70만원 미만이 19.8%, 100~150만원 미만 11.7% 등으로 나타났다.
취업경로는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취업알선을 통해 취업한 경우가 63.3%로 가장 많았으며, 스스로 취업한 경우가 12.5%, 고용박람회를 통해 취업한 경우가 9.7%, 직업훈련을 통해 취업한 경우가 4.5% 등으로 나타났다.
전 연구원은 “신규 장애인의 고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직무에 잘 적응하고 직무를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해당직무에 필요한 기능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직업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 연구원은 “안면변형장애의 외모, 간장애의 스트레스, 간질장애의 발작, 장루요루장애의 불결함 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취업의 커다란 벽으로 작용한다”며 "그러나 이러한 부분들은 직무환경 상의 배려를 통해 얼마든지 보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전 연구원은 또 “신장장애인에게 투석비용에 대한 지원을 확대했듯이 신규장애인의 경우에도 호흡기장애인의 고농축 산소지원, 간장장애인 및 간질장애인의 약물치료지원 확대, 안면변형장애인의 성형비용지원 등의 확대를 통해 장애로 인해 추가되는 비용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연구원은 “신규 장애인의 고용이 확대되고 취업한 장애인들의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위해서는 사업주, 동료 뿐 아니라 사회전반을 대상으로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 결론
장루 장애의 경우는 타 장애와 달리 장루장애 사실을 숨기는 경우가 많아서 기타 타장애 와 다른 인식과 배려가 필요합니다.
또 장의 길이에 따라 배변 및 기타상태가 다르므로 이 에 대한 사회적응도가 달라지며 이에 맞추어 지원과 인식이 필요합니다. 장루는 수술 후 6개월 이후 또는 그 이후부터 장세척 등으로 어느 정도 안정을 취할 수 있으며 회장루 보다는 대체로 적응도가 좋습니다.
물론 장루의 원인이 된 질병 치료나 재발등의 위험이 있으나 상태로만 보면 회장루 또는 이와 유사한 복합장루, 요루는 사회생활 하기가 매우 불편합니다. 회장루도 장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르며 이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하며 관찰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장루 장애인의 지원이 달라야 한다고 보여지며 심한 경우는 집안에만 있어야 하는 은둔형이 많고 심지어 바깥으로 나가는 것 자체가 공포와 두려움이 되는 사람도 있습니다.
6. 출처:
1>http://www.idhome.net/
2> 장애인 복지론 (현학사, 손광훈 지음, 2004)
3> 장애인 복지론 (홍익재, 남상만 외 지음, 2004)
신규 장애인은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39.2%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기능 관련직이 22.7%, 경영무역사무 관련직이 10.2%, 서비스 관련직이 7.4% 등으로 나타났다. 임금 수준은 70~100만원 미만의 임금을 받는 경우가 61.7%로 가장 많았으며 50~70만원 미만이 19.8%, 100~150만원 미만 11.7% 등으로 나타났다.
취업경로는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취업알선을 통해 취업한 경우가 63.3%로 가장 많았으며, 스스로 취업한 경우가 12.5%, 고용박람회를 통해 취업한 경우가 9.7%, 직업훈련을 통해 취업한 경우가 4.5% 등으로 나타났다.
전 연구원은 “신규 장애인의 고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직무에 잘 적응하고 직무를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해당직무에 필요한 기능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직업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 연구원은 “안면변형장애의 외모, 간장애의 스트레스, 간질장애의 발작, 장루요루장애의 불결함 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취업의 커다란 벽으로 작용한다”며 "그러나 이러한 부분들은 직무환경 상의 배려를 통해 얼마든지 보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전 연구원은 또 “신장장애인에게 투석비용에 대한 지원을 확대했듯이 신규장애인의 경우에도 호흡기장애인의 고농축 산소지원, 간장장애인 및 간질장애인의 약물치료지원 확대, 안면변형장애인의 성형비용지원 등의 확대를 통해 장애로 인해 추가되는 비용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연구원은 “신규 장애인의 고용이 확대되고 취업한 장애인들의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위해서는 사업주, 동료 뿐 아니라 사회전반을 대상으로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 결론
장루 장애의 경우는 타 장애와 달리 장루장애 사실을 숨기는 경우가 많아서 기타 타장애 와 다른 인식과 배려가 필요합니다.
또 장의 길이에 따라 배변 및 기타상태가 다르므로 이 에 대한 사회적응도가 달라지며 이에 맞추어 지원과 인식이 필요합니다. 장루는 수술 후 6개월 이후 또는 그 이후부터 장세척 등으로 어느 정도 안정을 취할 수 있으며 회장루 보다는 대체로 적응도가 좋습니다.
물론 장루의 원인이 된 질병 치료나 재발등의 위험이 있으나 상태로만 보면 회장루 또는 이와 유사한 복합장루, 요루는 사회생활 하기가 매우 불편합니다. 회장루도 장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르며 이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하며 관찰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장루 장애인의 지원이 달라야 한다고 보여지며 심한 경우는 집안에만 있어야 하는 은둔형이 많고 심지어 바깥으로 나가는 것 자체가 공포와 두려움이 되는 사람도 있습니다.
6. 출처:
1>http://www.idhome.net/
2> 장애인 복지론 (현학사, 손광훈 지음, 2004)
3> 장애인 복지론 (홍익재, 남상만 외 지음, 2004)
추천자료
고위험 신생아
수막종 환자 (Meningioma) case study
회장루술 퇴원환자의 간호관리
직장암[Rectal Cancer]정보
ESRD(end stage renal disease) case study
배변간호
대장암, 역류성 식도염, 협심증(PTCA)을 가진 대상자 case study
[아동성폭력]아동 성폭력 문제의 정의와 원인, 예방, 대처방안은 무엇인가? 아동 성폭력 범죄...
[아동성범죄]아동 성범죄 대책의 문제점과 논란의 쟁점(형량 강화, 심신 미약, 공소 시효, 화...
내과 의학용어 및 의학약어 해설 및 풀이(소화기내과)총 172개
[성인 case study] conference 기흉 (pneumothorax)
성인간호학_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성인간호학 2017]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
성인간호학 2017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