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려인의 삶으로 빚어진 고려청자
Ⅰ. 머 리 말
Ⅱ. 본 문
1. 고려청자의 발생과 역사
2. 고려청자의 제작 과정과 기술
3. 고려청자의 종류와 의의
Ⅲ. 맺 음 말
Ⅰ. 머 리 말
Ⅱ. 본 문
1. 고려청자의 발생과 역사
2. 고려청자의 제작 과정과 기술
3. 고려청자의 종류와 의의
Ⅲ. 맺 음 말
본문내용
고 세련미를 갖추었다. 은은하고 아름다운 비색, 조각도와 상감문양의 정교함, 우아하고 유려한 선의 흐름과 함께 세계 최초로 도자기에 산화동으로 선홍색을 발현시킨 기술의 우수성, 상감기법을 도자기에 적용시키는 등의 고려의 도공의 뛰어난 특색과 민족성을 향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성에 걸맞는 사료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주로 출토된 작품을 통해 연대를 추정하고 있으며 청자 관련 저서도 중국측 사료에서 근원을 찾는 경우도 많다. 대표적인 것이 서긍(徐兢)의 『高麗圖經』인데 그는 1123년 송에서 사절단으로 개경으로 와서 한 달 정도 머물러있다가 1년 뒤에 저술한 견문록이다. 물론 이 자료에 기록된 것에서 외국 사절들의 만찬에 쓰이는 그릇은 주로 금,은으로 도금한 것으로 청자는 값진 것으로 고려인들이 청자의 색을 비색이라 불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색감의 아름다움과 특이한 기형 등을 짐작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려청자에 관한 문헌 자료를 이것에 지나치게 의존하지는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들기도 했다. 그러므로 더 깊이있고 다양한 고려청자 연구를 위해 간학문적인 접근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참고 문헌>
정양모, 『고려청자』(대원사, 1998).
정양모, 『한국의 도자기』(문예출판사, 1991).
최건, 「고려청자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나」(한국미술연구소, 1995).
친따수,「송,금대 북방지역 자기의 상감공예와 고려 상감청자의 관계」(한국미술연구소, 1998).
방병선,「나말여초 청자 제작과 전통기술」(한국고대학회, 2009).
이종민, 「도자문화강좌 : 한국의 청자」(도자진흥재단, 2004).
<참고 문헌>
정양모, 『고려청자』(대원사, 1998).
정양모, 『한국의 도자기』(문예출판사, 1991).
최건, 「고려청자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나」(한국미술연구소, 1995).
친따수,「송,금대 북방지역 자기의 상감공예와 고려 상감청자의 관계」(한국미술연구소, 1998).
방병선,「나말여초 청자 제작과 전통기술」(한국고대학회, 2009).
이종민, 「도자문화강좌 : 한국의 청자」(도자진흥재단, 2004).
추천자료
고려중기 정치세력 연구 - 김부식과 묘청세력의 비교
성리학이 고려말 문학에 끼친 영향
정몽주와 정도전의 불교 인식 비교에 대한 고찰
고려시대 여성의 경제적 지위에 대한 고찰 - 토지상속제를 중심으로
14세기 성리학 수용 고려사회 변화
고려시대의 대 여진 및 대 거란 대외관계
고려에 관한 고찰
화랑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정의와 특성,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변천과 장...
역사학의 언어적 전환과 역사교육 (포스트모던 역사학)
청산별곡의 상징성과 현실 인식
주거문화와 주거의 기능 및 시대별 주거사(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