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기도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 흡인 위험성
침습적 시술 및 상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신체부위 압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의식 저하와 관련된 영양 부족 위험성
처치와 관련된 구강점막의 손상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기도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 흡인 위험성
침습적 시술 및 상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신체부위 압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의식 저하와 관련된 영양 부족 위험성
처치와 관련된 구강점막의 손상
본문내용
-상처부위의 염증을 예방한다
-urine bag의 위치를 항상 환자의 아래로 한고 드레싱을 한다
-상처부위에 연고를 발라준다
-요로감염의 증상이 없다
-상처부위의 감염증상이 없다
-상행성 요로감염의 기회를 줄이고 무균적 시술을 하여 감염의 전파를 막을 수 있다
-연고를 발라줌으로써 상처회복을 증진시킨다.
3) 관리
-처치 전엔 철저한 손 씻기를 하고 무균법을 철저히 지킨다.
-항생제로 인한 기회감염을 줄인다.
-환자와 접촉을 할 때마다 손 소독제로 손을 깨끗이 씻었다.
-처치시 무균적으로 시행하고 처치전후 손씻기를 한다
-기회감염을 줄였다.
- 손씻기는 미생물 전파를 예방한다.
-약해져 있는 면역 상태의 환자는 모든 병원성 균에 취약하다.
간
호
진
단
신체부위 압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간호진단번호
139 (P. 227 )
진단일시
07/25
평가일시
07/29
관련요인
증 상
간호목표
-귀저기
-같은 자세
-피부 압박(억제대)
-억제대 부분 피부에 물집
-등의 피부가 붉어짐
-환자의 피부가 정상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합리적 근거
1) 관찰
-환자의 피부상태를 자주 사정한다.
-매 근무 때 마다 침상정리와 마시지를 하면서 환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여 발적이나 손상이 있는지 살폈다.
-환자의 피부가 완벽히 치유되진 않았으나 감염이 되지는 않았다.
-사정함으로써 피부의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다
2) 돌봄
-피부손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최소화한다.
-린넨등에 구겨진 부분이 없게 하며 체위변경을 2시간에 한번씩 해준다
-피부손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감소하였다.
-피부의 직접적인 자극을 없애주고 지속적인 신체 부위의 압박은 피부손상 및 욕창의 위험을 발생한다.
3) 직접간호
-상처를 무균적으로 드레싱 한다.
-상처를 드레싱 해 주었다
-등의 피부 붉어짐이 덜하다.
-환자의 피부상태를 정확히 사정하여 무균적으로 드레싱해주는 것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4) 관리
-습하고 손상이 없는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배액물이 묻은 패드를 갈아준다
-피부가 건조하게 유지되었다.
-습기는 환자의 피부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간
호
진
단
의식저하와 관련된 영양 부족
(Imbalanced nutrition : less than body requirment)
간호진단번호
12 (P. 41 )
진단일시
07/19
평가일시
07/27
관련요인
증 상
간호목표
-구강섭취 불가
-의식 저하
-혈중 알부민 수치 감소:2.2(7/19)
-mental : stupor
-환자의 단백질 수치가 올라간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합리적 근거
1) 관찰
-매일 열량 섭취 모니터
-들어가고 있는 수액의 양을 측정하고 수액의 칼로리를 계산한다.
-열량 섭취의 양을 알 수 있다.
-섭취 열량을 측정함으로써 환자에게 필요한 열량을 알아 볼 수 있다.
2) 돌봄
-환자의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전해질 검사 결과를 확인하였다.
-환자의 알부민 수치는 여전히 저하되어 있다.
-전해질 수치로 부족한 영양분을 파악 할 수 있다.
3) 직접간호
-알부민 수치를 높여준다.
-알부민을 투여 한다.
-7월27일 혈중 알부민 수치가 2.8로 향상 되었다.
-정상 알부민 수치 : 3.5~5.2
-혈중 알부민의 저하는 전반적인 환자의 영양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
호
진
단
처치와 관련된 구강점막의 손상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간호진단번호
133 (P. 215 )
진단일시
07/25
평가일시
07/29
관련요인
증 상
간호목표
-부동
-의식저하
-상악골의 열상
-나쁜냄새
-구강 내 손상이 없으며 구강 안이 깨끗하다
-구강의 불쾌한 냄새가 없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합리적 근거
1) 관찰
-구강을 시진한다.
-구강 내에 손상이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구강내 봉합 상처가 있다.
-환자의 구강점막을 사정함으로써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2) 돌봄
-환자의 구강을 suction 해준다.
-분비물로 인한 구취를 예방하기 위해 suction해주었다.
-구강의 불쾌한 냄새가 여전히 있다.
- 구강간호는 구강과 입술점막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습기를 제공하며 구취제거 및 구강 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상기도 감염을 예방해준다.
3) 직접간호
-mouth care를 한다.
-부드러운 거즈로 mouth care를 해 주었다.
-과산화수소와 생리식엽수를 섞은 세척액으로 구강 간호를 하였다.
-urine bag의 위치를 항상 환자의 아래로 한고 드레싱을 한다
-상처부위에 연고를 발라준다
-요로감염의 증상이 없다
-상처부위의 감염증상이 없다
-상행성 요로감염의 기회를 줄이고 무균적 시술을 하여 감염의 전파를 막을 수 있다
-연고를 발라줌으로써 상처회복을 증진시킨다.
3) 관리
-처치 전엔 철저한 손 씻기를 하고 무균법을 철저히 지킨다.
-항생제로 인한 기회감염을 줄인다.
-환자와 접촉을 할 때마다 손 소독제로 손을 깨끗이 씻었다.
-처치시 무균적으로 시행하고 처치전후 손씻기를 한다
-기회감염을 줄였다.
- 손씻기는 미생물 전파를 예방한다.
-약해져 있는 면역 상태의 환자는 모든 병원성 균에 취약하다.
간
호
진
단
신체부위 압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간호진단번호
139 (P. 227 )
진단일시
07/25
평가일시
07/29
관련요인
증 상
간호목표
-귀저기
-같은 자세
-피부 압박(억제대)
-억제대 부분 피부에 물집
-등의 피부가 붉어짐
-환자의 피부가 정상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합리적 근거
1) 관찰
-환자의 피부상태를 자주 사정한다.
-매 근무 때 마다 침상정리와 마시지를 하면서 환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여 발적이나 손상이 있는지 살폈다.
-환자의 피부가 완벽히 치유되진 않았으나 감염이 되지는 않았다.
-사정함으로써 피부의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다
2) 돌봄
-피부손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최소화한다.
-린넨등에 구겨진 부분이 없게 하며 체위변경을 2시간에 한번씩 해준다
-피부손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감소하였다.
-피부의 직접적인 자극을 없애주고 지속적인 신체 부위의 압박은 피부손상 및 욕창의 위험을 발생한다.
3) 직접간호
-상처를 무균적으로 드레싱 한다.
-상처를 드레싱 해 주었다
-등의 피부 붉어짐이 덜하다.
-환자의 피부상태를 정확히 사정하여 무균적으로 드레싱해주는 것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4) 관리
-습하고 손상이 없는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배액물이 묻은 패드를 갈아준다
-피부가 건조하게 유지되었다.
-습기는 환자의 피부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간
호
진
단
의식저하와 관련된 영양 부족
(Imbalanced nutrition : less than body requirment)
간호진단번호
12 (P. 41 )
진단일시
07/19
평가일시
07/27
관련요인
증 상
간호목표
-구강섭취 불가
-의식 저하
-혈중 알부민 수치 감소:2.2(7/19)
-mental : stupor
-환자의 단백질 수치가 올라간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합리적 근거
1) 관찰
-매일 열량 섭취 모니터
-들어가고 있는 수액의 양을 측정하고 수액의 칼로리를 계산한다.
-열량 섭취의 양을 알 수 있다.
-섭취 열량을 측정함으로써 환자에게 필요한 열량을 알아 볼 수 있다.
2) 돌봄
-환자의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전해질 검사 결과를 확인하였다.
-환자의 알부민 수치는 여전히 저하되어 있다.
-전해질 수치로 부족한 영양분을 파악 할 수 있다.
3) 직접간호
-알부민 수치를 높여준다.
-알부민을 투여 한다.
-7월27일 혈중 알부민 수치가 2.8로 향상 되었다.
-정상 알부민 수치 : 3.5~5.2
-혈중 알부민의 저하는 전반적인 환자의 영양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
호
진
단
처치와 관련된 구강점막의 손상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간호진단번호
133 (P. 215 )
진단일시
07/25
평가일시
07/29
관련요인
증 상
간호목표
-부동
-의식저하
-상악골의 열상
-나쁜냄새
-구강 내 손상이 없으며 구강 안이 깨끗하다
-구강의 불쾌한 냄새가 없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합리적 근거
1) 관찰
-구강을 시진한다.
-구강 내에 손상이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구강내 봉합 상처가 있다.
-환자의 구강점막을 사정함으로써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2) 돌봄
-환자의 구강을 suction 해준다.
-분비물로 인한 구취를 예방하기 위해 suction해주었다.
-구강의 불쾌한 냄새가 여전히 있다.
- 구강간호는 구강과 입술점막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습기를 제공하며 구취제거 및 구강 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상기도 감염을 예방해준다.
3) 직접간호
-mouth care를 한다.
-부드러운 거즈로 mouth care를 해 주었다.
-과산화수소와 생리식엽수를 섞은 세척액으로 구강 간호를 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담석증case study
정상 신생아 case study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DM CASE STUDY
(A+)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A+_Diffuse large cell type lymphoma(non-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병 케이스 스터디, no...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