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삼국의 마당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일 삼국의 마당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중일 삼국의 전통문화와 주거
1) 한국의 전통문화와 주거
2) 중국의 전통문화와 주거
3) 일본의 전통문화와 주거

2 한중일 삼국의 마당을 중심으로 한 주거 사례
1) 한국의 사례
2) 중국의 사례
3) 일본의 사례

3 한중일 삼국 마당의 공통적 특성과 차별적 특성
1) 공통적 특성
2) 차별적 특성
- 한국의 특성
- 중국의 특성
- 일본의 특성

4 결론

본문내용

개인들의 공간인 각 실들을 연결해주는 매개체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인간의 손이 타지 않은 자연을 한옥안으로 옮겨두어 자연을 감상하기도 하며, 담장너머의 좋은 풍경을 빌려 쓰는 방식으로 자신의 정원인양 감상하기도 한다.
역시나 자연적인 모습을 최대한 살리기 때문에 비대칭성이 눈에 띈다.
일본의 인위적인 메시지 전달이나, 중국의 의도한 동선없이 보는 이가 보고 느끼는 대로 감상할수 있도록 자유를 허락한다.
- 중국의 특성
엄격한 좌우대칭과 폐쇄적인 공간 구성이며, 그 폐쇄적인 공간안에서 중정의 활용으로 개방적인 공간감도 확인할수 있도록 한다.
폐쇄적인 공간구성을 가진 주거의 특성상 마당역시 건물에 둘러싸인 공간일 수 밖에 없지만, 그 안에서 개방감을 느낄 수 있으며, 한국과 달리 인위적인 길을 내어 마당의 의도대로 감상하게 된다.
- 일본의 특성
한국보다 더 강한 비대칭성이 강조되어있고, 마당은 담너머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인위적인 모습을 강조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위적인 모습은 자연을 축소, 모방한 형태를 띄는데 이는 모래를 활용하여 바다를 표현하기도 하며, 돌을 활용하여 산을 표현하기도 한다.
4 결론
어린시절 일본에 여행을 간적이 있다. 보름정도 일본에 있었는데, 한 주는 일본의 보편적이고 전통적인 집안에서 머물면서 그들이 안내해주는 일본의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것이었다. 물론, 지금은 어떤 건물이었는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그 가족들과 함께 전통건축을 탐방하는 프로그램도 들어있었다. 아무래도 건축에 몸담기 전, 어린시절이었기에 건축에 관한 상식없이 일본의 전통주거, 전통문화를 접했다. 하지만, 그 당시를 회상해본다면 일본의 전통주거, 신사 등의 건물은 한국의 곡선의 부드러움, 약간의 화려함과는 조금 차이가 있는 간단명료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물론 지금 레포트의 주제와 연관지어 생각해본다면 정원의 심플함, 분재의 느낌이 강한 소나무 한 그루와 료안지에 있는 돌들이 배치되어있던 마당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조금 다른점이라면 그 집의 마당에는 료안지의 모래대신 잔디가 깔려있었다는 것이다. 일본의 마당 혹은 정원의 돌은 산을, 잔디는 바다를 상징하여 인위적인 모습으로 보는 이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했다는데, 앞서 설명한 일본의 사례(신덴즈쿠리)와 같은 모습이 오버랩되어 일본에서의 경험이 비추어진다.
이와 같이 내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일본과 중국, 한국, 삼국의 마당은 조형적인 겉모습은 자연을 담아 자연스러움을 보여주려 하지만, 각기 담으려고 하는 것은 미세한 차이를 보이며 그들의 품성등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듯 하다.
일본인의 깔끔하고 간단명료한 성격은 그들의 마당에서, 현대한국인(일제강점기를 이후로 하여 성품이 거칠고 급해졌다고 함.)의 성품과 어느정도 차이가 있지만 선조들의 풍류를 즐기고, 자연을 아끼는 마음은 그들의 자연스럽고 자연을 대여하는 식의 마당에서, 중국인의 대륙적이고 개인적인 기질은 그들의 폐쇄적인 마당으로 대변되는 듯하다.
또한 현대에 와서 현대건축에 과거의 건축적 요소를 집어넣으려는 시도는 지속되고 있는데, 일본의 안도 다다오가 일본의 전통건축을 재해석하여 일본의 현대건축 및 과거의 건축에 관한 관심을 향하게 했다. 우리나라 역시 전통주거의 동선, 마당, 실의 배치, 처마의 곡선 등 여러 가지 시도를 했지만, 일본의 경우처럼 완전하지는 않은 듯 하다.
나의 견해를 보태자면 우리나라의 마당을 현대건축에 넣는다는 것은 그 대지의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것부터 시작하여(백순실 미술관의 입면과 같은), 내부 동선에서도 각 실이 마당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이 바람직 할 것 같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6.14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2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