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전통사상의 이해] 논어(論語)를 읽고 마음에 드는 문장과 성경구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전통사상의 이해] 논어(論語)를 읽고 마음에 드는 문장과 성경구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① 子曰: “人而不仁, 如禮何? 人而不仁, 如樂何?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사람이면서 인하지 못하면 예인들 무엇하리요? 사람이면서 인하지 못하면 악인들 무엇하리요?

② 子貢 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子曰, “其恕乎 己所不欲 勿施於人”
자공이 \"한 말씀으로서 종신토록 행할만한 것이 있습니까?\"라고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恕일 것이다 자기가 바라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말라”

③ 子曰: “參乎! 吾道一以貫之” 曾子曰: “唯.”
子出, 門人問曰: “何謂也?” 曾子曰: “夫子之道, 忠恕而已矣”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삼아! 나의 도리는 하나로써 모든 것을 꿰뚫고 있다.” 증자가 “예.”라고 대답을 했다. 공자께서 나가시자 제자가 물었다. “무슨 뜻입니까?” 이에 증자가 말했다. “선생님의 도는 충과 서일뿐이다.”

본문내용

게 읽히지 않았을 것이다. 분명히 그럴만한 매력적인 원인이 있을 것이지만 솔직히 말해서 나는 아직 잘 모르겠다. 그것이 성경이든 논어이든 말이다.
이번에 논어를 읽으면서 깨달은 한 가지가 있다. 고전을 읽기 위해서는 사전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고전은 일반 소설이나 에세이처럼 읽을 수 없다. 인터넷에 해석이 다 나와 있기 때문에 읽을 수는 있으나 그 깊은 뜻은 알기 어렵다. 논어를 읽으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한자나 문법구조보다도 역사적 지식이나 인물에 관한 정보를 몰라서 해석하기 힘든 것이었다. 역사지식이나 인물에 관한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꽤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한다. 그러니까 이 두꺼운 논어를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그 보다 더 두꺼운 책을 미리 읽었어야 하는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조금 알고 나니까, 논어를 보는 느낌이 달라졌다. 그 와중에 조금 알고 있던 성경 구절이 오버랩 되었던 것 같다.
중국어를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중국말만 잘하려고 생각했지 이러한 중국의 문, 사, 철에 대해서는 매우 무관심 했던 것 같다. 이번을 계기로 논어를 가지고 남들 앞에서 1시간 이상 말할 수 있는 실력을 가졌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6.20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2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