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학생 시기의 기본적 특성 -2p
2. 중학생 시기의 신체적 특성 -2p
3. 중학생 시기의 사회적 특성 -2~3p
(1) 청소년기의 사회적 관계와 변화
(2) 청소년들의 문화 양극화 현상
4. 중학생 시기의 정서적 특성 -3~4p
(1) 청소년기의 정서변화의 원인
(2) 청소년기의 정서적 특징
(3) 정서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
5. 자아 정체감 대 역할 혼미 -4p
6. 발달 이론에 따른 중학생(청소년)의 특성 -4~5p
(1) 에릭슨의 발달이론
(2) 피아제의 이론
(3) 콜버그의 도덕성발달 이론
7. 중학생 시기의 읽기 능력 -5p
8. 중학생 읽기 자료 선정 요령 -6~7p
9. 중학생의 독서 지도 -7~8p
10. 참고 문헌 -8p
2. 중학생 시기의 신체적 특성 -2p
3. 중학생 시기의 사회적 특성 -2~3p
(1) 청소년기의 사회적 관계와 변화
(2) 청소년들의 문화 양극화 현상
4. 중학생 시기의 정서적 특성 -3~4p
(1) 청소년기의 정서변화의 원인
(2) 청소년기의 정서적 특징
(3) 정서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
5. 자아 정체감 대 역할 혼미 -4p
6. 발달 이론에 따른 중학생(청소년)의 특성 -4~5p
(1) 에릭슨의 발달이론
(2) 피아제의 이론
(3) 콜버그의 도덕성발달 이론
7. 중학생 시기의 읽기 능력 -5p
8. 중학생 읽기 자료 선정 요령 -6~7p
9. 중학생의 독서 지도 -7~8p
10. 참고 문헌 -8p
본문내용
기심을 가지고 자신의 삶의 방향을 찾기 위해 현대 소설을 즐겨 읽 기도 하고 하이틴 로맨스 부류의 순정 소설을 탐닉하기도 한다.
⑫ 역사서도 교과서적인 정사(正史)보다는 야사(野史)에 관심을 보이며, <삼국지>와 같은 여러 유형의 인간형과 삶, 다양한 책략이 나오는 글을 선호하거나 그러한 글 읽기에 빠지 기도 한다.
⑬ 사회·정치·문화에 대한 글, 신문과 뉴스 등도 효과적인 읽기 자료가 될 수 있다. 앞 시기 의 신문·잡지 읽기와는 달리 좀 더 폭넓은 자료를 구안하고 정리·수집할 수 있도록 배려 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즉 관련된 자료를 더욱 폭넓게 수집하도록 하고 하나의 사 건과 내용을 다른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도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⑭ 또 하나 진로·직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시기이므로 진로 결정과 직업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글도 읽기 자료로 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직업에 대한 글보다는 직업의 세계, 직업의 윤리, 직업의 필요성과 같은 글들을 선정하도록 한다.
9. 중학생의 독서 지도
(1) 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 결과
이 시기의 효과적인 읽기 지도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보고서를 의미 있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각 연령 별로 600-1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명제논리, 확률논리, 조합논리, 이원추이, 계열화 기념 등 5개 요인으로 나누어 13개 문항을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중1(12세) : 구체적 조작 후기 : 69.8%
중2(13세) : 구체적 조작 후기 : 51.1%
형식적 조작 전기 : 48.8%
중3(14세) : 구체적 조작 후기 : 47.4%
형식적 조작 전기 : 52.2%
조사 결과에 의하면 중1 학생들은 아직도 구체적 조작기에 머무르고 있으며 중2·3학년은 구체적 조작과 형식적 조작 능력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3 학년의 경우 형식적 조작이 52.2%로 구체적 조작에서 형식적 조작기로 넘어서는 첫 연령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청소년에게는 추상적 활동을 수행하기에는 아직 이르며 구체적인 자료를 통한 학습이 계획되고 시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2) 중학생의 독서 지도
① 글 읽기의 성향이 변하여 줄거리 중심의 읽기에서 벗어나 논리적인 글 읽기를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 비평적 감각이 생기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의미.
② 이 시기의 청소년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읽기 자료 외에는 폭넓은 자료를 제시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글을 읽고 난 후의 활동이 중요한데 토론이나 다양한 방식 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③ 이 시기에 들어서면 읽기 지도에 관한 부모의 영향력과 역할은 축소될 수밖에 없다. 학 교 교과목도 많아지고 학교 공부에 치중해야 하는 때이므로 부모는 한 달에 2권 정도의 책을 추천하는 정도의 역할 밖에는 수행할 수 없다.
④ 수업 전 시간이나 방과 후 시간을 할애하여 읽기 지도를 수행하는 방안이나 특별한 계획 을 세워 읽기 교육을 완수해야 한다. → 읽기 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 대두
⑤ 교사는 학생들에게 교과서 내용을 분석해 주고, 그것을 암기하게 한 다음 객관식 시험 문제로 평가하는 식의 수업을 수행하기 보다는, 모둠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구안하 고 준비해서, 발표하고 평가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⑥ 글을 읽고 학생들이 발표록을 작성하여 발표 계획과 내용을 세우고 발표한 다음 토론을 벌이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10. 참고 문헌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정기철, 도서 출판 역락, 2000
네이버 블로그
⑫ 역사서도 교과서적인 정사(正史)보다는 야사(野史)에 관심을 보이며, <삼국지>와 같은 여러 유형의 인간형과 삶, 다양한 책략이 나오는 글을 선호하거나 그러한 글 읽기에 빠지 기도 한다.
⑬ 사회·정치·문화에 대한 글, 신문과 뉴스 등도 효과적인 읽기 자료가 될 수 있다. 앞 시기 의 신문·잡지 읽기와는 달리 좀 더 폭넓은 자료를 구안하고 정리·수집할 수 있도록 배려 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즉 관련된 자료를 더욱 폭넓게 수집하도록 하고 하나의 사 건과 내용을 다른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도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⑭ 또 하나 진로·직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시기이므로 진로 결정과 직업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글도 읽기 자료로 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직업에 대한 글보다는 직업의 세계, 직업의 윤리, 직업의 필요성과 같은 글들을 선정하도록 한다.
9. 중학생의 독서 지도
(1) 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 결과
이 시기의 효과적인 읽기 지도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보고서를 의미 있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각 연령 별로 600-1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명제논리, 확률논리, 조합논리, 이원추이, 계열화 기념 등 5개 요인으로 나누어 13개 문항을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중1(12세) : 구체적 조작 후기 : 69.8%
중2(13세) : 구체적 조작 후기 : 51.1%
형식적 조작 전기 : 48.8%
중3(14세) : 구체적 조작 후기 : 47.4%
형식적 조작 전기 : 52.2%
조사 결과에 의하면 중1 학생들은 아직도 구체적 조작기에 머무르고 있으며 중2·3학년은 구체적 조작과 형식적 조작 능력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3 학년의 경우 형식적 조작이 52.2%로 구체적 조작에서 형식적 조작기로 넘어서는 첫 연령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청소년에게는 추상적 활동을 수행하기에는 아직 이르며 구체적인 자료를 통한 학습이 계획되고 시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2) 중학생의 독서 지도
① 글 읽기의 성향이 변하여 줄거리 중심의 읽기에서 벗어나 논리적인 글 읽기를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 비평적 감각이 생기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의미.
② 이 시기의 청소년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읽기 자료 외에는 폭넓은 자료를 제시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글을 읽고 난 후의 활동이 중요한데 토론이나 다양한 방식 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③ 이 시기에 들어서면 읽기 지도에 관한 부모의 영향력과 역할은 축소될 수밖에 없다. 학 교 교과목도 많아지고 학교 공부에 치중해야 하는 때이므로 부모는 한 달에 2권 정도의 책을 추천하는 정도의 역할 밖에는 수행할 수 없다.
④ 수업 전 시간이나 방과 후 시간을 할애하여 읽기 지도를 수행하는 방안이나 특별한 계획 을 세워 읽기 교육을 완수해야 한다. → 읽기 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 대두
⑤ 교사는 학생들에게 교과서 내용을 분석해 주고, 그것을 암기하게 한 다음 객관식 시험 문제로 평가하는 식의 수업을 수행하기 보다는, 모둠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구안하 고 준비해서, 발표하고 평가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⑥ 글을 읽고 학생들이 발표록을 작성하여 발표 계획과 내용을 세우고 발표한 다음 토론을 벌이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10. 참고 문헌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정기철, 도서 출판 역락, 2000
네이버 블로그
추천자료
적성탐색검사의 요소들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이 검사에서 어떻게 증명하고 있는지에 대해...
[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민호의 Holland, Adler, Jung의 이론에 근거한 진로 지도 및 분석
[진로교육][진로지도]진로와 진로계획, 진로지도(진로교육)의 개념, 진로지도(진로교육)의 필...
[진로교육]진로지도(진로교육)의 의미, 진로지도(진로교육)의 유래, 진로지도(진로교육)의 필...
[청소년인성교육 및 상담]민지의 Holland, Adler, Jung의 이론에 의한 진로방향과 S 여중에 ...
청소년기 정신건강(성격과 대인관계, 전공과 진로, 이성교제와 친밀감, 음주와 생활습관, 군...
청소년기 정신건강 파워포인트 PPT(성격과 대인관계, 전공과 진로, 이성교제와 친밀감, 음주...
[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민지의 Holland, Adler, Jung이론 관점의 진로 방향과 효과적인 학업...
학생(민지)의 진로방향에 대한 홀랜드, 융, 아들러의 관점
직업(직종)의 의의, 직업(직종)의 중요성, 직업(직종)의 변화, 직업(직종)의 전문화, 직업(직...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목표,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정보화,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진로...
[생활지도 및 상담] 최종보고서 (진로카드별첨)
정부정책탐색&#10123; - “CYS-Net(Community Youth Safety- Net)”
진로발달이론,진로지도의 필요성,진로지도의 목표와 내용,진로지도의 방법,진로상담의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