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실험레폿3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화여자대학교 실험레폿3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imer로 존재하며 그 분자량은 140-160kD이다. 하지만 SDS-PAGE는 분자량차이로 정제할 수 있는 실험 방법으로 젤 상에서 AP는 단량체형태로 존재할 것이고, 아마도 70-80kD로 나올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positive buffer에서 나타나는 밴드와 비교해서, 어느 농도로 용출했을 때 AP가 나왔는지 알 수 있다. 또, 단백질의 이동정도를 marker와 비교하여 확실히 알 수 있다. 만약, 결과 값이 140kD~160kD로 나온다면 SDS 농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positive control: AP가 당연히 나와야함, 이를 통해 측정값이 나오지 않은 것이 실험조건상의 오류로 인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준다. VS negative control : AP가 절대 나올 수 없음. 실험결과가 우연히 나온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
8. reference
① 기초생화학 -분자수준의생명- 제 2판 / DONALD VOET 외 2인/자유아카데미/2007년 발행/82~83 단백질 분석, 88 전기영동
② 생명과학실습1/ 이화여자대학교/ page 6~11
③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Bradford_protein_assay
http://blog.naver.com/withcoffee67?Redirect=Log&logNo=70157521263
http://bric.postech.ac.kr/myboard/read.php?id=1882&Board=protocol
http://en.wikipedia.org/wiki/2-Mercaptoethanol
  • 가격3,3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7.01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