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폭으로 증가하였고, 역방향일때는 순방향일때보다 약간 큰 전압에서 제너항복을 보였다.
2) 전원전압을 변화하는 경우
전원전압 변화(입력전압 6.618V)
이전단계 역방향회로(입력전압 20V)
분석 : 입력전원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인데 우선 이전단계에서 역방향 회로의 제너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4.168V이었으므로 이것에 2V를 더한 6.618V를 입력전압으로 가해 주었다. 그러자 이번에는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4.302V가 되었다. 이것을 통하여 다이오드의 역방향의 제너항복전압이 일정한 값이 아닌주위의 입력되는 전압에 대해서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하저항 1KΩ
3) 부하저항을 변화시키는 경우
부하저항 10KΩ
부하저항 4.7KΩ
분석 : 다이오드와 병렬로 부하저항을 설치하였는데 이것은 부하저항의 변화게 관계없이 부하양단의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되어있다. 그리하여 부하저항을 조절하여보았는데 10KΩ과 4.7KΩ일때는 전압이 4.6V대를 유지하였는데 1KΩ으로 줄어들자 4.2V대로 떨어졌다. 이것은 저항이 작아지면 다이오드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그러므로 부하저항쪽으로 Short가 되는 회로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압이 점점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부하저항을 선택할때는 제너다이오드의 역방향 저항에 대해 최소 수십-수백배의 저항을 설치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부하저항이 일정한 크기 이상일 때 그 변화에 관계없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부하저항의 크기가 무한대에 가까워지면 Open 상태에 가까워져서 부하저항의 의미가 없게 된다.
2) 전원전압을 변화하는 경우
전원전압 변화(입력전압 6.618V)
이전단계 역방향회로(입력전압 20V)
분석 : 입력전원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인데 우선 이전단계에서 역방향 회로의 제너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4.168V이었으므로 이것에 2V를 더한 6.618V를 입력전압으로 가해 주었다. 그러자 이번에는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이 4.302V가 되었다. 이것을 통하여 다이오드의 역방향의 제너항복전압이 일정한 값이 아닌주위의 입력되는 전압에 대해서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하저항 1KΩ
3) 부하저항을 변화시키는 경우
부하저항 10KΩ
부하저항 4.7KΩ
분석 : 다이오드와 병렬로 부하저항을 설치하였는데 이것은 부하저항의 변화게 관계없이 부하양단의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되어있다. 그리하여 부하저항을 조절하여보았는데 10KΩ과 4.7KΩ일때는 전압이 4.6V대를 유지하였는데 1KΩ으로 줄어들자 4.2V대로 떨어졌다. 이것은 저항이 작아지면 다이오드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그러므로 부하저항쪽으로 Short가 되는 회로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압이 점점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부하저항을 선택할때는 제너다이오드의 역방향 저항에 대해 최소 수십-수백배의 저항을 설치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부하저항이 일정한 크기 이상일 때 그 변화에 관계없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부하저항의 크기가 무한대에 가까워지면 Open 상태에 가까워져서 부하저항의 의미가 없게 된다.
추천자료
[전자회로실험] 다이오드 리미터와 브릿지정류기
제너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
[다이오드][포토다이오드][발광다이오드][LED][터널다이오드]다이오드 전압, 다이오드 전류 ...
!! 기초전자실험 다이오드의 특성 ppt자료
[실험레포트/물리,공학] Diode Circuit(다이오드 회로)실험레포트(예비,결과)
반도체,제너다이오드 결과
발광 다이오드 및 제너다이오드 (결과 레포트)
발광 다이오드 및 제너다이오드 (PPT 자료) (결과 레포트)
전자회로실험 - 다이오드 정류회로
[실험 리포트] 전자회로실험 - 접합다이오드 결과
[전자공학][교과과정][반도체][집적회로(IC)][증폭기][제어시스템]전자공학의 발전, 전자공학...
[동작원리(작동원리)]LCD, CMOS의 동작원리(작동원리), FED, 제너다이오드의 동작원리(작동원...
[화학공학실험] LED 및 LD특성평가
제너_다이오드diode의_특성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