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I. 서론
II. 본론
1. 유럽과 기독교
(1)서
(2)중세 유럽의 기독교 전파
(3)근대와의 연결
2. 중남 아메리카 원주민과 기독교
(1)기존 공동체: 아스텍 제국과 잉카제국의 사회와 종교
(2)기독교의 침투
(3)피전도민들의 반응
3. 아메리카의 흑인 노예와 기독교
(1)기존 공동체: 아프리카 대륙
(2)아메리카로 팔려 간 흑인 노예
(3)기독교의 침투
(4)피전도민들의 반응
III. 결론
I. 서론
II. 본론
1. 유럽과 기독교
(1)서
(2)중세 유럽의 기독교 전파
(3)근대와의 연결
2. 중남 아메리카 원주민과 기독교
(1)기존 공동체: 아스텍 제국과 잉카제국의 사회와 종교
(2)기독교의 침투
(3)피전도민들의 반응
3. 아메리카의 흑인 노예와 기독교
(1)기존 공동체: 아프리카 대륙
(2)아메리카로 팔려 간 흑인 노예
(3)기독교의 침투
(4)피전도민들의 반응
III. 결론
본문내용
활동에서 반란의 소지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몇몇 노예주들은 가톨릭 전도사들이 흑인과 백인의 평등함을 설파한다고 여겼기 때문에 선교를 방해하기도 했다.
또한 흑인 노예들도 아메리카 원주민들처럼 기독교를 자신들의 방식으로 이해했다. 여기에는 부두교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처럼, 주술적인 힘을 중시하거나 정령을 숭배하는 것 등이 있다. 한 가지 예로 그들은 세례를 받으면 자신의 마술적인 힘이 증가한다고 믿었다. 다른 예를 살펴보면, 흑인 노예를 대상으로 했던 예배당에 그려진 성화의 인물들은 성경의 인물들뿐만 아니라 흑인 노예들이 숭상했던 ‘르와’라는 정령을 연상시켰다(위르봉 1997: 23-40).
III. 결론
유럽은 로마시대 이래로 기독교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기독교가 다른 종교와 두드러지는 점은 비관용성이라고 생각한다. 유럽인들은 기독교 외의 종교를 이단으로, 악마 숭배로 여겼다. 그리하여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을 기독교 신자로 만드는 것을 자신들의 성스러운 임무라고 생각했다.
중세에도 유럽인들의 이러한 종교적 열망이 정치·경제와 결합되거나 그 자체로 표출되었다. 그러나 국가 권력이라는 강한 추진력의 부재로 인해 기독교 전파는 별 성과가 없었다. 그러자 근대가 되자 유럽인들은 이전 실패를 거울삼아, 국가 권력을 동원하여 이전보다 더 공격적으로 기독교를 전파했다. 여기에 대해 피전도 지역의 공동체 주민들은 기독교 전파를 그들의 정체성에 대한 위협으로 여기고 저항했고, 기독교를 수용할 때도 그들의 세계관에 따라 기독교를 이해했다.
이처럼 대항해시대에 피전도민들이 피상적으로 개종했기 때문에, 이 시기 기독교 전파는 국가 권력과 결합하여 전파되었다는 점을 빼고 중세의 기독교 전파와 유사하다. 점차 피전도민들만의 공동체가 유럽인들에 의해 와해되어 그 구성원들이 새로운 공동체를 찾기 위해 자발적으로 기독교 신자가 될 때까지는 기독교 전파가 실질적으로 성공했다고 보긴 힘들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근. 2004. 『도시와 문화를 거부하지 말 것! - 예수회 설립자 이냐시오 로욜라(Ignatius Loyola)의 선교 리더십 연구 -』. 한국기독교학회
박종욱. 2005. 『라틴아메리카 신화와 전설』. 도서출판 바움
어튼, 게리. 2003. 『잉카신화』. 범우사
위르봉, 라에네크. 1997. 『부두교』. 시공사
정경원 외. 2006. La cultura hispanica. 금성출판사
주경철. 2002. 『대항해시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짐머맨, 래리. 1993. 『북아메리카 원주민』. 창해
카란사, 프란시스코. 1998. 『마법의 도시 야이누』. 문학과지성사
파린더, 지오프레이. 2006. 『아프리카 신화』. 범우사
Gonzalez, Jason and Read, Kay. 2000. Mesoameric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McCannon, John. 2006. How to prepare for the AP world history examination, 2nd ed. Barron's
또한 흑인 노예들도 아메리카 원주민들처럼 기독교를 자신들의 방식으로 이해했다. 여기에는 부두교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처럼, 주술적인 힘을 중시하거나 정령을 숭배하는 것 등이 있다. 한 가지 예로 그들은 세례를 받으면 자신의 마술적인 힘이 증가한다고 믿었다. 다른 예를 살펴보면, 흑인 노예를 대상으로 했던 예배당에 그려진 성화의 인물들은 성경의 인물들뿐만 아니라 흑인 노예들이 숭상했던 ‘르와’라는 정령을 연상시켰다(위르봉 1997: 23-40).
III. 결론
유럽은 로마시대 이래로 기독교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기독교가 다른 종교와 두드러지는 점은 비관용성이라고 생각한다. 유럽인들은 기독교 외의 종교를 이단으로, 악마 숭배로 여겼다. 그리하여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을 기독교 신자로 만드는 것을 자신들의 성스러운 임무라고 생각했다.
중세에도 유럽인들의 이러한 종교적 열망이 정치·경제와 결합되거나 그 자체로 표출되었다. 그러나 국가 권력이라는 강한 추진력의 부재로 인해 기독교 전파는 별 성과가 없었다. 그러자 근대가 되자 유럽인들은 이전 실패를 거울삼아, 국가 권력을 동원하여 이전보다 더 공격적으로 기독교를 전파했다. 여기에 대해 피전도 지역의 공동체 주민들은 기독교 전파를 그들의 정체성에 대한 위협으로 여기고 저항했고, 기독교를 수용할 때도 그들의 세계관에 따라 기독교를 이해했다.
이처럼 대항해시대에 피전도민들이 피상적으로 개종했기 때문에, 이 시기 기독교 전파는 국가 권력과 결합하여 전파되었다는 점을 빼고 중세의 기독교 전파와 유사하다. 점차 피전도민들만의 공동체가 유럽인들에 의해 와해되어 그 구성원들이 새로운 공동체를 찾기 위해 자발적으로 기독교 신자가 될 때까지는 기독교 전파가 실질적으로 성공했다고 보긴 힘들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근. 2004. 『도시와 문화를 거부하지 말 것! - 예수회 설립자 이냐시오 로욜라(Ignatius Loyola)의 선교 리더십 연구 -』. 한국기독교학회
박종욱. 2005. 『라틴아메리카 신화와 전설』. 도서출판 바움
어튼, 게리. 2003. 『잉카신화』. 범우사
위르봉, 라에네크. 1997. 『부두교』. 시공사
정경원 외. 2006. La cultura hispanica. 금성출판사
주경철. 2002. 『대항해시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짐머맨, 래리. 1993. 『북아메리카 원주민』. 창해
카란사, 프란시스코. 1998. 『마법의 도시 야이누』. 문학과지성사
파린더, 지오프레이. 2006. 『아프리카 신화』. 범우사
Gonzalez, Jason and Read, Kay. 2000. Mesoameric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McCannon, John. 2006. How to prepare for the AP world history examination, 2nd ed. Barron's
추천자료
근대사회로의 이행과 18세기 사회상 - 민중의 근대로 향한 첫발걸음 -
1930년대 한국 근대시의 구조와 미적 근대성 및 계보
[메이지유신][명치유신][근대일본][일본의 근대화]메이지유신(명치유신)의 정의, 메이지유신(...
(일본문학의흐름)일본근대문학의 각 주제에 따른 정리-낭만주의문학, 자연주의문학, 시라카바...
[형태론][형태론 분석][근대국어 파생형용사에 대한 형태론][현대국어 오오체어미에 대한 형...
[인도][인도문명][문명][인더스][고대][중세][근대][인도의 인더스문명][인도의 고대문명][인...
번역과 일본의 근대사회 (일본근대사회의 시대적 배경)
[인권법A형] 근대인권과 현대인권에 대하여 설명하고 근대인권에서 현대인권으로의 변화 이유...
식민지근대화론 - 식민지 근대화론 등장배경, 내재적발전론 비교, 의의 및 한계
양계초의 생애, 사상, 근대화론, 군주입헌사상, 국민경제사상, 사회계몽사상, 국민교육사상, ...
[1930년대][소설][근대극][모더니즘]1930년대의 소설, 1930년대의 근대극, 1930년대의 모더니...
[일본경제사, 일본경제사와 고대사회, 일본경제사와 근대사회, 일본경제사와 산업혁명, 경제...
[중국, 일본, 농업, 근대화, 역사인식, 역사왜곡]중일농업(중국과 일본의 농업), 중일근대화(...
근대화 이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근대화 과정을 기술하고, 갈등이론의 관점에서 논하시오&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