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대뇌 Cerebrum에 관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대뇌 Cerebrum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반부가 좌우상하로 거꾸로 표시
좌우 시야의 수직축 근처 부분은 17영역의 시야 수직측 근처 부분에 표시
­ 시각의 연합영역:제1차 시각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제18,19영역
안구운동, 시각인식의 심리적 해석, 시각인상과 그 외의 정보들을 통합하고 연접
*미각영역(taste area):제1,2차 체성감각영역 앞부분과 해마방회에 존재
*후각영역(olfactory area)
:후각상피에서 기시된 흥분파 → 사판의 후구(olfactory bulb)에 후각사구체를 형성 → 후삭로 → 해마, 편도핵, 유두체 → 이상영역(pyriform area) → 전전두영역(profrontal cortex) 및 대상영역(cingular area)에 투사
*연합영역(association area)
:운동영역과 감각영역에 의해 상호 연합되고 통합하는 영역
⇒ 제1차 운동영역과 감각영역 이외의 나머지 대뇌피질
⇒ 고등동물일수록 넓고 전체 피질의 약 80~90% 차지
⇒ 고도의 정신기능과 관련된 언어기억학습상상지각이성 및 인격 등의 기능 주관
⇒ 감각의 인식, 수의운동의 계획과 수행 통제 등의 조절중추
*운동성 언어영역(motor speech area;Brodman 44)
­ 제44영역 = Broca 영역:언어의 종합적인 운동영역, 전두엽에 존재
­ Broca 중추:얼굴, 혀, 목 등의 운동중추와 인접하여 신경회로를 연결
­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
:Broca 중추의 병변에 의한 언어장애로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상대의 대화를 들을 수 있고, 책의 내용을 읽고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언어장애
*감각성 언어영역(sensory speech area) = Wernicke 영역
­ 청각성 언어영역(acoustic speech area):측두엽 후방에서 두정엽 일부를 거쳐 있음
­ 시각성 언어영역(optic speech area) :청각성 언어중추 후방 두정엽 피질에 존재
⇒ 서로 연락, 운동성 언어영역과는 궁상섬유속(arcuate fasciculus)으로 연결됨
­ 착어증(paraphasia):상측두회전 후부 장애로 말할 수는 있으나 상대방 대화의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여 조리있게 말을 하지 못하는 증상
­ 감각성 실어증(sensory aphasia):착어증으로 인한 실어증
­ 시각피질영역(visual cortex)
:각회(angular gyrus)에 신경원 섬유를 연결하여 Wernicke 영역과 함께 언어 이해, 글 쓰는 일, 독서 역할
*청각감각 → 구심성 투사 → Wernicke 영역(이해) → Broca 영역 → 4영역(언어 운동중추) → 의사 표현
*시각적 감각 → 시각피질 → 각회 → Wernicke 영역(이해) → Broca 영역 → 의 사결정
⇒ 언어, 글쓰기, 독서, 인식능력은 Broca 영역과 Wernicke 중추 및 기타 중추에 의해 통제, 조절됨
­ 실어증(aphaxia):언어, 발성에 관계되는 지각운동 및 정신적 결함은 없지만 대뇌의 장애에 의해 일어나는 언어장애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의 연합영역
­ 제1차 감각영역:감각정보를 분류기록
­ 제2차 감각영역:감각정보를 재구성해석
­ 제3차 감각영역:신체 각 부위의 정보를 비교검토하여 행동으로 옮기는 자료를 얻는 부분
⇒ 감각정보의 분석, 해석, 보관, 종합해석 하는 곳
­ 실행증(aprasia):근육의 마비나 운동, 지각, 언어 등의 이상은 없지만 목적하는 동작을 올바로 할 수 없는 것
⇒ 측두엽 후부후두엽 후부두정엽 장애, 심한 동맥경화에 의한 뇌장애 또는 뇌량의 이상에 의한 좌우대칭적 행동장애
­ 실서증(agraphia) :글을 쓸 수 있던 사람이 쓸 수 없게 되는 증상
­ 실독증(alexia) :글을 읽을 수 있던 사람이 읽을 수 없게 되는 증상
­ 실인증(agnosia) = 인지불능증
:감각기, 감각기 신경계의 장애는 없지만 감각경험을 분석하고 다른 감각적 정보와 비교검토하여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이 상실되는 증상
­ 시각성실인증(visual agnosia):음식을 보고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식별 못하는 증상
­ 청각성실인증(auditory agnosia):소리는 들리지만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
­ 촉각성실인증(tactile agnosia) = 입체실인증
:두정엽 5,7영역 이상으로 촉각의 이상은 없지만 만져보고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
­ 자가국소실인증(autotop agnosia)
:체성감각영역 뒤쪽 두정엽 손상으로 자신의 몸을 대상과 구별하여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
*전두엽과 두정엽의 연합영역
:행동의 동기가 계획된 행동의 프로그램으로 짜여지는 연합영역으로
① 말초의 운동근과 관절의 고유감각 →구심성 →알맞은 근육의 조절능력을 조화있게 수의적으로 조절
② 공간에서 운동이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알맞게 이루어지도록 조절될 것
⇒ 장애시 방향과 속도, 공간에서의 전체위치 등 수의적인 통합 반사조절 불가능
③ 운동성실행증(kinetic apraxia):전두엽 전운동영역 이상에 의한 숙련운동 실조
④ 관념성실행증(ideational apraxia):어떤 행동을 옮기려면 마음으로 생각하고 계획하며 조리있게 통합해서 의지적인 행동으로 실행하는 능력이 상실되는 증상
⑤ 관념운동성실행증(ideokenetic apraxia)
:계획하는대로 운동기구를 의지적으로 구사하지 못하는 증상
*전전두엽 연합영역
­ 억제성 연합영역:전두엽 맨 앞쪽 영역 제9,10,11,12와 안와부의 제13,14 영역
⇒ 배내측핵(시상 비특수핵)에서 투사되는 섬유를 받으며, 변연계의 대상회, 해마, 편도체 및 시상하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음
⇒ 인간의 사회적 행동태도를 조절하는 능력과 변연계의 연결로 억제 조절
⇒ 해마나 편도체 등의 주위집중과 각성, 단기기억 조절능력 있음
⇒ 장애시 억제성 자제심 상실, 주의력과 분별력이 저하
감각에 치우쳐 흥분하기 쉬우며 자발성과 계획성 없어짐
기억력 상실과 인성, 인품 등의 인격과 개인의 경험과 정서생활의 특성 결여됨
출처 http://blog.naver.com/angelnaby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05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